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로마의 대(對) 파르티아 전략: 네로의 아르메니아 전쟁(54~63CE)과 란데이아(Rhandeia) 조약 = Nero’s Armenian War of 54~63CE and the Treaty of Rhande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488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로마의 대(對) 파르티아 전략에서 아르메니아가 차지했던 위치를 네로의 아르메니아 전쟁(54~63CE)과 그 전쟁을 종결지은 63년 란데이아 조약(Treaty of Rhandeia)을 중심으로 살핀다. 첫째로 ‘로마 제국의 전략이라는 것이 과연 존재했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해묵은 논쟁을 간략히 정리한다. 둘째로 기원전후 1세기 동안 아르메니아가 로마와 파르티아 사이에서 ‘접경화’ 또는 ‘완충지대화’한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셋째로 네로의 아르메니아 전쟁이 일어나게 된 원인, 과정, 결과에 대해 상세하게 다룬다. 넷째로 63년 전쟁을 종결지은 란데이아 조약과 그 이행을 위한 66년 티리다테스 1세(Tiridates I)의 로마 방문이 갖는 전략적 의의에 대해 논한다.
      로마 제국에 전략이 존재했는가 여부는 로마 제국 대전략(Grand Strategy)에 관한 러트왁(E. W. Luttwak)의 연구 이후 가장 논쟁적인 주제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제국의 중앙에는 분명 전략을 ‘수립’하고 그 전략의 ‘지속성’을 보장하게 하는 ‘의사 결정 집단(decision-making group)’이 존재했다. 황제 자문위(consilium principis)를 비롯해 국가의 최고위층(primores civitatis)이라고 할 수 있는 이들은 군사적으로 중차대한 결정의 순간마다 황제의 최측근 조언자로 기능했다. 또한 당시 로마나 파르티아 같은 대제국들의 변경 및 외교 정책이나 군사 배치, 이동, 보급 같은 것들은 상대적으로 그 주변부에 존재했던 왕국이나 부족국가들의 기준에서 볼 때 충분히 ‘전략’적이라 할 만한 것들이었다.
      제 3차 미트리다테스 전쟁의 결과, 기원전 66년 아르메니아 왕국은 로마의 동쪽 변경이자 파르티아의 서쪽 변경인 접경지대에 위치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후 로마의 대(對) 파르티아 전략에서 지정학적으로 중요해졌다. 기원전 53년 크라수스의 파르티아 원정 실패 이후 험악했던 양국 관계는 기원전 20년 아우구스투스의 기지로 회복되었다. 아르메니아 문제는 파르티아가 추천한 아르메니아 왕위 후보자를 로마가 임명하는 형식으로 일단락됐으나, 실질적으로는 로마 황제가 아르메니아 주변 왕가들에서 친 로마적인 인사를 임명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황위계승이 걸린 빈번한 내분으로 개입의 기회를 놓치고 있던 파르티아는 서기 54년 같은 아르사케스조의 티리다테스 1세(Tiridates I)를 기습적으로 아르메니아 왕위에 앉힘으로써 전략적 우위를 점하려고 시도했다. 이에 네로가 코르불로를 파견하기로 결정하면서 아르메니아 전쟁이 시작됐다.
      코르불로의 작전 수행은 로마의 기본전략이 반영된 것이었다. 동부 속주들의 방위를 재정비하고 아르메니아에서의 로마 우위를 되찾으면서 파르티아와의 전면전은 피했다. 그러나 승기에 고무된 네로가 지휘관을 파이투스로 교체하고 아르메니아 병합을 시도하면서 전면전이 불가피해졌다. 결과는 서기 62년 란데이아에서의 뼈아픈 패배였다. 이듬해 네로가 국가의 최고위층(primores civitatis)과 상의한 끝에 지휘권을 코르불로에게 넘기자 다시 상황이 로마에 유리하게 흐르기 시작했고, 코르불로는 사태를 수습하고 아르사케스조 파르티아를 위협하여 란데이아 조약을 이끌어냈다. 조약의 주요 내용은 향후 로마 황제가 파르티가 추천한 아르사케스조 왕족을 아르메니아 왕으로 승인할 것, 그래서 로마에서 네로의 주관으로 티리다테스 1세의 대관식을 갖는 것이었다. 서기 66년 네로는 로마를 방문한 티리다테스 1세에게 왕...
      번역하기

      이 논문은 로마의 대(對) 파르티아 전략에서 아르메니아가 차지했던 위치를 네로의 아르메니아 전쟁(54~63CE)과 그 전쟁을 종결지은 63년 란데이아 조약(Treaty of Rhandeia)을 중심으로 살핀다. 첫...

