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DI 색 보정의 3D 애니메이션 제작 중 활용 및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39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과학기술의 발전과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 과정의 개선에 따라 3D 애니메이션의 화면 표현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조명과 색채는 애니메이션 화면의 시각 표현과 정서적 표현을 결정할 수 있다. 오늘날 3D 애니메이션 산업화 환경에서 디지털 색 보정 기술은 화면 조명 효과와 색채 표현을 제고하는 중요한 기술 형식이 되었다. 3D 애니메이션의 색채 창조는 장소, 날씨, 촬영 도구의 제한을 받지 않고 강력한 주관성과 창조성을 갖고 있다. 3D 애니메이션의 화면 색채는 감독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드러내면서 관객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색 보정’은 디지털 인터미디에이트 시스템에서 자체 설계된 조작 과정을 통해 촬영된 소재의 모든 색채 또는 일부 색채에 대해 강화 또는 약화의 처리를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최종 스크린에서 상영된 작품의 색채 언어 표현 능력을 강화시키고, 감독과 색 보정 감독이 표현하고자 하는 정서 분위기를 더욱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이 외에, 색 보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영상 화면에 없던 허구적인 조명을 추가할 수 있다. 추가된 허구의 조명은 원래 현실에 있는 조명과 상호 작용하여 특별한 조명 효과를 모방할 수 있다. 또한 선택 구역의 조절로 영상 화면의 어느 한 부분에 대해 명암을 조절하여 화면의 섬세한 변화를 줄 수 있다. 영상 화면에 대한 조명 효과에 대한 포스트 프로덕션 처리는 앞 단계의 촬영 후 이루어지는 후속적인 창작으로 볼 수 있고, 영화 화면의 조명 언어에 대한 재구축을 실현할 수 있다. 3D 애니메이션 예술가에 대해, 색 보정 감독이 DI 제작 과정에서 마침 애니메이션을 정교롭게 장식하고 있는 것과 같다. 디지털 색 보정에서 각종 색채 감정 지식과 조명의 변화를 이용해 화면을 다시 구상하고 디자인해서 관객들이 화면 안에서 화면 외부에 있는 감독과 촬영 감독의 취지와 의도를 느끼게 해야, 관객들의 정서를 감독이 미리 설정한 장면으로 이끌어 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색 보정 기술의 정의, 발전과 역할을 정리하고, 3D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디지털 색 보정 기술의 우수한 사례 분석과 결합해 3D애니메이션의 제작 과정에서 적당하게 디지털 색 보정 기술을 사용하는 필요성과 방법을 논증하였다.
      번역하기

      과학기술의 발전과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 과정의 개선에 따라 3D 애니메이션의 화면 표현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조명과 색채는 애니메이션 화면의 시각 표현과 정서적 표현을 결정할 수 있...

      과학기술의 발전과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 과정의 개선에 따라 3D 애니메이션의 화면 표현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조명과 색채는 애니메이션 화면의 시각 표현과 정서적 표현을 결정할 수 있다. 오늘날 3D 애니메이션 산업화 환경에서 디지털 색 보정 기술은 화면 조명 효과와 색채 표현을 제고하는 중요한 기술 형식이 되었다. 3D 애니메이션의 색채 창조는 장소, 날씨, 촬영 도구의 제한을 받지 않고 강력한 주관성과 창조성을 갖고 있다. 3D 애니메이션의 화면 색채는 감독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드러내면서 관객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색 보정’은 디지털 인터미디에이트 시스템에서 자체 설계된 조작 과정을 통해 촬영된 소재의 모든 색채 또는 일부 색채에 대해 강화 또는 약화의 처리를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최종 스크린에서 상영된 작품의 색채 언어 표현 능력을 강화시키고, 감독과 색 보정 감독이 표현하고자 하는 정서 분위기를 더욱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이 외에, 색 보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영상 화면에 없던 허구적인 조명을 추가할 수 있다. 추가된 허구의 조명은 원래 현실에 있는 조명과 상호 작용하여 특별한 조명 효과를 모방할 수 있다. 또한 선택 구역의 조절로 영상 화면의 어느 한 부분에 대해 명암을 조절하여 화면의 섬세한 변화를 줄 수 있다. 영상 화면에 대한 조명 효과에 대한 포스트 프로덕션 처리는 앞 단계의 촬영 후 이루어지는 후속적인 창작으로 볼 수 있고, 영화 화면의 조명 언어에 대한 재구축을 실현할 수 있다. 3D 애니메이션 예술가에 대해, 색 보정 감독이 DI 제작 과정에서 마침 애니메이션을 정교롭게 장식하고 있는 것과 같다. 디지털 색 보정에서 각종 색채 감정 지식과 조명의 변화를 이용해 화면을 다시 구상하고 디자인해서 관객들이 화면 안에서 화면 외부에 있는 감독과 촬영 감독의 취지와 의도를 느끼게 해야, 관객들의 정서를 감독이 미리 설정한 장면으로 이끌어 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색 보정 기술의 정의, 발전과 역할을 정리하고, 3D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디지털 색 보정 기술의 우수한 사례 분석과 결합해 3D애니메이션의 제작 과정에서 적당하게 디지털 색 보정 기술을 사용하는 필요성과 방법을 논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animated films, the picture expressiveness of three-dimensional animated films has also been greatly improved. Shadow and color decide on the visual presenta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of pictures of animated films. In the context of the industrialized three-dimensional animated films, the digital color-matching technology has become an important technical form of improving the shadow effect and color expression of pictures. Colors in the three-dimensional animation are highly subjective and creative, free from the restraints of site, weather and shooting equipment. Colors in the three-dimensional animation may directly express the thoughts of directors and are the factor that most easily touches the inner mind of the audience. The so-called “color matching” is that the digital color-matching technology may strengthen or suppress some or all the colors of the shooting materials through their inner operation process, so as to enhance the expressiveness of the color language in the final film, and more accurately convey the emotions and artistic conceptions that directors and colorists want to express. In addition, the digital color-matching technology may be used to add the virtual lights to the pictures of three-dimensional animation, and simulate the light effect jointly created by the increased virtual light and the original realistic light. It may also adjust the picture brightness of any part of the image picture by adjusting the selected area, realize the subtle light and shade change of the picture, and further make the visual effect of all the lens satisfy the director’s requirements. The later-stage treatment of the light effect of the image picture may be deemed as the continuous creation after the early-stage photography. Its application realizes the reconstruction of the illumination language of the film pictures. For three-dimensional animation artists, colorists accurately paint animations in DI production. Through digital color matching, various knowledge of color emotions and shadow changes are applied to reconstruct and redesign the picture, so as to make audiences understand from the picture the ingenuity and conceptions of directors and photographers outside the picture, and further enable audiences to be immersed into the pre-designed situations of the directors. Therefore, this paper shows the definition, development and role of the digital color-matching technology. Then it combines the excellent cases of using the digital color-matching technology in the three-dimensional animated films, and analyzes the necessity and method of properly using the digital color-matching technology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ree-dimensional animations.
      번역하기

