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사회적 임팩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ocial impact of community-type parent education progra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080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ased on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how the community-typ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contributed to making changes in the participants' personal lives, family lives, and eve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impact. To this end,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22 people who experienced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type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m to derive exploratory results. Participants in the community-type parent education program felt that positive changes occurred in terms of mental and spiritual health, physical health, relationships with others, community, community, hobbies, careers, and financial status at the individual level.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 community-typ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contributed to raising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s parents, while lowering parenting stress. In addition, they responded that healthy lifestyles such as support, sharing, listening, and explaining appeared more naturally in the home. Furthermore, community-type parenting education helped to make parents' lives and families healthy,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contributing to community well-being by building trust in society and commun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ased on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how the community-typ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contributed to making changes in the participants' personal lives, family lives, and even society from the per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ased on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how the community-typ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contributed to making changes in the participants' personal lives, family lives, and eve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impact. To this end,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22 people who experienced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type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m to derive exploratory results. Participants in the community-type parent education program felt that positive changes occurred in terms of mental and spiritual health, physical health, relationships with others, community, community, hobbies, careers, and financial status at the individual level.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 community-typ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contributed to raising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s parents, while lowering parenting stress. In addition, they responded that healthy lifestyles such as support, sharing, listening, and explaining appeared more naturally in the home. Furthermore, community-type parenting education helped to make parents' lives and families healthy,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contributing to community well-being by building trust in society and commun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사회적 임팩트의 관점에서 참여자들의 개인의 삶, 가족의 삶, 나아가 사회 안에서의 변화를 만들어가는 데 어떻게 이바지하였는가를 참여자들의 인식을 토대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자 22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탐색적 결과를 도출하였다.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개인적 차원에서 정신적·영적 건강, 신체적 건강, 타인과의 관계, 커뮤니티, 공동체, 취미생활, 커리어(진로), 재정상태와 관련하여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고 느꼈다. 참여자들은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로서의 자신감, 만족감을 높이는데 기여한 반면, 양육 스트레스는 낮추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지지하기, 함께하기, 경청하기, 설명하기와 같은 건강한 삶의 모습이 가정 안에서 더욱 자연스럽게 나타났다고 응답하였다. 나아가 커뮤니티형 부모교육은 부모의 삶과 가정을 건강하게 만드는 데 도움을 주고, 사회와 공동체에 대한 믿음을 갖게 함으로써 커뮤니티 웰빙에 기여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사회적 임팩트의 관점에서 참여자들의 개인의 삶, 가족의 삶, 나아가 사회 안에서의 변화를 만들어가는 데 어떻게 이바지하였는가를 참...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사회적 임팩트의 관점에서 참여자들의 개인의 삶, 가족의 삶, 나아가 사회 안에서의 변화를 만들어가는 데 어떻게 이바지하였는가를 참여자들의 인식을 토대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자 22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탐색적 결과를 도출하였다.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개인적 차원에서 정신적·영적 건강, 신체적 건강, 타인과의 관계, 커뮤니티, 공동체, 취미생활, 커리어(진로), 재정상태와 관련하여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고 느꼈다. 참여자들은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로서의 자신감, 만족감을 높이는데 기여한 반면, 양육 스트레스는 낮추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지지하기, 함께하기, 경청하기, 설명하기와 같은 건강한 삶의 모습이 가정 안에서 더욱 자연스럽게 나타났다고 응답하였다. 나아가 커뮤니티형 부모교육은 부모의 삶과 가정을 건강하게 만드는 데 도움을 주고, 사회와 공동체에 대한 믿음을 갖게 함으로써 커뮤니티 웰빙에 기여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유선 ; 김찬우, "후속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소득과 취업유무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10) : 59-84, 2018

      2 최운실, "한국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 특성 및 관련 요인 분석" 원격교육연구소 2 (2): 1-35, 2006

      3 김유숙 ; 정순중, "학부모 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817-838, 2006

