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진화론은 세계정세의 현실을 알리고 국가 근대화의 필요성을 계몽시키는 이론으로 한국에 소개되었고, 특히 20세기 초에는 국가유기체설과 결합되어 계몽적 지식인들로부터 선풍적 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59141
2012
Korean
사회진화론 ; 생명관리정치(bio-politique) ; 생철학 ; 본능 ; 비애 ; Social Darwinism ; bio-politique ; Lebensphilosophie ; instinct ; melancholy
810
KCI등재
학술저널
83-113(31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진화론은 세계정세의 현실을 알리고 국가 근대화의 필요성을 계몽시키는 이론으로 한국에 소개되었고, 특히 20세기 초에는 국가유기체설과 결합되어 계몽적 지식인들로부터 선풍적 인...
사회진화론은 세계정세의 현실을 알리고 국가 근대화의 필요성을 계몽시키는 이론으로 한국에 소개되었고, 특히 20세기 초에는 국가유기체설과 결합되어 계몽적 지식인들로부터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로 약육강식의 사회가 주는 개체의 공포감을 무한한 생명력으로 극복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사회진화론의 영향력은 급속히 감소해 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10년대 사회진화론을 둘러싼 담론을 살펴보면, 진화론적 세계관이 완전히 극복되지 못한 채 지속적인 영향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제1차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소수민족에 대한 배타적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조선 민족의 운명을 걱정하는 견해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무자비한 사회진화론의 논리를 비판하는 우화와 생존을 위한 투쟁을 정당화하는 우화가 『학지광』에 게재되었다.
이러한 우화를 통해 사회진화론과 생명관리정치의 관계를 유추할 수 있다. 사회진화론은 약육강식의 논리로 생명의 가치를 구분하는 포함과 배제의 논리를 작동시키는데, 이에 따라 생명을 조절하고 통제하며 통치할 수 있게 하는 생명관리정치(bio-politique)를 출현케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근대적 주체들은 언제 도태되어 살 가치가 없는 생명으로 배제될지 모른다는 공포에 사로잡히게 된다.
이에 따라 이 시기에는 사회진화론을 비판적으로 전유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들은 표면적으로는 낡은 도덕으로서의 유교를 극복한다는 명분을 내세우며 사회진화론의 개념들을 사용했으나, 그 수단으로 물질이 아닌 정신적 측면을 내세운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에는 니체, 베르그송 등의 생철학이 영향을 끼쳤다. 그 중에서도 최승구는 그동안 억압되었던 본능의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개체와 공동체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새로운’ 도덕을 주장했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도덕을 선취하고 있는 것으로 자연이 호명되기도 하였다.
한편, 생명에 대한 물질과 정신의 이분법적 시선에서 벗어나기 위한 모색도 이뤄졌다. 생명에 물질적 측면과 정신적 측면이 모두 존재하며, 정신적 측면에서의 생명이야말로 불후의 생명이라고 주장이 나타났다. 이처럼 내적 생명이 강조되면서 예술, 철학, 종교의 가치가 발견되었다. 이들은 과학과 대비되는 것으로 내적 생명의 자각을 중시함으로써 물질과 정신의 이분법을 극복하고자 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cial Darwinism was introduced in 1890"s as a theory that could explain reality of Korea and enlighten Korean people about necessity of modernization. Although influence of Social Darwinism rapidly decreased around First World War, it still had conti...
Social Darwinism was introduced in 1890"s as a theory that could explain reality of Korea and enlighten Korean people about necessity of modernization. Although influence of Social Darwinism rapidly decreased around First World War, it still had continuous influence after 1910"s. This was because there were still many opinions that worry about Cho-sun"s destiny. For First World War, there were formed exclusive mood for minority race around the world.
Accordingly two allegories published in 『학지광(Hak-Ji-Gwang)』. One criticized brutal logic of Social Darwinism and the other justified struggle for life. These two allegories make us analogize the relationship of Social Darwinism and ‘bio-politique’. Social Darwinism made the logic of inclusion and exclusion work, and this could bring ‘bio-politique’ into being, which control and rule living things. So subject could feel fear, because whenever they could rule out from human society. It was not natural selection, but social selection.
