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遼의 군사제도와 전술 = Liao dynasty‘s Military Institution and Tactic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ao dynasty completed the tribal system by going through the Gopbu, dozens of departments, the Daeha and the Ryon Ci leagues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dynasty. The King Taejo of Liao dynasty created the upper part of the North and South to take charge of the civil and military affairs of the tribe of Guran, and was subjugated to Bukmyeonwan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From King Taejong's time, Bukmyeonwan was in charge of the army of Liao dynasty.
      Taejo and other emperors assigned themselves to the royal court, and mobilized them to train their own pro-military palace guards. In addition, as the importance of infantry was highlighted, Oh Gyeong-hyang's disease using the Han Chinese was developed and used as the central army of Liao. The Yoga emperors trained the royal court and the central army to reinforce the tribes, which were the main forces of Yoga in the early days of the country's founding. These tribes began as cavalry troops made up of the Giran tribe, and were called Gyu-gun, a unit that was generalized by various tribes.
      Liao dynasty established a key central force and ran the Royal Guard. There were the royal friends who were created by King Taejo and the royal family, Soksan County, which was built by Empress Eungcheon. There were a variety of special forces in these pro-defense forces, and there were special forces that saved the special abilities of the surrounding tribes. In the early days of Liao dynasty founding, special cavalry was the key force utilizing cavalry with strong tribal characteristics. The special cavalry was a tactic to quickly break into the enemy's center, seize the enemy's capital, and capture the king or the enemy's commander. However, it was difficult for such tactics to build a fortified fortress with deep mountains and valleys and high fortresses. The fortress was favored by infantry rather than cavalry. Liao dynasty operated a Hyangbyeong centered on infantry along with cavalry in the course of attacking agricultural countries such as Goryeo and Song. Hyangbyeong was a unit of the Han people and a unit of the Byeongnug. The infantry was mainly used to take down the castle.
      번역하기

      Liao dynasty completed the tribal system by going through the Gopbu, dozens of departments, the Daeha and the Ryon Ci leagues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dynasty. The King Taejo of Liao dynasty created the upper part of the North and South to take ch...

      Liao dynasty completed the tribal system by going through the Gopbu, dozens of departments, the Daeha and the Ryon Ci leagues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dynasty. The King Taejo of Liao dynasty created the upper part of the North and South to take charge of the civil and military affairs of the tribe of Guran, and was subjugated to Bukmyeonwan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From King Taejong's time, Bukmyeonwan was in charge of the army of Liao dynasty.
      Taejo and other emperors assigned themselves to the royal court, and mobilized them to train their own pro-military palace guards. In addition, as the importance of infantry was highlighted, Oh Gyeong-hyang's disease using the Han Chinese was developed and used as the central army of Liao. The Yoga emperors trained the royal court and the central army to reinforce the tribes, which were the main forces of Yoga in the early days of the country's founding. These tribes began as cavalry troops made up of the Giran tribe, and were called Gyu-gun, a unit that was generalized by various tribes.
      Liao dynasty established a key central force and ran the Royal Guard. There were the royal friends who were created by King Taejo and the royal family, Soksan County, which was built by Empress Eungcheon. There were a variety of special forces in these pro-defense forces, and there were special forces that saved the special abilities of the surrounding tribes. In the early days of Liao dynasty founding, special cavalry was the key force utilizing cavalry with strong tribal characteristics. The special cavalry was a tactic to quickly break into the enemy's center, seize the enemy's capital, and capture the king or the enemy's commander. However, it was difficult for such tactics to build a fortified fortress with deep mountains and valleys and high fortresses. The fortress was favored by infantry rather than cavalry. Liao dynasty operated a Hyangbyeong centered on infantry along with cavalry in the course of attacking agricultural countries such as Goryeo and Song. Hyangbyeong was a unit of the Han people and a unit of the Byeongnug. The infantry was mainly used to take down the cast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요는 건국 전에 고팔부와 수십부, 대하씨 연맹, 요련씨 연맹을 거치면서 부족제도를 완성하였다. 요의 태조는 북 · 남 재상부를 만들어 거란족의 민정과 군정을 맡게 하였으며, 태종 대에 북면관에 예속시켰다. 태종 대부터 북면관은 요의 군사를 총괄하였다.
      태조와 역대 황제들은 항복한 정복민을 자신을 궁위에 배속시켰으며, 이들을 동원하여 자신의 친위군인 궁위기군을 양성하였다. 또한 보병의 중요성이 부각 되면서 한족을 활용한 오경향병을 양성하여 요의 중앙군으로 활용하였다. 요의 황제들이 궁위군과 오경향병을 중앙군으로 양성한 것은 건국 초기 요의 주력군이었던 부족군을 견재하기 위함이었다. 이들 부족군은 거란족으로 구성된 기병 부대로 시작하여, 다양한 부족으로 평성된 부대인 규군으로 범칭되었다. 요군은 핵심 중앙군으로 어장친위군을 운영하였다. 어장친군으로 태조가 만든 대장피실군과 응천황후가 만든 속산군이 있었다. 이들 친위군에는 다양한 특수병들이 있었으며, 주변 부족의 특기를 살린 특수군도 있었다.
      요의 건국 초기에는 부족적 성격이 강한 기병을 활용한 돌격기병이 핵심 전력이었다. 돌격기병은 적의 중심지로 빠르게 침입하여 적의 수도를 장악하고, 왕이나 적군의 지휘자를 사로잡는 전술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전술도 산과 계곡이 깊고, 성곽이 높은 요새화된 성곽을 공성하는 것은 힘들었다. 성곽을 공성하는 것은 기병보다는 보병이 유리하였다. 요는 고려와 송 등과 같은 농경 국가를 공략하는 과정에서 기병과 함께 보병을 중심으로 하는 향병을 운영하였다. 향병은 한족이 다수 포함 되어 있었으며, 병농일치의 부대였다. 향병으로 이루어진 보병은 주로 공성을 위해 투입되었다.
      번역하기

