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다움을 나타내는 어휘의 의미구조 = The study of lexical items tha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distinguishing women from 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572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ng, soyeong, 2009, The study of lexical items tha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distinguishing women from men. Korea Semestics, 30. There have occurred changes in the representation of women presented by society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new order of values since the beginning of modern times This paper has investigated certain lexical items tha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distinguishing women from men, i.e., ‘femininity,’ and analyzed their meanings under the assumption that changes in people’s recognition of women are reflected in language. As a result, I have classified chakhada, sunsuhada,cheongsunhada, danahada and uahada as lexical items describing [-internal and external beauty]. While classifying cheongsunhada as a lexical item that has the restriction of [+girlish], I have classified sunsuhada as a lexical item that has the restriction of [blank] among chakhada that represented [-external beauty]. On the other hand, I have sorted out areumdapda and yeppeuda as having no limitations with respect to gender and age and having general meanings. I have presented them as generic lexical items. In addition, I have attempted at the systematization of other lexical items related to [±synesthesia], so I have presented yamjeonhada and chamhada as [-synesthesia], and budeureopda sangnyanghada and ttatteuthada as [+synesthesia]. Also I have presented sangnyanghada as [Make a hearer feel good] and budeureopda as [Don't be imposed]. Though the identical values that were placed under the traditional familial ideology still exist after all, we can conjecture, from the aspects of using the representative lexical item (areumdapda) for the aesthetic consciousness drawn from the movement toward society, that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women and in society gets some force.
      번역하기

      Kang, soyeong, 2009, The study of lexical items tha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distinguishing women from men. Korea Semestics, 30. There have occurred changes in the representation of women presented by society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new o...

      Kang, soyeong, 2009, The study of lexical items tha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distinguishing women from men. Korea Semestics, 30. There have occurred changes in the representation of women presented by society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new order of values since the beginning of modern times This paper has investigated certain lexical items tha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distinguishing women from men, i.e., ‘femininity,’ and analyzed their meanings under the assumption that changes in people’s recognition of women are reflected in language. As a result, I have classified chakhada, sunsuhada,cheongsunhada, danahada and uahada as lexical items describing [-internal and external beauty]. While classifying cheongsunhada as a lexical item that has the restriction of [+girlish], I have classified sunsuhada as a lexical item that has the restriction of [blank] among chakhada that represented [-external beauty]. On the other hand, I have sorted out areumdapda and yeppeuda as having no limitations with respect to gender and age and having general meanings. I have presented them as generic lexical items. In addition, I have attempted at the systematization of other lexical items related to [±synesthesia], so I have presented yamjeonhada and chamhada as [-synesthesia], and budeureopda sangnyanghada and ttatteuthada as [+synesthesia]. Also I have presented sangnyanghada as [Make a hearer feel good] and budeureopda as [Don't be imposed]. Though the identical values that were placed under the traditional familial ideology still exist after all, we can conjecture, from the aspects of using the representative lexical item (areumdapda) for the aesthetic consciousness drawn from the movement toward society, that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women and in society gets some for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택수, "현대의 성정체성" (35) : 89-105, 1997

      2 조정옥, "현대미술문화에서 미적 기준의 문제― 칸딘스키의 예술론을 중심으로 ―" 한국현상학회 30 : 149-180, 2006

      3 김혜정, "현대 건축환경과 여성성의 결핍" 12 : 6-7, 1997

      4 김종택, "한국인의 전통적인 여성관" (7) : 187-203, 1978

      5 신정숙, "한국 전통사회 부녀의 호칭어와 존칭어" (65) : 199-213, 1974

      6 연효숙, "한국 여성의 근대성과 근대 다시 쓰기" 보험법연구회 11 (11): 112-122, 2003

      7 송철의, "파생어 형성과 음운 현상" 38 : 1-106, 1977

      8 정기현, "텔레비전 광고 속의 여성성과 남성성" (9) : 215-250, 1997

      9 임태섭, "체면의 구조와 체면 욕구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32) : 205-247, 1994

      10 유선영, "잡지광고에 표현된 남성이미지 변호에 대한 연구" 이화여대 1997

      1 현택수, "현대의 성정체성" (35) : 89-105, 1997

      2 조정옥, "현대미술문화에서 미적 기준의 문제― 칸딘스키의 예술론을 중심으로 ―" 한국현상학회 30 : 149-180, 2006

      3 김혜정, "현대 건축환경과 여성성의 결핍" 12 : 6-7, 1997

      4 김종택, "한국인의 전통적인 여성관" (7) : 187-203, 1978

      5 신정숙, "한국 전통사회 부녀의 호칭어와 존칭어" (65) : 199-213, 1974

      6 연효숙, "한국 여성의 근대성과 근대 다시 쓰기" 보험법연구회 11 (11): 112-122, 2003

      7 송철의, "파생어 형성과 음운 현상" 38 : 1-106, 1977

      8 정기현, "텔레비전 광고 속의 여성성과 남성성" (9) : 215-250, 1997

      9 임태섭, "체면의 구조와 체면 욕구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32) : 205-247, 1994

      10 유선영, "잡지광고에 표현된 남성이미지 변호에 대한 연구" 이화여대 1997

      11 금교영, "인격 개념의 변천과 인격개별성" (80) : 92-114, 2001

      12 천시권, "온도어휘의 상관관계" 12 : 1-12, 1980

      13 최원주, "여성의 자아 이미지 인식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의 전략적 접근 :광고 속 여성 모델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주관성연구학회 9 (9): 93-120, 2007

      14 서정범, "여성에 관한 명칭고" 8 : 79-108, 1969

      15 유창돈, "여성어의 역사적 고찰" 5 : 37-72, 1996

      16 전혜영, "여성대상 표현에 나타난 여성의 사회적 위치 in : 언어와 여성의 사회적 위치" 태학사 111-155, 1999

      17 김진우, "언어 그 이론과 응용" 탑출판사 1985

      18 안옥선, "보살핌에 있어서 도덕의식의 타자화와 자기희생에 대한 불교윤리적 제안" 1 : 1-30, 2001

      19 하선규, "미감적 경험의 현상학적 재정의: 헤르만 슈미츠의 신체현상학과 미학이론에 대하여" 한국미학예술학회 23 : 275-315, 2006

      20 이민호, "만해 한용운 시의 탈식민주의 여성성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0 (10): 55-77, 2006

      21 차현실, "담화방식에 나타난 여성상과 여성의 사회적 위상 in : 언어와 여성의 사회적 위치" 태학사 159-229, 1999

      22 구현정, "남성형-여성형 어휘의 형태와 의미 연구" 25 : 99-135, 1995

      23 허라금, "남성성에 관하여" 2 : 1-25, 1999

      24 임지룡, "국어의미론" 탑출판사 2003

      25 민현식, "국어의 여성어 연구" 34 : 7-64, 1995

      26 김창섭, "국어 어휘체계에서의 남성항과 여성항 in : 언어와 여성의 사회적 위치" 태학사 87-108, 1999

      27 민현식, "국어 남녀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특성 연구" 5 (5): 529-587, 1997

      28 M. L. Andersen, "Thinking About Women(성의 사회학)" 이대출판부 1989

      29 Lakoff, R., "The logic of Politeness, or Minding your P's and Q's" Chicago Linguistic Society 91-99, 1973

      30 A. M. Jaggar, "A Companion to Feminist Philosophy(여성주의 철학 2)" 서광사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6 1.50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