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봉미미, "한국 청소년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 탐색"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 319-348, 2008
2 문은식, "학습사 및 사회적·동기적 변인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남고생과 여고생의 비교"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183-205, 2010
3 신기명, "학습무기력" 배영사 1996
4 김영희, "학습된 무기력에 관한 이론적 고찰" 5 : 39-55, 1996
5 김아영, "학습된 무기력, 실패내성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29 (29): 157-176, 1999
6 김영희, "학습된 무기력, 실패내성과 학교적응의 관계" 20 : 1-16, 2005
7 송경오, "학생 개인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특성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38 (38): 39-64, 2011
8 김문주, "학교적응유연성 증진 집단상담이 기능적 결손가정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22 (22): 71-95, 2012
9 박윤수, "학교선택과 학교생산성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14
10 남궁지영, "학교교육실태 및 수준 분석(Ⅳ): 고등학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1 봉미미, "한국 청소년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 탐색"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 319-348, 2008
2 문은식, "학습사 및 사회적·동기적 변인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남고생과 여고생의 비교"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183-205, 2010
3 신기명, "학습무기력" 배영사 1996
4 김영희, "학습된 무기력에 관한 이론적 고찰" 5 : 39-55, 1996
5 김아영, "학습된 무기력, 실패내성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29 (29): 157-176, 1999
6 김영희, "학습된 무기력, 실패내성과 학교적응의 관계" 20 : 1-16, 2005
7 송경오, "학생 개인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특성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38 (38): 39-64, 2011
8 김문주, "학교적응유연성 증진 집단상담이 기능적 결손가정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22 (22): 71-95, 2012
9 박윤수, "학교선택과 학교생산성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14
10 남궁지영, "학교교육실태 및 수준 분석(Ⅳ): 고등학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11 김양분, "학교 다양화에 따른 고교 유형별 학교 및 학생 특성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12
12 성기선, "평준화지역과 비평준화지역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격차와 변화에 대한 분석연구: 경기도지역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6 (36): 171-195, 2009
13 전미애, "특성화고 학습된 무기력 학생들의 방과 후 일상 활동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7 (37): 77-98, 2012
14 채창균, "특목고의 학업성취도 향상 효과 분석 ― 수능성적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사회학회 20 (20): 105-124, 2010
15 김경근, "초‧중등교육 정상화를 위한 고교체제 개편방안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5
16 교육부,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17 옥일남,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된 무력감 연구- 사회과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6 (36): 105-140, 2004
18 정문주,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과 관련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1-65, 2016
19 이명진, "청소년기의 학습된 무기력" 한국교육학회 51 (51): 77-105, 2013
20 교육부,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21 김종운,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초등학생의 학구적 실패내성 간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10 (10): 455-468, 2009
22 김유진, "중학생의 비합리적 신념 및 지각된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실패내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119-148, 2013
23 전미애,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관계" 대한공업교육학회 35 (35): 1-19, 2010
24 교육과학기술부,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학생의 선택이 다양해집니다"
25 교육과학기술부, "자율형 사립고, 전국으로 확대된다"
26 김위정, "자율형 공·사립 고등학교의 성과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7 (27): 491-511, 2014
27 김진영, "자유주의 정치경제학의 과제 : 신자유주의의 퇴진과 그 이후"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9 (19): 221-248, 2016
28 조선일보, "자사고·외고 폐지는 전형적인 포퓰리즘...강남8학군 부활할 것” 23개 자사고 성명...자사고·특목고 폐지 추진에 반발 본격화"
29 강승호, "인간관계, 학습사, 동기적 변인들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생의 비교"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723-742, 2008
30 동아일보, "오세목 “자사고 폐지, 선호하는 일반고 생겨 또 다른 서열 만들 것"
31 김경근, "서울시 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 영향요인 및 그 함의"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1-29, 2014
32 김성훈, "마르크스의 소외의 개념이 교육에 주는 함의" 인문학연구소 (28) : 301-321, 2011
33 한겨레, "동네에 자사고 생긴뒤...일반고 갈 중학생들까지 열패감"
34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대선공약집"
35 김윤환, "노동목적의 상실과 인간소외" 1 : 69-78, 1985
36 송경오, "교육행정구현과정에서 교육주체들의 자기소외 현상"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71-99, 2017
37 강창동, "고전적 자유주의 관점에서 본 신자유주의 교육관의 이념적 한계"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1-23, 2011
38 오헌석,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수준 비교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45-265, 2010
39 이호섭, "고등학교 유형이 학교의 학업성취와 학업중단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증적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5 (5): 549-558, 2015
40 교육과학기술부, "고교체제 개편과 학교자율화를 위한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
41 정용교, "경쟁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및 대안: 현장 사회과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8 (18): 91-106, 2011
42 정수자, "가정변인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분석" 11 (11): 225-242, 1997
43 임경희, "가정, 학교 및 개인변인과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5 (15): 473-507, 2004
44 국민일보, "“자사고 폐지는 포퓰리즘” 외고와 공동대응 움직임도"
45 서울특별시교육청, "‘일반고 전성시대’ 기본 계획" 2014
46 경향신문, "[자사고·외고 존폐 논란] 자사고 절반, 서울에 몰려...‘교육양극화’ 축소판"
47 국민일보, "[이슈논쟁] 외고·자사고 폐지... 찬성 “불평등 심화” vs 반대 “정치논리”"
48 Martinez, V., "Who chooses and why : A look at five school choice plans" 75 (75): 678-681, 1994
49 Stedman, L. C., "The political economy of recent educational reform" 37 (37): 69-96, 1987
50 Davies, W., "The limits of neoliberalism : Authority, sovereignty and the logic of competition" SAGE 2014
51 Peck, J., "Spaces of Neoliberalism" Blackwell 33-57, 2002
52 Ambler, J. S., "Market approaches to education" Pergamon 1994
53 Abramson, L. Y., "Learned helplessness in humans: critique and reformulation" 87 (87): 49-74, 1978
54 조선일보, "5년 정권이 수십년 역사 학교들을 멋대로 폐지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