      4 조주연, "출산기 여성의 산후경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5 김희진 ; 박선미, "정부 개발 부모교육 자료의 시대적 분석:개발 배경을 중심으로" 한국육아지원학회 11 (11): 151-177, 2016

      6 이삼식, "저출산 대응 정책의 효과성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7 정교영 ; 신희천, "자기결정이론을 근거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23 (23): 603-634, 2011

      8 이용탁, "임팩트 투자에 있어서 임팩트 측정에 관한 탐색적 고찰" KNU 기업경영연구소 11 (11): 97-120, 2020

      9 최여진 ; 조희선, "유자녀 임신부의 후속출산 결정 경험" 가정과삶의질학회 36 (36): 25-44, 2018

      10 정계숙 ; 최은실,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부모 참 역량 척도」개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225-257, 2013

      1 강유선 ; 김찬우, "후속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소득과 취업유무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10) : 59-84, 2018

      2 최운실, "한국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 특성 및 관련 요인 분석" 원격교육연구소 2 (2): 1-35, 2006

      3 김유숙 ; 정순중, "학부모 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817-838, 2006

      4 조주연, "출산기 여성의 산후경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5 김희진 ; 박선미, "정부 개발 부모교육 자료의 시대적 분석:개발 배경을 중심으로" 한국육아지원학회 11 (11): 151-177, 2016

      6 이삼식, "저출산 대응 정책의 효과성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7 정교영 ; 신희천, "자기결정이론을 근거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23 (23): 603-634, 2011

      8 이용탁, "임팩트 투자에 있어서 임팩트 측정에 관한 탐색적 고찰" KNU 기업경영연구소 11 (11): 97-120, 2020

      9 최여진 ; 조희선, "유자녀 임신부의 후속출산 결정 경험" 가정과삶의질학회 36 (36): 25-44, 2018

      10 정계숙 ; 최은실,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부모 참 역량 척도」개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225-257, 2013

      11 백은주 ; 강민정 ; 한선아, "어머니의 특성과 자녀의 기질이 자녀 양육의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50 (50): 65-78, 2012

      12 정계숙 ; 유미숙 ; 차지량 ; 최은아 ; 박희경 ; 김지연, "액션러닝 기반 부모 역량 증진 실천공동체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유아와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501-531, 2014

      13 김영옥, "실천학습공동체의 학습과정 연구: 재능기부 학습동아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1 (11): 189-213, 2015

      14 이성아 ; 정효정, "실천공동체에 기반을 둔 부모교육 프로그램운영모델의 개발 및 적용" 한국가족학회 28 (28): 184-216, 2016

      15 고은현 ; 이성, "성인의 평생학습을 통한 행복과 행복요인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6 (26): 851-870, 2014

      16 이진 ; 임선아, "부모교육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학회 58 (58): 117-143, 2020

      17 이숙, "부모교육" 학지사 2002

      18 노신애 ; 신영미 ; 김혜중, "가족학 분야에서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가정과삶의질학회 36 (36): 15-38, 2018

      19 서주현 ; 유영만, "Wenger의 실천공동체(CoP)에 비추어 본 온라인 부모교육 커뮤니티에서 발생하는 학습과정 사례 연구" 열린부모교육학회 13 (13): 55-81, 2021

      20 Clark, L., "Unpacking the Impact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ource Guide 4. Developing a MEL Approach"

      21 Sabates, R., "The impact of lifelong learning on happiness and well-being" Centre for Research on the Wider Benefits of Learning 2008

      22 Lamer, "South Korea’s Most Dangerous Enemy: Demographic"

      23 Kahn, W. A.,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33 (33): 692-724, 1990

      24 Rob, M., "Parenting : can skills be learned?" 15 (15): 189-193, 1980

      25 Schlossman, S., "Before Home Start : Notes toward a history of parent education in America, 1897-1929" 46 (46): 436-467, 1976

      26 김재민, "2015년 서울시 성인지통계 : 통계로 보는 서울여성"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