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서양인이 본 근대 한국의 공공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에 공공성이 부재했거나 미약했다고 하는 일제 및 식민사관의 주장을 반박하고자 하는 것이다. 서양인의 한국 인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65902
2014
Korean
서양인 ; 공공성 ; 근대 한국 ; 식민사관 ; 일제 ; westerners ; public character ; modern Korea ; colonialism ; Japanese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07-146(40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서양인이 본 근대 한국의 공공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에 공공성이 부재했거나 미약했다고 하는 일제 및 식민사관의 주장을 반박하고자 하는 것이다. 서양인의 한국 인식...
이 논문의 목적은 서양인이 본 근대 한국의 공공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에 공공성이 부재했거나 미약했다고 하는 일제 및 식민사관의 주장을 반박하고자 하는 것이다. 서양인의 한국 인식은 제3자로서의 관점이기 때문에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서양인들은 동양의 학자들이 간과한 한국인의 일상을 고찰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일제는 한국합병을 위해 조선 왕조가 공익보다 사익을 채우려 했으며 한국인들도 공공의식이 희박하다고 강조한다. 최근 교학사 교과서 저자들도 일제시기로 인해 한국이 발전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서양인들은 조선 지배층의 백성 착취, 부패, 공공위생의 부재 등을 비판했으나 공공교육과 과거제도 등 공정한 인사제도, 암행어사 등을 통해 백성의 어려움을 알려고 하는 왕의 노력, 여러 가지 공적 개혁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있다. 또한 이로 인해 한국 사회는 비교적 풍요로웠다고 보았다. 한국 백성에 대해서도, 강한 공공의식, 모두가 한 형제라고 하는 공동체성, 탁월한 소통능력과 불의에 저항하는 용기를 칭찬했다. 또한 일본이 한국에 실시한 공적 개혁은 수탈을 위한 것이라고 보았으며 새로운 법의 수립과 집행에도 문제가 있었고 무엇보다 일본 당국의 한국인 재산의 약탈과 착취를 비난했다. 이러한 이들의 주장은 한국에 공공성이 부재했다거나 일제시기를 거쳐 한국이 발전되었다고 하는 식민사학자나 교학사 교과서의 관점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또한 동시에 이들은 기독교로 인해 한국에 공공성이 확립되었다고 하는 서구중심적 사고도 함께 보여주는 한계를 가진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the arguments of some Japanese and colonialists that Korean government and people did not have a sense of public good.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examines the viewpoints of westerners because they did not 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the arguments of some Japanese and colonialists that Korean government and people did not have a sense of public good.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examines the viewpoints of westerners because they did not have special reasons to stand by Korea. Seeing their view point is useful too in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Korean people"s everyday life which Asian scholars has ignored. Westerners criticized Korea"s ruling class who had corrupted and exploited common people. They also pointed out public hygiene problem. However they praised the systems of Korea"s public education and state examination. In addition they complimented the royal secret inspector system and various reforms performed by Korean government. They also thought that Korean people had a strong sense of public interest, communication, and righteousness. They insisted that new laws and institutions set by Japanese was to exploited Korean peopl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끌라르 보티에, "프랑스 외교관이 본 개화기 조선" 태학사 2002
2 이희주, "조선초기의 공론정치 : 공론의 존재양식과 공론정치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4 (44): 5-23, 2010
