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알칼리 자극제와 고로슬래그의 비표면적이 고로슬래그 시멘트의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lkaline Activator and Specific Surface Area of Blast Furnace Slag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Blast Furnace Slag C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64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ects of specific surface area of blast furnace slag(BFS) and alkaline activator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blast furnace slag cement were investigated. Sodium sulfate(Na2SO4) was used as alkaline activator. The addition amounts of alkaline activator, calculated in terms of Na2O, were 2.5 and 5.0wt.% to BFS weight, respectively. The flow and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were examined when the BFS power of which the specific surface area are 4,000, 6,000 and 8,000cm2/g were substituted for 30, 50, and 70wt.% of ordinary portland cement(OPC), respectively. As the result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pecific surface area of BFS and alkaline activator content when the mortar cured for 1 day and 3days. For the mortar cured for 7days, only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BFS affected the increase of compressive strength.
      번역하기

      The effects of specific surface area of blast furnace slag(BFS) and alkaline activator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blast furnace slag cement were investigated. Sodium sulfate(Na2SO4) was used as alkaline activator. The addition amounts of alkaline ...

      The effects of specific surface area of blast furnace slag(BFS) and alkaline activator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blast furnace slag cement were investigated. Sodium sulfate(Na2SO4) was used as alkaline activator. The addition amounts of alkaline activator, calculated in terms of Na2O, were 2.5 and 5.0wt.% to BFS weight, respectively. The flow and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were examined when the BFS power of which the specific surface area are 4,000, 6,000 and 8,000cm2/g were substituted for 30, 50, and 70wt.% of ordinary portland cement(OPC), respectively. As the result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pecific surface area of BFS and alkaline activator content when the mortar cured for 1 day and 3days. For the mortar cured for 7days, only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BFS affected the increase of compressive streng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고로슬래그의 비표면적 및 알칼리 자극제가 고로슬래그 시멘트의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칼리 자극제로는 Na2SO4를 사용하였으며 Na2O로 환산하여 고로슬래그의 2.5, 5.0wt.% 첨가하였다. 비표면적이 각각 4,000, 6,000, 8,000cm2/g인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대해 30, 50, 70wt.% 치환하였을 경우 모르타르의 유동성 및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재령 1일과 3일의 초기강도는 고로슬래그의 비표면적이 크고, 알칼리 자극제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재령 7일 이후의 경우 알칼리 자극제의 첨가량이 적을수록, 또한 고로슬래그의 비표면적이 클수록 압축강도가 증가하였다.
      번역하기

      고로슬래그의 비표면적 및 알칼리 자극제가 고로슬래그 시멘트의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칼리 자극제로는 Na2SO4를 사용하였으며 Na2O로 환산하여 고로슬래그의 2.5, 5.0wt.% ...

      고로슬래그의 비표면적 및 알칼리 자극제가 고로슬래그 시멘트의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칼리 자극제로는 Na2SO4를 사용하였으며 Na2O로 환산하여 고로슬래그의 2.5, 5.0wt.% 첨가하였다. 비표면적이 각각 4,000, 6,000, 8,000cm2/g인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대해 30, 50, 70wt.% 치환하였을 경우 모르타르의 유동성 및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재령 1일과 3일의 초기강도는 고로슬래그의 비표면적이 크고, 알칼리 자극제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재령 7일 이후의 경우 알칼리 자극제의 첨가량이 적을수록, 또한 고로슬래그의 비표면적이 클수록 압축강도가 증가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실험계획법" 민영사 521-572, 2003

      2 "알칼리 자극제에 의한 고로수쇄슬래그의 활성화 특성" 40 (40): 1005-1014, 2003

      3 "Some Properties of Alkali-Activated Slag Cements" 120-123, 1986

      4 "On the Determination of Rat Constants for Hydration Processes in Cement Pastes" 10 : 553-563, 1980

      5 "Mechanism and Kinetics of Slag Cement Hydration Proceedings of 7th International Congress on the Chemical of Cement" 1 : 21-29, 1980

      6 "Gypsum in Blast Furnace Slag Cements" 62 : 1275-1279, 1983

      7 "Development of Structure and Properties of Blast Furnace Slag Cement Journal of American Concrete Institute" 97 : 44-457, 1982

      8 "Determination of Kinetic Equation of Alkaline Activation of Blast Furnace Slag by Means of Calorimetric Data" 52 : 945-955, 1998

      9 "Alkali-Activated Cement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29 (29): 249-254, 1999

      10 "Alkali Activation of Indian Blast Furnace Slag Proceedings of 8th International Congress on the Chemical of Cements" 4 : 104-107, 1986

      1 "현대실험계획법" 민영사 521-572, 2003

      2 "알칼리 자극제에 의한 고로수쇄슬래그의 활성화 특성" 40 (40): 1005-1014, 2003

      3 "Some Properties of Alkali-Activated Slag Cements" 120-123, 1986

      4 "On the Determination of Rat Constants for Hydration Processes in Cement Pastes" 10 : 553-563, 1980

      5 "Mechanism and Kinetics of Slag Cement Hydration Proceedings of 7th International Congress on the Chemical of Cement" 1 : 21-29, 1980

      6 "Gypsum in Blast Furnace Slag Cements" 62 : 1275-1279, 1983

      7 "Development of Structure and Properties of Blast Furnace Slag Cement Journal of American Concrete Institute" 97 : 44-457, 1982

      8 "Determination of Kinetic Equation of Alkaline Activation of Blast Furnace Slag by Means of Calorimetric Data" 52 : 945-955, 1998

      9 "Alkali-Activated Cement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29 (29): 249-254, 1999

      10 "Alkali Activation of Indian Blast Furnace Slag Proceedings of 8th International Congress on the Chemical of Cements" 4 : 104-107,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6-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 한국자원공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6-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 한국자원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7 0.19 0.278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