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의 방과후 돌봄공백과 교육적 함의 = The After-school Self-care among Elementary Students: A Review with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72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investigate the problem of the after-school self-car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situation of 'care cliff'. This was done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I checke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school care gaps. Next, I examined the background and status of after-school care polic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Finally, I also confirmed the fact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school care disparities lead to educational gaps. Based on thi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redu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school care gaps. First, the situ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school self-care is extremely serious. Care policies are centered on infants and toddlers, but caring policies for school-aged children should be systematically expanded. Second, after-school self-care among elementary students is deepened in the vulnerable class. Care services should be supported with careful policy consideration to prevent stigmatization effects from using specific care services as well as quantitative expansion. Third, in order for the after-school care policy to be implemented effectively, the ministries responsible for caring policy must cooperate with the schools. Furthermore, close cooperation with the community is also importa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investigate the problem of the after-school self-car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situation of 'care cliff'. This was done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I checked the e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investigate the problem of the after-school self-car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situation of 'care cliff'. This was done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I checke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school care gaps. Next, I examined the background and status of after-school care polic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Finally, I also confirmed the fact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school care disparities lead to educational gaps. Based on thi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redu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school care gaps. First, the situ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school self-care is extremely serious. Care policies are centered on infants and toddlers, but caring policies for school-aged children should be systematically expanded. Second, after-school self-care among elementary students is deepened in the vulnerable class. Care services should be supported with careful policy consideration to prevent stigmatization effects from using specific care services as well as quantitative expansion. Third, in order for the after-school care policy to be implemented effectively, the ministries responsible for caring policy must cooperate with the schools. Furthermore, close cooperation with the community is also importa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유아기 중심의 돌봄정책으로 인해 초등학교 진학과 함께 돌봄공백 상황에 처한 초등학생의 방과후 돌봄공백 문제를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초등학생의 방과후 돌봄공백 실태를 확인한 다음, 국내 초등학생을 위한 방과후 돌봄정책의 배경 및 현황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의 방과후 돌봄공백이 교육격차의 한 원인으로 작동되는 현실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방과후 돌봄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방과후 돌봄공백 상황이 심각한 현실 속에서 돌봄정책은 영유아 중심에서 학령기 아동까지 체계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둘째, 방과후 돌봄공백은 취약계층에서 심화되므로 돌봄서비스의 양적 확대와 함께 특정 돌봄서비스 이용으로 인한 낙인효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정책적 배려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셋째, 방과후 돌봄정책이 효율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학교를 중심으로 돌봄정책을 담당하는 각 부처 간 협조가 절실하며, 더 나아가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협조도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영유아기 중심의 돌봄정책으로 인해 초등학교 진학과 함께 돌봄공백 상황에 처한 초등학생의 방과후 돌봄공백 문제를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수행되었...

      본 연구는 영유아기 중심의 돌봄정책으로 인해 초등학교 진학과 함께 돌봄공백 상황에 처한 초등학생의 방과후 돌봄공백 문제를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초등학생의 방과후 돌봄공백 실태를 확인한 다음, 국내 초등학생을 위한 방과후 돌봄정책의 배경 및 현황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의 방과후 돌봄공백이 교육격차의 한 원인으로 작동되는 현실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방과후 돌봄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방과후 돌봄공백 상황이 심각한 현실 속에서 돌봄정책은 영유아 중심에서 학령기 아동까지 체계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둘째, 방과후 돌봄공백은 취약계층에서 심화되므로 돌봄서비스의 양적 확대와 함께 특정 돌봄서비스 이용으로 인한 낙인효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정책적 배려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셋째, 방과후 돌봄정책이 효율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학교를 중심으로 돌봄정책을 담당하는 각 부처 간 협조가 절실하며, 더 나아가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협조도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열의 동인, 유산, 승화방안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교육학회 54 (54): 229-257, 2016

      2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7, 2005

      3 김민호, "한국과 미국의 방과 후 학교 운영 및 지원체제 비교"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1-28, 2014

      4 박혜경, "한국 중산층의 자녀교육 경쟁과 ‘전업 어머니’정체성" 한국여성학회 25 (25): 5-33, 2009

      5 김혜금, "학령기 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간 가정내 안전사고 위험요인연구" 2 (2): 99-119, 2005

      6 송혜림, "취업 학부모를 위한 초등학교의 “일-가정 균형”제도 현황"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2 (12): 191-207, 2008

      7 성미애, "출산 연기형 무자녀 기혼 여성의 관점에서 본 출산 연기의 맥락과 정책적 제언" 한국가족학회 27 (27): 271-303, 2015

      8 KBS, "추적 60분 돌봄 사각지대, 방과 후 갈 곳 없는 아이들" KBS

      9 임혜정, "초등학생의 방과후 돌봄공백이 학교 학습활동적응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10 오아림, "초등학생 자녀를 방과후학교에 참여시키는 취업모의 동기와 방과후학교에 대한 만족도"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227-244, 2012

      1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열의 동인, 유산, 승화방안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교육학회 54 (54): 229-257, 2016

