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에 의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의 측정은 동맥경화의 조기발견, 뇌혈관질환, 죽상동맥경화증의 지표로서 사용되지만, 죽상경화증이 내막에 국한되어 발생하는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88781
2009
-
51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61-168(8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초음파에 의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의 측정은 동맥경화의 조기발견, 뇌혈관질환, 죽상동맥경화증의 지표로서 사용되지만, 죽상경화증이 내막에 국한되어 발생하는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
초음파에 의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의 측정은 동맥경화의 조기발견, 뇌혈관질환, 죽상동맥경화증의 지표로서 사용되지만, 죽상경화증이 내막에 국한되어 발생하는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의 측정은 혈관 벽의 전반적인 두께를 측정하며 일차적으로 중막의 변화를 측정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죽상경화반의 경우는 혈관벽을 따라 넓게 분포한 것이 아니라 일부분의 위치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죽상경화증을 더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경색환자에 대해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여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죽상경화반의 관계를 파악하고 뇌경색 예측인자인 죽상경화반의 선별검사로 경동맥 초음파 검사가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8년 1월에서 3월까지 뇌졸중 전문병원 신경과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B-mode 초음파를 이용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죽상경화반을 검사하였다. 뇌경색환자는 자기공명촬영을 통해 확인하고 나이, 성별과 두개강외 혈관 협착의 위험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연령이 높은 군에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가 이상이 있는 사람의 분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 = 0.004), 경동맥 분지에서의 죽상경화반은 연령이 높은 군에서 그 분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06).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가 정상인 사람 총 131명 중 죽상경화반이 발견된 경우는 90명(69%)이었고,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가 이상인 사람 총 91명 중 죽상경화반이 발견된 경우는 84명(92%)이어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가 이상적으로 두꺼운 사람에서 죽상경화반이 발견된 경우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05).
따라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죽상경화반은 밀접한 관련성이 있고, 뇌혈관 질환발생 여부 미치는 영향을 보기위해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is an early structural marker of the atherosclerotic process and is the only non-invasive test that is currently recommended by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for evaluation of the risk. However, use of this pa...
The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is an early structural marker of the atherosclerotic process and is the only non-invasive test that is currently recommended by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for evaluation of the risk. However, use of this parameter has a limitation because it assumes uniform thickness throughout the blood vessel, whereas atherosclerosis is a focal phenomenon that is confined to intima. In fact, plaque can be found along the atherosclerotic blood vessels even though its value is unknow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rotid plaque and IMT in the stroke patients. We investigated the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neurology at the Stroke Special Hospital from January to March 2008. After the carotid IMT and plaque were assessed by B-mode ultrasonography, IMT and carotid plaque to risk variables (age, sex) were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CCA IM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age (p = 0.004). Likewise, the distribution of carotid plaque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age (p = 0.006). Carotid plaque was 69 and 92% in normal and abnormal CCA IMT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CA IMT was closely associated with carotid plaqu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유리, "한국인의 경동맥 내증막 두께 정상치와 죽상경화증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 대한내과학회 65 (65): 275-283, 2003
2 박병현,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대혈관합병 증 발생예측인자로서 경동맥 내막중막두께 및 죽상경 환반" 24 : 603-613,
3 박병현,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고 혈압 유무에 따른 경동맥 중상경화증 및 죽상경화증 위험인자들의 비교" 52-62, 2000
4 고영국, "인슐린비의존형 죽상동맥경화증 위험인자들과의 관 계" 23 : 234-242, 1999
5 박태선, "인슐린 비의존형당뇨병 환자에서 경동맥 초음파로 측정한 경동맥 중막-내막 두께와 죽상경화증 위험 인자와의 관계" 20 : 145-152, 1996
6 송영빈, "고립성 수축기 고혈압 환자에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의 변화" 1 : 128-135, 2001
7 안정천, "경동맥의 내막 중막 두께와 관상동맥 질환 및 동맥 경화증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 130-137, 1996
8 O'Leary DH, "for the Cardiovascular Health Study Collaborative Research Group Carotid-artey intima and media thickness as a risk factor for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in older adults" 96 : 1432-1437, 1997
9 Wendelhag I, "Ultrasound measurement of wall thickness in the carotid artery :fundamental principles and description of a computerized analysing system" 11 : 565-577, 1991
