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화적 자아" 형성을 위한 대화의 원리 그리고 대화 속 도덕교육을 위한 대화의 모습들 = The dialogical principles for the formation of "Dialogical Self" and the figures of dialogue for "moral education in dialog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430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은 진정한 대화 속에서 인격을 형성하는 ``대화적 자아``이다. 주아(I)와 객아(me)로 구분되는 자아는 ``놀이(play)와 경기(game)라는 두 단계를 거치면서 인격적 자아-정체성을 구성하게 된다...

      인간은 진정한 대화 속에서 인격을 형성하는 ``대화적 자아``이다. 주아(I)와 객아(me)로 구분되는 자아는 ``놀이(play)와 경기(game)라는 두 단계를 거치면서 인격적 자아-정체성을 구성하게 된다. 진정한 대화는 ``나-너``의 인격적 만남이 그 본질이며, ``무엇에 관한 말``이 아니라 ``누구를 향한 말``로 이루어지는 대화이다. 진정한 대화는 토론이나 담화와는 다르다. 그것은 상호주체성이 존중되며, 공동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이며, 공개적이고 혁신적이어야 한다. 인격교육으로서의 도덕교육의 대화학습은 지식교육으로서의 과학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담화나 토론을 통한 대화학습과는 전적으로 다른 것이어야 한다. 그것은 반드시 ``대화 속의 도덕교육``이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human being makes itself from a individual to a person in dialogue. Therefore, a person can be called as a dialogical self. The self being composed of I and Me has a personal self-identity by passing through two stages which are called as play and g...

      A human being makes itself from a individual to a person in dialogue. Therefore, a person can be called as a dialogical self. The self being composed of I and Me has a personal self-identity by passing through two stages which are called as play and game. The essence of genuine dialogue is a personal meeting of I and thou. And it is not ``speaking about`` but ``speaking to`` which make up the genuine dialogue. The dialogue is entirely different from discussion and conversation. The intersubjectivity is of importance in the dialogue. It is a process of composing the common signification(not sense). And it is open and innovative. The learning in dialogue of moral education as character education has to be entirely different from the learning by means of conversation or discussion of science education as a knowledge education. The genuine moral education must be ``moral education in dialogu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앤서니 엘리엇, "자아란 무엇인가?" 삼인 2007

      2 손장권, "미드의 심리학" 일신사 1994

      3 윤석빈, "마틴 부버의 대화원리 -인간 실존의 토대로서의 대화-" 한국동서철학회 27 (27): 271-294, 2006

      4 이삼열, "마틴 부버에서 본 대화의 철학, In 대화의 철학" 서광사 1991

      5 최성식, "마틴 부버 대화철학에서의 ‘원간격(原間隔, Urdistanz)’과 ‘간격(間隔, Zwischen) 개념에 관한 존재론적 고찰" 범한철학회 46 (46): 71-108, 2007

      6 Bohm, D., "데이비드 봄의 창조적 대화론" 에이지 1996

      7 Buber, M., "나와 너" 문예출판사 1995

      8 Lipman, M., "Thinking in Edu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9 Ramrez, E. R., "Thinking about Dialogue" 12 (12): 1995

      10 Hermans, H. J. M., "The dialogical self : meaning as movement" Academic Press 1993

      1 앤서니 엘리엇, "자아란 무엇인가?" 삼인 2007

      2 손장권, "미드의 심리학" 일신사 1994

      3 윤석빈, "마틴 부버의 대화원리 -인간 실존의 토대로서의 대화-" 한국동서철학회 27 (27): 271-294, 2006

      4 이삼열, "마틴 부버에서 본 대화의 철학, In 대화의 철학" 서광사 1991

      5 최성식, "마틴 부버 대화철학에서의 ‘원간격(原間隔, Urdistanz)’과 ‘간격(間隔, Zwischen) 개념에 관한 존재론적 고찰" 범한철학회 46 (46): 71-108, 2007

      6 Bohm, D., "데이비드 봄의 창조적 대화론" 에이지 1996

      7 Buber, M., "나와 너" 문예출판사 1995

      8 Lipman, M., "Thinking in Edu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9 Ramrez, E. R., "Thinking about Dialogue" 12 (12): 1995

      10 Hermans, H. J. M., "The dialogical self : meaning as movement" Academic Press 1993

      11 Mead, G. H., "The Social Self" Liberal Arts Press 1964

      12 Buber, Martin, "Schriften zur Philosophie" 1962

      13 Bohm, D., "On Dialogue" 14 (14): 2-7, 1998

      14 Mead, G. H., "Mind, Self, and Society from the Standpoint of a Social Behavioris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4

      15 Scudder, J. R., "Meaning, Dialogue, and Enculturation : Phenomenological Philosophy of Education" The Center for Advanced Research in Phenomenology, Inc 1985

      16 Friedman, M. S., "Martin Buber's Philosophy of Education" 6 : 1956

      17 조태훈, "G.H.Mead의 <자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8

      18 Hermans, H. J. M., "Dialogical self theory:positioning and counter-positioning in a globalizing socie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19 Buber, M, "Das dialogische Prinzip, 5. durchgesehene Aufl"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1.393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