      Wit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animated films, the picture expressiveness of three-dimensional animated films has also been greatly improved. Shadow and color decide on the visual presentation and e...

      Wit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animated films, the picture expressiveness of three-dimensional animated films has also been greatly improved. Shadow and color decide on the visual presenta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of pictures of animated films. In the context of the industrialized three-dimensional animated films, the digital color-matching technology has become an important technical form of improving the shadow effect and color expression of pictures. Colors in the three-dimensional animation are highly subjective and creative, free from the restraints of site, weather and shooting equipment. Colors in the three-dimensional animation may directly express the thoughts of directors and are the factor that most easily touches the inner mind of the audience. The so-called “color matching” is that the digital color-matching technology may strengthen or suppress some or all the colors of the shooting materials through their inner operation process, so as to enhance the expressiveness of the color language in the final film, and more accurately convey the emotions and artistic conceptions that directors and colorists want to express. In addition, the digital color-matching technology may be used to add the virtual lights to the pictures of three-dimensional animation, and simulate the light effect jointly created by the increased virtual light and the original realistic light. It may also adjust the picture brightness of any part of the image picture by adjusting the selected area, realize the subtle light and shade change of the picture, and further make the visual effect of all the lens satisfy the director’s requirements. The later-stage treatment of the light effect of the image picture may be deemed as the continuous creation after the early-stage photography. Its application realizes the reconstruction of the illumination language of the film pictures. For three-dimensional animation artists, colorists accurately paint animations in DI production. Through digital color matching, various knowledge of color emotions and shadow changes are applied to reconstruct and redesign the picture, so as to make audiences understand from the picture the ingenuity and conceptions of directors and photographers outside the picture, and further enable audiences to be immersed into the pre-designed situations of the directors. Therefore, this paper shows the definition, development and role of the digital color-matching technology. Then it combines the excellent cases of using the digital color-matching technology in the three-dimensional animated films, and analyzes the necessity and method of properly using the digital color-matching technology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ree-dimensional anim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사례 분석
      • 4. 결론
      • 참고문헌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사례 분석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黄迎春, "纪念中国流行色协会成立三十周年: 2012中国流行色协会学术年会学术论文集" 2012

      2 胡媛媛, "新媒体艺术时代艺术的审美性研究: 以动画艺术为例" 东南大学 2015

      3 高盟, "Propane达芬奇调色台测评" 影视制作 2017

      4 Sito, T., "Moving innovation: A history of computer animation" MIT Press 2013

      5 Lowe, R., "Learning with animation: Research implications for design"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Desowitz, B., "Hello, ‘WALL•E’!: Pixar reaches for the stars" Animation World Network

      7 Van Hurkman, A., "Color correction handbook: Professional techniques for video and cinema" Peachpit Press 2010

      8 天宫异彩, "<哪吒之魔童降世>调色分析" 影视制作 2019

      1 黄迎春, "纪念中国流行色协会成立三十周年: 2012中国流行色协会学术年会学术论文集" 2012

      2 胡媛媛, "新媒体艺术时代艺术的审美性研究: 以动画艺术为例" 东南大学 2015

      3 高盟, "Propane达芬奇调色台测评" 影视制作 2017

      4 Sito, T., "Moving innovation: A history of computer animation" MIT Press 2013

      5 Lowe, R., "Learning with animation: Research implications for design"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Desowitz, B., "Hello, ‘WALL•E’!: Pixar reaches for the stars" Animation World Network

      7 Van Hurkman, A., "Color correction handbook: Professional techniques for video and cinema" Peachpit Press 2010

      8 天宫异彩, "<哪吒之魔童降世>调色分析" 影视制作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69 1.33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