      이 논문은 로마의 대(對) 파르티아 전략에서 아르메니아가 차지했던 위치를 네로의 아르메니아 전쟁(54~63CE)과 그 전쟁을 종결지은 63년 란데이아 조약(Treaty of Rhandeia)을 중심으로 살핀다. 첫째로 ‘로마 제국의 전략이라는 것이 과연 존재했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해묵은 논쟁을 간략히 정리한다. 둘째로 기원전후 1세기 동안 아르메니아가 로마와 파르티아 사이에서 ‘접경화’ 또는 ‘완충지대화’한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셋째로 네로의 아르메니아 전쟁이 일어나게 된 원인, 과정, 결과에 대해 상세하게 다룬다. 넷째로 63년 전쟁을 종결지은 란데이아 조약과 그 이행을 위한 66년 티리다테스 1세(Tiridates I)의 로마 방문이 갖는 전략적 의의에 대해 논한다.
      로마 제국에 전략이 존재했는가 여부는 로마 제국 대전략(Grand Strategy)에 관한 러트왁(E. W. Luttwak)의 연구 이후 가장 논쟁적인 주제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제국의 중앙에는 분명 전략을 ‘수립’하고 그 전략의 ‘지속성’을 보장하게 하는 ‘의사 결정 집단(decision-making group)’이 존재했다. 황제 자문위(consilium principis)를 비롯해 국가의 최고위층(primores civitatis)이라고 할 수 있는 이들은 군사적으로 중차대한 결정의 순간마다 황제의 최측근 조언자로 기능했다. 또한 당시 로마나 파르티아 같은 대제국들의 변경 및 외교 정책이나 군사 배치, 이동, 보급 같은 것들은 상대적으로 그 주변부에 존재했던 왕국이나 부족국가들의 기준에서 볼 때 충분히 ‘전략’적이라 할 만한 것들이었다.
      제 3차 미트리다테스 전쟁의 결과, 기원전 66년 아르메니아 왕국은 로마의 동쪽 변경이자 파르티아의 서쪽 변경인 접경지대에 위치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후 로마의 대(對) 파르티아 전략에서 지정학적으로 중요해졌다. 기원전 53년 크라수스의 파르티아 원정 실패 이후 험악했던 양국 관계는 기원전 20년 아우구스투스의 기지로 회복되었다. 아르메니아 문제는 파르티아가 추천한 아르메니아 왕위 후보자를 로마가 임명하는 형식으로 일단락됐으나, 실질적으로는 로마 황제가 아르메니아 주변 왕가들에서 친 로마적인 인사를 임명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황위계승이 걸린 빈번한 내분으로 개입의 기회를 놓치고 있던 파르티아는 서기 54년 같은 아르사케스조의 티리다테스 1세(Tiridates I)를 기습적으로 아르메니아 왕위에 앉힘으로써 전략적 우위를 점하려고 시도했다. 이에 네로가 코르불로를 파견하기로 결정하면서 아르메니아 전쟁이 시작됐다.
      코르불로의 작전 수행은 로마의 기본전략이 반영된 것이었다. 동부 속주들의 방위를 재정비하고 아르메니아에서의 로마 우위를 되찾으면서 파르티아와의 전면전은 피했다. 그러나 승기에 고무된 네로가 지휘관을 파이투스로 교체하고 아르메니아 병합을 시도하면서 전면전이 불가피해졌다. 결과는 서기 62년 란데이아에서의 뼈아픈 패배였다. 이듬해 네로가 국가의 최고위층(primores civitatis)과 상의한 끝에 지휘권을 코르불로에게 넘기자 다시 상황이 로마에 유리하게 흐르기 시작했고, 코르불로는 사태를 수습하고 아르사케스조 파르티아를 위협하여 란데이아 조약을 이끌어냈다. 조약의 주요 내용은 향후 로마 황제가 파르티가 추천한 아르사케스조 왕족을 아르메니아 왕으로 승인할 것, 그래서 로마에서 네로의 주관으로 티리다테스 1세의 대관식을 갖는 것이었다. 서기 66년 네로는 로마를 방문한 티리다테스 1세에게 왕...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investigates Nero’s Armenian War of 54~63CE and the Treaty of Rhandeia to highlight the geostrategic importance of Armenia in the context of the Roman strategy against Parthia. Firstly, I will summarize the old debate on the question whether there was the grand strategy of the Roman Empire. Secondly, I will explain the processes of forcing the kingdom of Armenia to be situated in the contact zone(or the buffer zone) between the imperial powers of Rome and Parthia, and the crucial phases of Nero’s Armenian War during the first century CE. Thirdly, I discuss the strategic intent to conclude the Treaty of Rhandeia in 63CE, which was followed by the coronation of Tiridates I by Nero at Rome in 66CE.