10 J. David Spence, "Ultrasound measurement of carotid plaque as a surrogate outcome for coronary artery disease" 89 : 10B-16B, 2002
1 조유리, "한국인의 경동맥 내증막 두께 정상치와 죽상경화증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 대한내과학회 65 (65): 275-283, 2003
2 박병현,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대혈관합병 증 발생예측인자로서 경동맥 내막중막두께 및 죽상경 환반" 24 : 603-613,
3 박병현,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고 혈압 유무에 따른 경동맥 중상경화증 및 죽상경화증 위험인자들의 비교" 52-62, 2000
4 고영국, "인슐린비의존형 죽상동맥경화증 위험인자들과의 관 계" 23 : 234-242, 1999
5 박태선, "인슐린 비의존형당뇨병 환자에서 경동맥 초음파로 측정한 경동맥 중막-내막 두께와 죽상경화증 위험 인자와의 관계" 20 : 145-152, 1996
6 송영빈, "고립성 수축기 고혈압 환자에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의 변화" 1 : 128-135, 2001
7 안정천, "경동맥의 내막 중막 두께와 관상동맥 질환 및 동맥 경화증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 130-137, 1996
8 O'Leary DH, "for the Cardiovascular Health Study Collaborative Research Group Carotid-artey intima and media thickness as a risk factor for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in older adults" 96 : 1432-1437, 1997
9 Wendelhag I, "Ultrasound measurement of wall thickness in the carotid artery :fundamental principles and description of a computerized analysing system" 11 : 565-577, 1991
10 J. David Spence, "Ultrasound measurement of carotid plaque as a surrogate outcome for coronary artery disease" 89 : 10B-16B, 2002
11 Salonen JT, "Ultrasound B-mode imaging in observational studies of atherosclerotic progression" 87 (87): 56-65, 1993
12 Hodis HN, "The role of carotid arterial intima-media thickness in predicting clinical coronary events" 128 : 262-269, 1998
13 Geroulakos G, "The carotid IMT as a marker of the presense of severe symtomatic coronary artery diease" 15 : 781-785, 1994
14 Gariepy J, "Sex and topographic differences in associations between large-artery wall thickness and coronary risk profile in a French working cohort : the AXA Study"
15 Crouse JR, "Risk factors for extracranial carotid artery atherosclerosis" 18 : 990-996, 1987
16 Deparion M, "Reference values for IMT of carotid and femoral arteries in subjects 20 to 60 years and without cardiovascular rik factors" 93 : 721-726, 2000
17 Kwamori R, "Prevalence of carotid atherosclerosis in diabetic patients" 15 : 1291-1294, 1992
18 Mannami T, "Prevalance of asymptomatic carotid atheroscleotic lesions detected by high-resolution ultrasonography and its relation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a Japanese city" 28 : 518-525, 1997
19 Alain S, "Intima-media thickness : a new tool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risk" 159-16, 2002
20 Wikstrand J, "Frontiers in cardiovascular science :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atherosclerotic manifestations in humans" 12 : 114-119, 1992
21 Aminbakhsh A, "Detection of early atherosclerosis with B mode carotid ultrasonography : assessment of a new quantitative approach" 22 : 265-274, 1999
22 Ebrahim S, "Carotid plaque, intima media thickness,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prevalent cardiovascular disease in men and women : the British Regional Heart Study" 30-841, 1999
23 Adam MR,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s only weakly correlated with the extent and severity of coronary artery disease" 92 : 2127-2134, 1995
24 Grobbee DE,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as an indicator of generalised atherosclerosis" 236 : 567-573, 1994
25 Heiss G, "Carotid atherosclerosis measured by B-mode ultrasound in populations : associations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the ARIC study" 134 : 250-, 1991
26 Howard G, "Carotid artery IMT distribution in general populations as evaluated by B-mode ultrasound. ARIC Investigators" 24 : 1297-, 1993
27 Fisher CM, "Atherosclerosis of the carotid and vertebral arteries- extracranial and intracranial" 24 : 455-476, 1965
28 Chambless LE, "Associa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incidence with carotid arterial wall thickness and major risk factors : the Atheroscleoisis Risk in Communities(ARIC) Study, 1987-1993" 146 : 483-494, 1997
29 Handa N, "An ultrasonic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cranial carotid atherosclerosis and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in Japanese" 29 : 742-747, 1992
30 Armstrong ML, "Adaptive responses of the arterial wall as human atherosclerosis develops. in: Pathobiology of Human Atherosclerotic Plaque" Springer & Verlag 469-480, 1989
시각자극과 삼음교 자침으로 유발된 성적 흥분의 대뇌 활성화 영상의 비교
폐질환의 선별검사를 위한 저선량 전산화 단층촬영의 적용
한국토양 내 천연 방사성핵종에 의한 거주민의 방사선피폭평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5-0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대한방사선과학회영문명 : Korean Society Of Radiologial 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Radiological Science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7 | 0.37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 | 0.41 | 0.487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