      요는 건국 전에 고팔부와 수십부, 대하씨 연맹, 요련씨 연맹을 거치면서 부족제도를 완성하였다. 요의 태조는 북 · 남 재상부를 만들어 거란족의 민정과 군정을 맡게 하였으며, 태종 대에 북...

      요는 건국 전에 고팔부와 수십부, 대하씨 연맹, 요련씨 연맹을 거치면서 부족제도를 완성하였다. 요의 태조는 북 · 남 재상부를 만들어 거란족의 민정과 군정을 맡게 하였으며, 태종 대에 북면관에 예속시켰다. 태종 대부터 북면관은 요의 군사를 총괄하였다.
      태조와 역대 황제들은 항복한 정복민을 자신을 궁위에 배속시켰으며, 이들을 동원하여 자신의 친위군인 궁위기군을 양성하였다. 또한 보병의 중요성이 부각 되면서 한족을 활용한 오경향병을 양성하여 요의 중앙군으로 활용하였다. 요의 황제들이 궁위군과 오경향병을 중앙군으로 양성한 것은 건국 초기 요의 주력군이었던 부족군을 견재하기 위함이었다. 이들 부족군은 거란족으로 구성된 기병 부대로 시작하여, 다양한 부족으로 평성된 부대인 규군으로 범칭되었다. 요군은 핵심 중앙군으로 어장친위군을 운영하였다. 어장친군으로 태조가 만든 대장피실군과 응천황후가 만든 속산군이 있었다. 이들 친위군에는 다양한 특수병들이 있었으며, 주변 부족의 특기를 살린 특수군도 있었다.
      요의 건국 초기에는 부족적 성격이 강한 기병을 활용한 돌격기병이 핵심 전력이었다. 돌격기병은 적의 중심지로 빠르게 침입하여 적의 수도를 장악하고, 왕이나 적군의 지휘자를 사로잡는 전술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전술도 산과 계곡이 깊고, 성곽이 높은 요새화된 성곽을 공성하는 것은 힘들었다. 성곽을 공성하는 것은 기병보다는 보병이 유리하였다. 요는 고려와 송 등과 같은 농경 국가를 공략하는 과정에서 기병과 함께 보병을 중심으로 하는 향병을 운영하였다. 향병은 한족이 다수 포함 되어 있었으며, 병농일치의 부대였다. 향병으로 이루어진 보병은 주로 공성을 위해 투입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영남, "遼代 部族制度의 樣相과 그 性格" 동양사학회 (131) : 307-332, 2015

      2 유빛나, "초기 거란의 성장과 국제적 위상 -태조·태종시기(907~947)를 중심으로-" 만주학회 (17) : 7-38, 2014

      3 최진열, "유목국가·이민족왕조의 통치체제 정비·운영과 定住·農耕民의 역할" 고구려발해학회 46 : 145-195, 2013

      4 "요사·금사·원사 외국전 역주" 동북아역사재단

      5 "요사"

      6 이재범, "여요전쟁시 고려와 요의 군사력 비교" 1999

      7 "수서"

      8 "구오대사"

      9 "구당서"

      10 "고려사절요"

      1 나영남, "遼代 部族制度의 樣相과 그 性格" 동양사학회 (131) : 307-332, 2015

      2 유빛나, "초기 거란의 성장과 국제적 위상 -태조·태종시기(907~947)를 중심으로-" 만주학회 (17) : 7-38, 2014

      3 최진열, "유목국가·이민족왕조의 통치체제 정비·운영과 定住·農耕民의 역할" 고구려발해학회 46 : 145-195, 2013

      4 "요사·금사·원사 외국전 역주" 동북아역사재단

      5 "요사"

      6 이재범, "여요전쟁시 고려와 요의 군사력 비교" 1999

      7 "수서"

      8 "구오대사"

      9 "구당서"

      10 "고려사절요"

      11 "고려사"

      12 전경숙, "고려 성종대 거란의 침략과 군사제도 개편"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1) : 229-259, 2014

      13 "麗遼戰爭史" 國防部戰史編纂委員會

      14 이홍두, "高麗 契丹戰爭과 騎兵戰術" 한국사학회 (80) :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Institute, MND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1.02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