      Since E. W. Luttwak’s study on the Grand Strategy of the Roman Empire was published, it has been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topics whether the Romans had their imperial strategy. There was a certain decision-making group in the Roman imperial court, who were able to ‘establish’ and ‘maintain’ a consistent strategy. The primores civitatis(foremost authorities of the state), the consilium principis(council of the princeps) in particular, acted as the closest advisers of the emperor at times of crucial decisions. Ultimately, it is probable that the military disposition, operation and logistics of the greater empires of Rome and Parthia, along with their frontier and foreign policies, were considered to have been relatively ‘strategic’ by people of the neighbouring kingdoms and tribal states.
      In 66 BC, as the outcome of the Third Mithridatic War, the kingdom of Armenia was driven into the contact zone between the eastern frontier of Rome and the western frontier of Parthia, and therefore it first became to have the geostrategic importance in the Roman strategy facing against Parthia. Rome’s foreign relations with Parthia, which had been unsecured after Crassus’ defeat and fall at the battle of Carrhae in 53BCE, were restored by Augustus’ peace settlement in 20BCE. The Armenian question was resolved with the agreement that the Roman emperor appoints the king of Armenia whom the Parthian king of kings has recommended, but since then in practice the former would appoint the kings out of non-Armenian royal families while the latter often underwent civil wars of the Parthian succession. In 54CE the Parthian king of kings Vologaeses I raided Armenia and crowned his brother Tiridates I king of Armenia to take strategic superiority over the upper Euphrates. Nero decided to begin war against the Arsacid kings and appointed Gnaeus Domitius Corbulo as the dux belli(commander of war).
      Corbulo conducted military operations based on the Roman strategy against Parthia. He strengthened the defence of the eastern provinces, restored hegemony over Armenia, and tried to evade a full-scale war with Parthia. However, the war became inevitable when Nero had placed Lucius Caesennius Paetus in command to annex Armenia, which was resulted in the serious defeat at Rhandeia in 62CE. Nero after sought advices from the primores civitates replaced Paetus with Corbulo who rectified the urgent situation and managed to draw up the Treaty of Rhandeia with the Arsacid kings in 63CE. The main agreement of the Treaty was that the Roman emperor approves of a Parthian prince as king of Armenia, thereby crowning Tiridates I by Nero at Rome. In 66CE Nero spent a huge budget on holding the clamorous coronation for his propaganda purpose.
      From a strategic point of view, venturing into a full-scaled war to incorporate the kingdom of Armenia into a province of either Rome or Parthia was not any good solution to the Armenian question. The province of Armenia undoubtedly would have required much mor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o control and defend the extended borderlands. It was strategically better option for both Rome and Parthia to maintain Armenia as a buffer state situated in the contact zone between them. The Treaty of Rhandeia in ...
      번역하기

