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낮병원 치료 : 2년간 추적연구 = Day Hospital Treatment : A Controlled Follow Up Stu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962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저자들은 1989년 1월 1일부터 1990년 12월 31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 낮병원에서 퇴원한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30명을 같은 기간 보호병동에서 퇴원한 정신분열병 환자 30명과 성별, 연령, 주치의...

      저자들은 1989년 1월 1일부터 1990년 12월 31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 낮병원에서 퇴원한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30명을 같은 기간 보호병동에서 퇴원한 정신분열병 환자 30명과 성별, 연령, 주치의의 예후에 대한 평가등을 1:1로 짝지워 총30쌍, 60명을 대상으로 낮병원 입원이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기준 퇴원후 2년간을 후향적 추적방법으로 비교 연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추적기간동안 양군의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기준 퇴원시 학력과 이전 입원횟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재입원율, 재입원횟수, 재입원환자수, 누적재입원횟수, 누적재입원환자수 등의 일반 예후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지 낮병원군에서 기준 퇴원후 1년간의 재입원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컸는데, 2년후 전체 재입원율에 있어서는 양군이 유사하였다.
      3) 사회적응도에 있어 양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단지 낮병원군에서 재입원한 환자들 (n=6)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회적응정도가 향상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퇴원후 주로 6개월 내지 1년 이내에 입원에 의한 사회적응효과가 나타난다고 했으나 본 연구에서는 오히려 추적 기간의 후반부에 사회적응도가 향상하는 경향을 보여 저자들은 이점에 대해 낮병원에서의 사회적응훈련이 '후기 효과'를 보일 가능성에 대해서 토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만으로 낮병원 치료가 정신분열병환자의 예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확실한 결론은 얻을 수 없었다. 그러나 유병기간이 더 길고 사회적응이 어렵다고 판단된 낮병원 환자들과 보호병동군을 비교한 결과 기준퇴원후 2년간 각 예후변인들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것은 낮병원 치료가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재적응에 장기적으로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추론할 후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는 고려되지 못한 정신분열병의 예후에 관련이 있는 좀더 많은 변수들을 충분히 고려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two year retrospective follow up analysis of outcome was done comparing 30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discharged from standard in-patient hospital to day hospital treatment with 30 matched patients discharged directly to the community. The autho...

      A two year retrospective follow up analysis of outcome was done comparing 30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discharged from standard in-patient hospital to day hospital treatment with 30 matched patients discharged directly to the community. The authors developed an 80 item interview questionnaire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functioning, family functioning, psychopathology and rehospitalization. Index numbers of rehospitalization within two years were six in day hospital group, and eight in the comparative group respectively. When the duration was divided into three month intervals, cumulative percentage of number of patients rehospitalized was lower in the day hospital group. Readmission rate calculated by rehospitalization days divided by total follow-up days was, however, higher significantly in the day hospital group within one year. It seemed that this result within one year was due to the bias of selection of day hospital patient. That is, the poorer prediction of community adjustment by the psychiatrist was related with the day hospital treatment. Social functioning score checked on the rehospitalized patients showed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