      2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7, 2005

      3 김민호, "한국과 미국의 방과 후 학교 운영 및 지원체제 비교"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1-28, 2014

      4 박혜경, "한국 중산층의 자녀교육 경쟁과 ‘전업 어머니’정체성" 한국여성학회 25 (25): 5-33, 2009

      5 김혜금, "학령기 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간 가정내 안전사고 위험요인연구" 2 (2): 99-119, 2005

      6 송혜림, "취업 학부모를 위한 초등학교의 “일-가정 균형”제도 현황"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2 (12): 191-207, 2008

      7 성미애, "출산 연기형 무자녀 기혼 여성의 관점에서 본 출산 연기의 맥락과 정책적 제언" 한국가족학회 27 (27): 271-303, 2015

      8 KBS, "추적 60분 돌봄 사각지대, 방과 후 갈 곳 없는 아이들" KBS

      9 임혜정, "초등학생의 방과후 돌봄공백이 학교 학습활동적응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10 오아림, "초등학생 자녀를 방과후학교에 참여시키는 취업모의 동기와 방과후학교에 대한 만족도"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227-244, 2012

      11 최정미, "초등학교 저학년의 방과후 보호형태에 따른 생활실태 및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6 (16): 85-97, 2004

      12 노성향,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보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 2007

      13 김선혜, "초등학교 돌봄서비스의 목적 논의: 공공성과 아동 자기결정의 자유에 근거하여" 초등교육연구원 26 (26): 515-535, 2015

      14 정춘식,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의 방과후 자기보호 경험이 이후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5 김경근, "초등학교 3학년 수준의 기초학력 미도달학생 실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7

      16 서울신문, "초등생 둔 직장맘, 3월은 전쟁이다" 서울신문

      17 조진일, "초등돌봄교실의 환경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5

      18 김현미, "초등돌봄교사의 고용형태와 노동경험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23 (23): 141-172, 2016

      19 우진경, "초등 교사의 방과후 돌봄 교사와의 의사소통과 협력에 대한 의미" 한국아동학회 36 (36): 95-110, 2015

      20 이진숙, "젠더관점에서 본 보육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연구" 여성학연구소 6 (6): 85-123, 2013

      21 류정희, "제1차 아동정책 기본계획의 의의와 과제. 보건복지포럼" 6-18, 2016

      22 조희금, "제 2차 가족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0

      23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전국 지역아동센터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2016

      24 최경순, "저소득층 취업모 자기보호 아동의 사회적 능력, 또래관계 및 정서발달" 17 (17): 107-119, 1996

      25 이주영, "저소득층 아동 부모의 양육행동과 심리 정서적 상태간의 관계 연구 : 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 아동의 비교"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26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 2015-2065년"

      27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 (전국) 장래 합계출산율"

      28 나윤경, "자녀 사교육을 통한 모성 구성과정: 평생학습자로서의 성인 여성에 대한 이해의 한 방식"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55-87, 2007

      29 예지은, "워킹맘의 실태와기업의 대응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010

      30 한겨레신문, "우리더러 하루종일 학교에 있으라고요?"

      31 이영민, "여성인력의 취업능력 제고 및 고용촉진 방안"

      32 조영희, "아동청소년 방과후 돌봄서비스 현황과 가족정책적 과제" 139-155, 2012

      33 통계청, "아동종합실태조사"

      34 김은지,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부모 양육방식의 조절효과"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9 (19): 171-193, 2014

      35 이채정, "아동복지사업 평가-요보호아동 보호자립지원 및 방과후 돌봄서비스를 중심으로" 국회예산정책처 2016

      36 강지원, "아동, 청소년 돌봄 정책 현황 분석" 60-70, 2015

      37 황옥경, "사회 속의 아동 : 영국의 아동 관련법과 정책에 나타난 변화와 도전" 창지사 2009

      38 김혜경, "보살핌노동의 정책화를 둘러싼 여성주의적 쟁점: "경제적보상(payments for care)"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0 (20): 75-104, 2004

      39 김경근, "방과후학교는 사회양극화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가" 한국교육사회학회 19 (19): 1-27, 2009

      40 서혜전, "방과후돌봄서비스 협력의 실태와 협력 모델 제안에 대한 연구" 지역아동센터 대구지원단 2014

      41 구슬이, "방과후돌봄서비스 평가" 국회예산정책처 2014

      42 이태수, "방과후돌봄서비스 연계를 위한 통합적 정책 마련의 필요성 및 개선방안" 2011

      43 양계민, "방과후돌봄서비스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44 김미숙, "방과후 아동보육서비스 전달체계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26 (26): 3-36, 2006

      45 윤수경, "방과후 방치가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6 이봉주, "방과후 방치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36) : 7-33, 2011

      47 김종호, "방과후 돌봄서비스 만족도 조사" 국회예산정책처 2014

      48 이준호, "맞벌이의 교육적 기회비용: 방과 후 자기보호(self-care)가 초등학생의 자기학습 통제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13 (13): 27-59, 2012