      This study re-investigates Nero’s Armenian War of 54~63CE and the Treaty of Rhandeia to highlight the geostrategic importance of Armenia in the context of the Roman strategy against Parthia. Firstly, I will summarize the old debate on the question w...

      This study re-investigates Nero’s Armenian War of 54~63CE and the Treaty of Rhandeia to highlight the geostrategic importance of Armenia in the context of the Roman strategy against Parthia. Firstly, I will summarize the old debate on the question whether there was the grand strategy of the Roman Empire. Secondly, I will explain the processes of forcing the kingdom of Armenia to be situated in the contact zone(or the buffer zone) between the imperial powers of Rome and Parthia, and the crucial phases of Nero’s Armenian War during the first century CE. Thirdly, I discuss the strategic intent to conclude the Treaty of Rhandeia in 63CE, which was followed by the coronation of Tiridates I by Nero at Rome in 66CE.
      Since E. W. Luttwak’s study on the Grand Strategy of the Roman Empire was published, it has been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topics whether the Romans had their imperial strategy. There was a certain decision-making group in the Roman imperial court, who were able to ‘establish’ and ‘maintain’ a consistent strategy. The primores civitatis(foremost authorities of the state), the consilium principis(council of the princeps) in particular, acted as the closest advisers of the emperor at times of crucial decisions. Ultimately, it is probable that the military disposition, operation and logistics of the greater empires of Rome and Parthia, along with their frontier and foreign policies, were considered to have been relatively ‘strategic’ by people of the neighbouring kingdoms and tribal states.
      In 66 BC, as the outcome of the Third Mithridatic War, the kingdom of Armenia was driven into the contact zone between the eastern frontier of Rome and the western frontier of Parthia, and therefore it first became to have the geostrategic importance in the Roman strategy facing against Parthia. Rome’s foreign relations with Parthia, which had been unsecured after Crassus’ defeat and fall at the battle of Carrhae in 53BCE, were restored by Augustus’ peace settlement in 20BCE. The Armenian question was resolved with the agreement that the Roman emperor appoints the king of Armenia whom the Parthian king of kings has recommended, but since then in practice the former would appoint the kings out of non-Armenian royal families while the latter often underwent civil wars of the Parthian succession. In 54CE the Parthian king of kings Vologaeses I raided Armenia and crowned his brother Tiridates I king of Armenia to take strategic superiority over the upper Euphrates. Nero decided to begin war against the Arsacid kings and appointed Gnaeus Domitius Corbulo as the dux belli(commander of war).
      Corbulo conducted military operations based on the Roman strategy against Parthia. He strengthened the defence of the eastern provinces, restored hegemony over Armenia, and tried to evade a full-scale war with Parthia. However, the war became inevitable when Nero had placed Lucius Caesennius Paetus in command to annex Armenia, which was resulted in the serious defeat at Rhandeia in 62CE. Nero after sought advices from the primores civitates replaced Paetus with Corbulo who rectified the urgent situation and managed to draw up the Treaty of Rhandeia with the Arsacid kings in 63CE. The main agreement of the Treaty was that the Roman emperor approves of a Parthian prince as king of Armenia, thereby crowning Tiridates I by Nero at Rome. In 66CE Nero spent a huge budget on holding the clamorous coronation for his propaganda purpose.
      From a strategic point of view, venturing into a full-scaled war to incorporate the kingdom of Armenia into a province of either Rome or Parthia was not any good solution to the Armenian question. The province of Armenia undoubtedly would have required much mor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o control and defend the extended borderlands. It was strategically better option for both Rome and Parthia to maintain Armenia as a buffer state situated in the contact zone between them. The Treaty of Rhandeia in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반기현, "서기 3~4세기 로마와 페르시아 접경의 아르메니아 왕국: 지정학적 관점에서 본 아르메니아 왕국의 그리스도교화"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4) : 169-206, 2019

      2 손태창, "미스리다테스 전쟁에 관한 연구" 52 : 109-133, 2000

      3 조영식, "로마제국의 대(對)동방 군사정책:BC31~AD20"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6) : 123-155, 2013

      4 배은숙, "로마 군대에서 군사령관의 역할" 부산경남사학회 (62) : 131-159, 2007

      5 Kee-Hyun Ban, "Winning Hearts and Minds?: The Roman Army in the Eastern Provinces under the Principate (27BCE-284CE)" King’s College London 2015

      6 Campbell, B., "War and Society in the Roman World" 213-240, 1993

      7 Campbell, B., "War and Society in Imperial Rome 31 BC-AD 284" 2002

      8 Manandyan, H., "Tigranes II and Rome" 2007

      9 Scheidel, W., "The size of the economy and the distribution of income in the Roman Empire" 99 : 61-91, 2009

      10 Bivar, A. D. H., "The political history of Iran under the Arsacids" 3 (3): 21-99, 1983

      1 반기현, "서기 3~4세기 로마와 페르시아 접경의 아르메니아 왕국: 지정학적 관점에서 본 아르메니아 왕국의 그리스도교화"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4) : 169-206, 2019

      2 손태창, "미스리다테스 전쟁에 관한 연구" 52 : 109-133, 2000

      3 조영식, "로마제국의 대(對)동방 군사정책:BC31~AD20"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6) : 123-155, 2013

      4 배은숙, "로마 군대에서 군사령관의 역할" 부산경남사학회 (62) : 131-159, 2007

      5 Kee-Hyun Ban, "Winning Hearts and Minds?: The Roman Army in the Eastern Provinces under the Principate (27BCE-284CE)" King’s College London 2015

