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hristine M. Korsgaard의 구성주의와 도덕적 실재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555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시대의 대표적인 칸트주의자인 코스가드는 구성주의가 도덕적 실재론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규범성을 정당화하고 도덕적 회의주의에 대응할 수 있게 해준다고 믿는다. 본 연구에서는 코스가드의 칸트적 구성주의를 검토하면서 도덕적 실재론에 대한 그녀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위해 먼저 코스가드가 도덕적 실재론의 어떤 점을 비판하는지 그리고 어떤 이유로 구성주의적 접근을 취하는지 살펴본다. 코스가드는 도덕적 실재론이 도덕적 개념의 기능을 실재의 묘사로 이해하고 행위에 대해 적용된 지식모델(the model of applied knowledge)을 취함으로써 규범성의 물음에 답을 주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반면에 그녀는 구성주의가 도덕적 개념의 기능을 문제에 대한 해결을 표시하는 것으로 보고 도덕적 요구가 행위의 실천적 문제에 필연적으로 관련된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규범적 물음을 해결한다고 주장한다. 도덕적 실재론에 대한 비판과 함께 채택된 코스가드의 구성주의에는 반실재론적 요소들이 관련되어 있다. 순수한 절차주의를 추구하는 급진적 구성주의, 존재론적, 형이상학적 요소를 배제하는 구성적 모델(the constitutive model), 그리고 가치의 원천으로서의 인간과 상호주관주의에 근거한 가치의 객관성 설명 등은 그녀의 반실재론적 입장을 잘 드러내준다. 그러나 이러한 반실재론적 요소들에도 불구하고 코스가드의 구성주의를 간단히 반실재론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먼저 초기 저서인 『규범성의 원천』에서 코스가드는 자신의 칸트적 구성주의를 실재론의 한 유형-구체적으로 절차적 도덕 실재론-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후의 저서들에서 실재론과 구성주의를 직접 대조하여 논의할 때 코스가드는 구성주의의 실천적 의미에 주목하고 존재론적 관련성을 배제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구성주의와 실재론이 양립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점들은 코스가드가 전형적인 도덕 실재론을 거부하지만 자신이 추구하는 구성주의적 규범윤리이론이 반실재론으로 귀결되길 원치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코스가드가 이해하는 실재론은 실재론으로 수용되기에는 너무 느슨하고 너무 사소하다. 또한 코스가드가 주장하는 것처럼 구성주의적 접근을 취하면서 실재론을 유지한다면 굳이 구성주의적 접근을 취할 이유가 무엇인지 의문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점들에 대해 명확한 설명을 줄 수 있을 때 코스가드의 실재론적 관여는 설득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동시대의 대표적인 칸트주의자인 코스가드는 구성주의가 도덕적 실재론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규범성을 정당화하고 도덕적 회의주의에 대응할 수 있게 해준다고 믿는다. 본 연구에서는 코...