3 이희주, "조선시대 양녕대군과 에도시대 아코우사건을 둘러싼 이념논쟁 -'공사(公私)관념의 형태'와 '은(恩)과 의(義)의 상관성과 대립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정보학회 14 (14): 261-286, 2011
4 이영재, "조선시대 공공성의 재조명: ‘民’을 중심으로" 2012
5 김학준, "조선서양인들이 관찰한 후기조선" 서강대학교출판부 2010
6 알렌, "조선견문기" 집문당 1999
7 이석원, "제2대 조선대목구장 앵베르 주교의 조선(朝鮮) 인식" 천주교 수원교구 유지재단 소속 수원교회사연구소 (9) : 215-248, 2012
8 배병삼, "정치가 세종의 한 면모:‘수령육기제’ 도입과 제도화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사상학회 11 (11): 13-37, 2005
9 J. S. 게일, "전환기의 조선" 집문당 1999
10 강동진, "일본언론계와 조선" 지식산업사 1987
1 끌라르 보티에, "프랑스 외교관이 본 개화기 조선" 태학사 2002
2 이희주, "조선초기의 공론정치 : 공론의 존재양식과 공론정치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4 (44): 5-23, 2010
3 이희주, "조선시대 양녕대군과 에도시대 아코우사건을 둘러싼 이념논쟁 -'공사(公私)관념의 형태'와 '은(恩)과 의(義)의 상관성과 대립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정보학회 14 (14): 261-286, 2011
4 이영재, "조선시대 공공성의 재조명: ‘民’을 중심으로" 2012
5 김학준, "조선서양인들이 관찰한 후기조선" 서강대학교출판부 2010
6 알렌, "조선견문기" 집문당 1999
7 이석원, "제2대 조선대목구장 앵베르 주교의 조선(朝鮮) 인식" 천주교 수원교구 유지재단 소속 수원교회사연구소 (9) : 215-248, 2012
8 배병삼, "정치가 세종의 한 면모:‘수령육기제’ 도입과 제도화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사상학회 11 (11): 13-37, 2005
9 J. S. 게일, "전환기의 조선" 집문당 1999
10 강동진, "일본언론계와 조선" 지식산업사 1987
11 신복룡, "이방인이 본 조선 다시 읽기" 풀빛 2002
12 W. E. 그리피스, "은자의 나라 한국" 집문당 1999
13 오문환, "율곡의 ‘군자’관과 그 정치철학적 의미" 30 (30): 1996
14 김희영, "오리엔탈리즘과 19세기 말 서양인의 조선 인식" 26 : 2007
15 엘리자베스 키스, "영국화가 엘리자베스 키스의 코리아 1920-1940" 책과함께 2006
16 홍성태, "시민적 공공성과 한국 사회의 발전" 민주사회정책연구원 (13) : 72-97, 2008
17 김은영, "서양인이 읽은 조선-조불조약 체결(1886) 전 프랑스에서 생산된 출판물을 중심으로-" 한국서양사학회 (99) : 201-237, 2008
18 최규진, "서양인의 타자(他者), 개항기 조선인" 수선사학회 (39) : 191-228, 2011
19 정성화, "서양인의 조선살이 1882-1910" 푸른역사 2008
20 박남정, "서양인의 눈에 비친 조선사람" 180 : 1995
21 김현숙, "서양인 여행기에 표상된 ‘공존·공생’의 조선 사회상" 호서사학회 (54) : 33-67, 2009
22 L. H. 언더우드, "상투의 나라" 집문당 1999
23 김기협, "망국의 역사, 조선을 읽다" 돌베개 2010
24 오문환, "동학에 나타난 민주주의" 32 : 2005
25 오문환, "동학사상에서의 자율성과 공공성" 한국정치학회 36 (36): 7-24, 2002
26 F. A. 매켄지, "대한제국의 비극" 집문당 1999
27 H. B. 헐버트, "대한제국멸망사" 집문당 2006
28 이준식, "뉴라이트 한국사교과서의 독립운동사 왜곡과 이승만 미화" 52 : 2013
29 윤해동, "근대를 다시 읽는다 I" 역사비평사 2006
30 김종갑, "구한말 서양인의 눈에 비친 조선인의 몸" 한국비교문학회 (53) : 25-48, 2011
31 A. H. 새비지 랜도어,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 집문당 1999
32 권희영, "고등학교 한국사" 교학사 2013
33 이나미, "개화파의 공공성 논의: 공치와 공심을 중심으로" 3 (3): 2013
34 김희영, "개화기 서양인들의 동학 인식 -기독교의 영향과 관련하여-" 한국동학학회 30 : 51-70, 2011
35 김보림, "개항기 재조선 서양인의 일상생활과 한국문화 인식의 분화" 역사교육연구회 (125) : 1-35, 2013
36 황태연, "‘공공성’과 ‘국가공공성’ 개념에 관한 고찰" 2013
37 김희영, "19세기 말 서양인의 눈에 비친 조선사회의 현실과 동학 농민 봉기 - 이사벨라 버드 비숍의 '조선과 그 이웃나라'를 중심으로 -" 한국동학학회 (23) : 1-23, 200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3-2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 |
2014-03-2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동양정치사상사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9-0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영문명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9 | 0.59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1 | 1.83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