      6 Campbell, B., "War and Society in the Roman World" 213-240, 1993

      7 Campbell, B., "War and Society in Imperial Rome 31 BC-AD 284" 2002

      8 Manandyan, H., "Tigranes II and Rome" 2007

      9 Scheidel, W., "The size of the economy and the distribution of income in the Roman Empire" 99 : 61-91, 2009

      10 Bivar, A. D. H., "The political history of Iran under the Arsacids" 3 (3): 21-99, 1983

      11 Smith, R. R. R, "The imperial reliefs from the Sebasteion at Aphrodisias" 77 : 88-138, 1987

      12 Wheeler, E. L, "The chronology of Corbulo in Armenia" 79 : 383-397, 1997

      13 Millar, F., "The Roman Near East, 31 B.C.-A.D. 337" 1993

      14 Whittaker, C., "The Roman Army in the East" 25-42, 1996

      15 Colledge, M. A. R., "The Parthians" 1967

      16 Isaac, B, "The Limits of Empire: The Roman Army in the East" 1992

      17 Chahin, M., "The Kingdom of Armenia" 1987

      18 Soultanian, G., "The History of the Armenians and Mosēs Khorensats’i" 2012

      19 Fyre, R. N., "The History of Ancient Iran" 1984

      20 Luttwak, E. N., "The Grand Strategy of the Roman Empire: From the First Century A.D. to the Third" 2016

      21 Panossian, R., "The Armenians: From Kings and Priests to Merchants and Commissars" 2006

      22 Redgate, A. E., "The Armenians" 1998

      23 Hovannisian, R. G., "The Armenian People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Vol. 1, The Dynastic Periods: From Antiquity to the Fourteenth Century" 1997

      24 "Tacitus, Annales"

      25 "Suetonius, Nero"

      26 "Suetonius, Divus Augustus"

      27 "Suetonius, Divus Claudius"

      28 "Strabo, Geographica"

      29 Mattern, S., "Rome and the Enemy: Imperial Strategy in the Principate" 1999

      30 "Roman Imperial Coins"

      31 "Res Gestae divi Augusti"

      32 Bedrosian, R., "P’awstos Buzand’s History of the Armenians" 1985

      33 Mann, J. C., "Power, force and the frontiers of the empire" 69 : 175-183, 1979

      34 "Plutarchus, Vitae Parallelae"

      35 "Photius, Bibliotheca"

      36 "Perseus Digital Library"

      37 "Patmut‘iwn Hayoc or Buzandaran attributed to P‘awstos Buzand"

      38 "ORBIS"

      39 "Movsēs Xorenac‘i"

      40 Thomson, R. W., "Moses Khorenatsʻi: History of the Armenians" 1978

      41 Chaumont, M. L., "L’Arménie entre Rome et l’Iran I: de l’avènement d’Auguste à l’avènement de Dioclétian" 9 (9): 71-194, 1976

      42 "Lacus Curtius"

      43 Kaizer, T., "Kingdoms and Principalities in the Roman Near East" 2010

      44 "Justinus, Epitome"

      45 Raditsa, L., "Iranians in Asia Minor" 3 (3): 100-115, 1983

      46 Lang, D. M., "Iran, Armenia and Georgia" 3 (3): 505-536, 1983

      47 Stepanyan, A., "Great Armenia and Euphrates frontier in 60-s A.D. (conflict, ideas, settlement)" 1 : 14-33, 2013

      48 Whittaker, C., "Frontiers of the Roman Empire: A Social and Economic Study" 1994

      49 "Eutropius"

      50 Millar, F., "Emperors, frontiers and foreign relations, 31 B.C. to A.D. 378" 13 : 1-23, 1982

      51 Syme, R, "Domitius Corbulo" 60 : 27-39, 1970

      52 "Digital Loeb Classical Library"

      53 Gilmartin, K., "Corbulo’s campaign in the East" 22 : 583-626, 1973

      54 "CoinArchives"

      55 "Cicero, De imperio Cn. Pompeii"

      56 "Cassius Dio"

      57 Edwell, P. M., "Between Rome and Persia: The Middle Euphrates, Mesopotamia and Palmyra under Roman Control" 2008

      58 Lightfoot, C. S, "Armenia and the eastern marches" 12 : 481-497, 2005

      59 "Appianus, Mithridates"

      60 Thomson, R. W., "Agathangelos: History of the Armenians" 1976

      61 Bournoutian, G., "A Concise History of the Armenian People: From Ancient Time to the Present"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Institute, MND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1.02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