      49 김선미, "맞벌이 가족의 자녀양육방식을 통해 본 아동양육지원의 정책적 함의"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05-116, 2005

      50 김민영,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 균형을 위한 자녀돌봄 네트워크 활성화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51 통계청,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 보도자료"

      52 연합뉴스, "돈벌이 나간 부모 무관심에 방치‘성북 삼남매’행복 찾기" 연합뉴스

      53 정민자, "나홀로 아동(청소년)의 보호체계와 지역사회네트워크" 23-39, 2013

      54 구명숙,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증대에 따른 육아지원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4 (14): 531-546, 2005

      55 통계청, "국가지표체계.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운영 현황"

      56 백병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집중지원 학생의 인지적ㆍ정의적 성취에 미치는 효과: 서울시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26 (26): 29-52, 2013

      57 경인일보, "고양 세자매 방치 사건 친부계모 불구속 입건" 경인일보

      58 김난주,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과 재취업 이후 고용유지 분석"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6 (26): 1-27, 2016

      59 서문희, "경기도 중장기 보육발전계획 수립연구" 경기도청,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60 통계청, "가족의 형태별 분포"

      61 김혜경, "가족과 친밀성의 사회학" 다산출판사 2014

      62 장경섭, "가족, 생애, 정치경제: 압축적 근대성의 미시적 기초" 창비 2009

      63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64 한국일보, "‘맞벌이 구세주’ 초등돌봄교실이 흔들린다"

      65 Gootman, J., "Work and family policies in the United States :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child and youth development" National Academy Press 2003

      66 Esping-Andersen, G., "Why we need a new welfare state" OUP Oxford 2002

      67 Lareau, A., "Unequal childhoods : Class, race, and family life" Univ of California Press 2011

      68 Vandell, D. L., "The Relation between Third Graders’ After-School Care and Social, Academic, and Emotional Functioning" 59 (59): 868-875, 1988

      69 Hedlin, D., "Summary of the family’s view of after school time" University of Minnesota, Center for Youth Development and Research 1986

      70 Pettit, G. S., "Patternsof after-school care in middle childhood : Risk factors and developmental outcomes" 43 (43): 515-538, 1997

      71 한국일보, "OECD 한국, 고령화 극복 위해 여성 경제활동 확대해야"

      72 이주연, "OECD 국가와 한국의 아동가족복지지출 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73 신동면, "OECD 국가들의 부문별 공공사회복지지출 결정요인 분석" 국회예산정책처 2015

      74 Lord, H., "Neighborhood crime and self-care : Risks for aggression and lower academic performance" 43 (43): 1321-, 2007

      75 Vandell, D.L., "Measuring environment across the life span : Emerging methods and concept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67-196, 1999

      76 Posner, J. K., "Low‐Income Children's After‐School Care : Are There Beneficial Effects of After‐School Programs?" 65 (65): 440-456, 1994

      77 Peterson, L., "Latchkey children's preparation for self-care : Overestimated, underrehearsed, and unsafe" 18 (18): 36-43, 1989

      78 Huang, D., "Keeping kids in school : An LA’s BEST example—A study examining the long-term impact of LA’s BEST on students’ dropout rates.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Evaluation, Standards, and Student Testing (CRESST)" University of California 2005

      79 Mulhall, P. F., "Home alone : Is it a risk factor for middle school youth and drug use?" 26 (26): 39-48, 1996

      80 Peters, M., "Extended schools subsidy pathfinder evaluation : interim report" 2009

      81 Colwell, M. J., "Cumulative risk and continuity in nonparental care from infan-cy to early adolescence" 47 (47): 207-234, 2001

      82 Rothstein, R., "Class and Schools" Economic Policy Institute 2004

      83 Kerrebrock, N., "Children in self-care" 9 (9): 151-160, 1999

      84 Kremer, M., "Child Care Policy at the Crossroads : Gender and Welfare State Restructuring" Routledge 113-142, 2002

      85 Grossman, J. B.,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after-school programs : Lessons for policymakers and funders" Public/Private Ventures 2001

      86 Ochiai, E., "Care diamonds and welfare regimes in East and South-East Asian societies : Bridging family and welfare sociology" 18 (18): 60-78, 2009

      87 Bergin, D. A., "An afterschool intervention program for educationally disadvanteged young children" 24 (24): 203-217, 1992

      88 Mott, J. A., "After-school supervision and adolescent cigarette smoking : Contributions of the setting and intensity of after-school self-care" 22 (22): 35-58, 1999

      89 Shumow, L., "Academic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young adolescents in self-care" 29 (29): 233-257, 2009

      90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2016 지역아동센터 지원 사업안내"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2016

      91 이삼식,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복지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92 장혜경, "2015년 가족실태조사 분석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93 한국교육개발원, "2014년 OECD 교육지표"

      94 박채형,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5-44, 2010

      95 이태수, "2008 지역아동센터 현주소" 공동체 2009

      96 김홍원, "2008 방과후학교 성과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8-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Sociology Of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Soci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66 2.66 2.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9 2.34 3.32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