For overcoming their fear, one tendency appeared at this time. They apparently justified their conduct in overcoming confucianism, however they actually insisted mental aspect not material as the means. This conversion of awareness about life was influenced by Lebensphilosophie. Especially, Choi-Sungu(최승구) discovered value of haman instinct and claimed that individual and community is related closel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people who did seek for way to get out of dichotomy of material and mental about life. They insisted that only mental life is immortal. As emphasizing on mental life, the value of art, philosophy, religion was discovered also.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Giorgio Agamben, "호모 사케르" 새물결 2008
2 김제란, "한, 중, 일 근대불교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대응양식 비교-동아시아 불교의 사회진화론 수용과 비판의 두 흐름-"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117-166, 2010
3 "학지광"
4 박노자, "쾌남아(快男兒), 천재, 영웅 키우기 -1910~30년대 조선에서의 아동ㆍ청소년 훈육 담론의 전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6) : 51-102, 2008
5 이경훈, "청년과 민족 ― 『學之光』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44 (44): 269-303, 2003
6 Henry Bergson, "창조적 진화" 아카넷 2005
7 권보드래, "진화론의 갱생, 인류의 탄생 ―1910년대의 인식론적 전환과 3․1 운동" 대동문화연구원 (66) : 223-253, 2009
8 坂元ひろこ, "중국 민족주의의 신화" 지식의 풍경 2006
9 Giorgio Agamben, "장치란 무엇인가?/장치학을 위한 서론" 난장 2010
1 Giorgio Agamben, "호모 사케르" 새물결 2008
2 김제란, "한, 중, 일 근대불교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대응양식 비교-동아시아 불교의 사회진화론 수용과 비판의 두 흐름-"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117-166, 2010
3 "학지광"
4 박노자, "쾌남아(快男兒), 천재, 영웅 키우기 -1910~30년대 조선에서의 아동ㆍ청소년 훈육 담론의 전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6) : 51-102, 2008
5 이경훈, "청년과 민족 ― 『學之光』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44 (44): 269-303, 2003
6 Henry Bergson, "창조적 진화" 아카넷 2005
7 권보드래, "진화론의 갱생, 인류의 탄생 ―1910년대의 인식론적 전환과 3․1 운동" 대동문화연구원 (66) : 223-253, 2009
8 坂元ひろこ, "중국 민족주의의 신화" 지식의 풍경 2006
9 Giorgio Agamben, "장치란 무엇인가?/장치학을 위한 서론" 난장 2010
10 이행미, "염상섭 초기소설에 나타난 생명의식의 변모양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11 Mark Mazower, "암흑의 대륙" 후마니타스 2009
12 Michel Foucault, "안전, 영토, 인구" 난장 2011
13 박성진, "사회진화론과 식민지 사회사상" 도서출판 선인 2003
14 전복희, "사회진화론과 국가사상" 한울 1996
15 최주한, "민족개조론과 相愛의 윤리학" 인문과학연구소 (30) : 295-336, 2011
16 신범순, "노래의 상상계"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17 박승희, "근대 초기 매체의 세계 인식과 문학사" 한민족어문학회 (53) : 75-98, 2008
18 "개벽"
19 趙京蘭, "進化論의 中國的 수용과 역사인식의 전환 : 嚴復·梁啓超·章炳麟·魯迅을 중심으로"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5
20 구인모, "『학지광』문학론의 미학주의" 태학사 (창간) : 2000
21 조영복, "1920년대 초기 시의 이념과 미학" 소명출판 2004
22 이철호, "1920년대 초기 동인지 문학에 나타난 生命 의식-田榮澤의 生命의 봄을 위한 서설" 한국문학연구소 (31) : 193-224, 2006
23 김형국, "1920년대 초 민족개조론 검토" (19) : 2001
24 송민호, "1920년대 맑스주의 문예학에서 ‘과학적 태도’ 형성의 배경" 한국현대문학회 (29) : 73-105, 200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2 | 0.72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91 | 1.388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