      동시대의 대표적인 칸트주의자인 코스가드는 구성주의가 도덕적 실재론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규범성을 정당화하고 도덕적 회의주의에 대응할 수 있게 해준다고 믿는다. 본 연구에서는 코스가드의 칸트적 구성주의를 검토하면서 도덕적 실재론에 대한 그녀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위해 먼저 코스가드가 도덕적 실재론의 어떤 점을 비판하는지 그리고 어떤 이유로 구성주의적 접근을 취하는지 살펴본다. 코스가드는 도덕적 실재론이 도덕적 개념의 기능을 실재의 묘사로 이해하고 행위에 대해 적용된 지식모델(the model of applied knowledge)을 취함으로써 규범성의 물음에 답을 주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반면에 그녀는 구성주의가 도덕적 개념의 기능을 문제에 대한 해결을 표시하는 것으로 보고 도덕적 요구가 행위의 실천적 문제에 필연적으로 관련된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규범적 물음을 해결한다고 주장한다. 도덕적 실재론에 대한 비판과 함께 채택된 코스가드의 구성주의에는 반실재론적 요소들이 관련되어 있다. 순수한 절차주의를 추구하는 급진적 구성주의, 존재론적, 형이상학적 요소를 배제하는 구성적 모델(the constitutive model), 그리고 가치의 원천으로서의 인간과 상호주관주의에 근거한 가치의 객관성 설명 등은 그녀의 반실재론적 입장을 잘 드러내준다. 그러나 이러한 반실재론적 요소들에도 불구하고 코스가드의 구성주의를 간단히 반실재론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먼저 초기 저서인 『규범성의 원천』에서 코스가드는 자신의 칸트적 구성주의를 실재론의 한 유형-구체적으로 절차적 도덕 실재론-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후의 저서들에서 실재론과 구성주의를 직접 대조하여 논의할 때 코스가드는 구성주의의 실천적 의미에 주목하고 존재론적 관련성을 배제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구성주의와 실재론이 양립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점들은 코스가드가 전형적인 도덕 실재론을 거부하지만 자신이 추구하는 구성주의적 규범윤리이론이 반실재론으로 귀결되길 원치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코스가드가 이해하는 실재론은 실재론으로 수용되기에는 너무 느슨하고 너무 사소하다. 또한 코스가드가 주장하는 것처럼 구성주의적 접근을 취하면서 실재론을 유지한다면 굳이 구성주의적 접근을 취할 이유가 무엇인지 의문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점들에 대해 명확한 설명을 줄 수 있을 때 코스가드의 실재론적 관여는 설득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ristine M. Korsgaard believes that constructivism can respond to moral skepticism without depending upon moral realis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Korsgaard's kantian constructivism and her positions on moral realism. According to Korsgaard moral realism cannot answer normative questions in that it sees the function of moral concepts as describing the reality and so accepts the model of applied knowledge for action. In contrast Korsgaard insists that constructivism is better at justifying normativity since it regards moral concepts as representing the solutions to practical problems and so shows that moral principles are necessarily involved in the practical problems of agency. Korsgaard's constructivism has antirealistic elements such as pure proceduralism, the constitutive model to exclude ontological, metaphysical meanings, and the account of human beings as the sources of values. In spite of those antirealistic elements it is difficult to jump to a conclusion that Korsgaard's constructivism is antirealism. Korsgaard, in the early book, The Sources of Normativity, says that kantian constructivism has something to do with a form of realism, or procedural moral realism. And in the following books she argues that constructivism is compatible with realism although she pays attention to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constructivism and then sets aside its ontological relevance. That is, Korsgaard does not want that her constructivism results in antirealism. Korsgaard's realism, however, is too weak to be called as realism. There is, also, a question why one would rather take a constructivist approach if one holds on to realism.
      번역하기

      Christine M. Korsgaard believes that constructivism can respond to moral skepticism without depending upon moral realis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Korsgaard's kantian constructivism and her positions on moral realism. According to Korsg...

      Christine M. Korsgaard believes that constructivism can respond to moral skepticism without depending upon moral realis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Korsgaard's kantian constructivism and her positions on moral realism. According to Korsgaard moral realism cannot answer normative questions in that it sees the function of moral concepts as describing the reality and so accepts the model of applied knowledge for action. In contrast Korsgaard insists that constructivism is better at justifying normativity since it regards moral concepts as representing the solutions to practical problems and so shows that moral principles are necessarily involved in the practical problems of agency. Korsgaard's constructivism has antirealistic elements such as pure proceduralism, the constitutive model to exclude ontological, metaphysical meanings, and the account of human beings as the sources of values. In spite of those antirealistic elements it is difficult to jump to a conclusion that Korsgaard's constructivism is antirealism. Korsgaard, in the early book, The Sources of Normativity, says that kantian constructivism has something to do with a form of realism, or procedural moral realism. And in the following books she argues that constructivism is compatible with realism although she pays attention to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constructivism and then sets aside its ontological relevance. That is, Korsgaard does not want that her constructivism results in antirealism. Korsgaard's realism, however, is too weak to be called as realism. There is, also, a question why one would rather take a constructivist approach if one holds on to realis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영란, "행위와 행위자: Christine M. Korsgaard의 자아구성으로서의 행위설명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철학회 (117) : 205-238, 2013

      2 강준호, "칸트적 구성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1 : 2007

      3 맹주만, "칸트와 도덕적 실재론" 한국칸트학회 (19) : 213-238, 2007

      4 김정주, "이성의 사실과 도덕적 구성주의의 정당화- 칸트와 롤즈의 도덕적 정당화에 대한 연구 -" 한국칸트학회 (21) : 163-197, 2008

      5 김양현, "목적의 왕국: 칸트 윤리학의 새로운 도전" 철학과 현실사 2007

      6 맹주만, "롤즈, 칸트, 그리고 구성주의" 한국칸트학회 (20) : 117-150, 2007

      7 김양현, "규범성의 원천" 철학과현실사 2011

      8 Thomas E. Hill, Jr., "Virtue, Rules, & Justi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9 William J. Fitzpatrick, "The Practical Turn in Ethical Theory : Korsgaard's Constructivism, Realism, and the Nature of Normativity" 115 : 2005

      10 Christine M. Korsgaard, "The Constitution of Agency"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 노영란, "행위와 행위자: Christine M. Korsgaard의 자아구성으로서의 행위설명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철학회 (117) : 205-238, 2013

      2 강준호, "칸트적 구성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1 : 2007

      3 맹주만, "칸트와 도덕적 실재론" 한국칸트학회 (19) : 213-238, 2007

      4 김정주, "이성의 사실과 도덕적 구성주의의 정당화- 칸트와 롤즈의 도덕적 정당화에 대한 연구 -" 한국칸트학회 (21) : 163-197, 2008

      5 김양현, "목적의 왕국: 칸트 윤리학의 새로운 도전" 철학과 현실사 2007

      6 맹주만, "롤즈, 칸트, 그리고 구성주의" 한국칸트학회 (20) : 117-150, 2007

      7 김양현, "규범성의 원천" 철학과현실사 2011

      8 Thomas E. Hill, Jr., "Virtue, Rules, & Justi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9 William J. Fitzpatrick, "The Practical Turn in Ethical Theory : Korsgaard's Constructivism, Realism, and the Nature of Normativity" 115 : 2005

      10 Christine M. Korsgaard, "The Constitution of Agency"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1 Onora O'Neill, "The Cambridge Companion to Raw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2 Christine M. Korsgaard, "Self-Constit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3 Eric Watkins, "O'Neill and Korsgaard on the Construction of Normativity" 36 : 2002

      14 Christine M. Korsgaard, "Natural Goodness, Rightness, and the Intersubjectivity of Reason : Reply to Arroyo, Cummiskey, Moland, and Bird-Pollan" 42 (42): 2011

      15 Robert Stern, "Moral Scepticism and Agency : Kant and Korsgaard" 23 : 2010

      16 Cristina Lafont, "Moral Objectivity and Reasonable Agreement : Can Realism be Reconciled with Kantian Constructivism?" 17 (17): 2004

      17 Stephen Darwall, "Moral Discourse and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18 John Rawls, "Lectures on History of Moral Philosophy: John Ralw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19 Ariela Tubert, "Korsgaard's Constitutive Arguments and the Principles of Practical Reason" 61 (61): 2011

      20 John Rawls, "Kantian Constructivism in Moral Theory" 77 (77): 1980

      21 Christopher Arroyo, "Freedom and the Source of Value : Korsgaard and Wood on Kant's Formular of Humanity" 42 (42): 2011

      22 Andrew Reath, "Encyclopedia of Ethics, Vol.1" Routledge 2001

      23 Onora O'Neill, "Constructions of Reas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24 John Rawls, "Collected Papers: John Rawl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25 Mark Lebar, "Aristotelian Constructivism" 25 (25):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98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