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erm, Sadal(辭達), is just a short expression originated from Lunyu(論語, Analects of Confucius), but it shows very well the issue about sentences(文) that writers used to have. To grasp individual writer's point of view towards speech and writ...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687573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01-340(4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term, Sadal(辭達), is just a short expression originated from Lunyu(論語, Analects of Confucius), but it shows very well the issue about sentences(文) that writers used to have. To grasp individual writer's point of view towards speech and writ...
A term, Sadal(辭達), is just a short expression originated from Lunyu(論語, Analects of Confucius), but it shows very well the issue about sentences(文) that writers used to have. To grasp individual writer's point of view towards speech and writing technique in the late Chosŏn Dynasty when Confucianism was prevalent as an ideological nucleus, it is important to closely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shown on the terms and ways of expression.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real intention of Sadal and is implied meaning in a concrete way, and at the same time, examine writers, who showed difference in their awareness of the interpretation of Sadal, and their argument tendency. In particular, it sees the differences shown in writers' interpretation on Sadal, by classifying their modality to interpret and quote Sadal into three; first, the modality which is based in Zhu Xi(朱子)'s interpretation; second, the modality which extends and re-interprets the previous one; and third, the modality which re-interprets Sadal from a point of view to emphasize rhetorical embellishments(文飾).
Various perspectives on Sadal were shown in a more obvious way, particularly in argumentative writings, such as about writing technique manner or sentence evaluation, and the modalities of literary-theoretical acceptance were largely divided into the positive- and skeptical positions in the neo-Confucian interpret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writer's academic and ideological backgrounds.
First of all, placing an emphasis on the two meanings implied in a term "Sadal" - "to reach reason(理到)" and "simplicity(簡易)", the positively-quoted cases are examined in the study. Complete penetration of reason and simplicity are organically combined with Sadal, and have been used such as a ritualistic expression in the process of eulogization for a target writer's sentence. On the other hands, there was also a skeptical acceptance modality based in the real intention of Sadal, without neglecting the importance of rhetorical embellishments. Although they once insisted the appropriateness of independent sentences based on its utility, writers who considered themselves as stylists caring for sentence styles even didn't completely deny the justification of Sadal, with a tendency to tinge rhetorical embellishments on the basis of Tao(道) or Li(理). Their eclectic stance was also shown in the process to cognize the term by each writers. Therefore, based on the derivation of rhetoric(修辭) and modality of its application, the study clarifies unique features of rhetoric different from technique or decoration, and also sees the eclectic process between Sadal and rhetoric.
This study that summarizes arguments of writers in the late Chosŏn Dynasty according to the implied meanings of Sadal and examines their different modalities of literary-theoretical acceptanc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another beginning of further discussion, under the context of enormous discussion "Syntax(文章論)".
국문 초록 (Abstract)
辭達은 『論語』에 출전을 둔 짧은 구절에 지나지 않지만, 문인들의 文에 대한 쟁점이 잘 드러나 있는 용어이다. 조선후기까지 儒學이라는 사상적 중추가 지탱하고 있던 분위기 속에서 言辭...
辭達은 『論語』에 출전을 둔 짧은 구절에 지나지 않지만, 문인들의 文에 대한 쟁점이 잘 드러나 있는 용어이다. 조선후기까지 儒學이라는 사상적 중추가 지탱하고 있던 분위기 속에서 言辭와 作法에 관한 문인들의 개별적인 관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용어나 표현 방식을 통해 표출되는 양상을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辭達의 본의와 내포된 의미를 구체적으로 살피고, 辭達의 해석에 차이를 보인 문인들과 이들의 입론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문인들이 辭達을 해석하고 인용한 양상을 朱子式 해석을 반영한 경우, 이를 확장하여 재인식한 경우, 그리고 文飾을 강조하는 방향에서 辭達을 재해석한 경우로 나누어서 관점에 따른 해석 차이를 살펴보았다.
辭達의 다양한 관점은 작법 태도나 문장 평가를 다룬 의론적인 성격의 글에서 구체화 되어 나타났으며, 문학론적 수용 양상은 개별 문인들의 학문․사상적 배경에 따라 성리학적 해석의 긍정적 입장과 회의적 입장으로 발현되었다.
먼저, 辭達에 내포된 의미인 理到와 簡易함에 중점을 두고 긍정적으로 인용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치의 통달[理到]과 간이함은 辭達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대상 문인의 문장을 칭송하는 과정에서 套式語처럼 활용되었다. 한편 辭達의 본의를 바탕으로 하되, 문식의 중요성도 간과하지 않는 회의적인 수용 양상도 나타났다. 文의 효용을 근거로 독자적인 文의 당위성을 주장하였으나, 문장가로 자처하는 문인들도 道나 理를 바탕으로 문식을 가미한다는 입장에서 辭達의 명분을 전면적으로 부정한 것은 아니었다. 절충적 양상은 문인들이 용어를 인식하는 과정에서도 드러났다. 여기서 修辭의 어원과 활용 양상을 근거로 기교나 수식과는 또 다른 修辭의 성격을 밝히고, 辭達이 修辭와 절충되는 양상을 살폈다.
辭達의 含意에 따른 조선 후기 문인들의 의론을 개괄하고 문학론적 수용 양상을 살핀 이 연구가, 이후 文章論이라는 거대 담론에서 세부적인 논의의 端初를 제공하는 데에 일부 보탬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심경호, "한문고전과 한문학에서의 수사학에 대하여" 한국수사학회 (3) : 137-175, 2005
2 "한국고전종합DB"
3 김도련, "한국고문의 발전과정과 특성"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1985
4 심경호, "한국 한문산문의 발달과 韓愈 문장의 수용" 민족어문학회 (50) : 5-64, 2004
5 심경호, "한국 산문 미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013
6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7 윤재민, "조선시대 삶과 생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0
8 "승정원일기 홈페이지"
9 정민, "고전문장이론에서 법의 문제에 대하여" 한국고전문학회 15 : 1999
10 金㙆, "龜窩集"
1 심경호, "한문고전과 한문학에서의 수사학에 대하여" 한국수사학회 (3) : 137-175, 2005
2 "한국고전종합DB"
3 김도련, "한국고문의 발전과정과 특성"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1985
4 심경호, "한국 한문산문의 발달과 韓愈 문장의 수용" 민족어문학회 (50) : 5-64, 2004
5 심경호, "한국 산문 미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013
6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7 윤재민, "조선시대 삶과 생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0
8 "승정원일기 홈페이지"
9 정민, "고전문장이론에서 법의 문제에 대하여" 한국고전문학회 15 : 1999
10 金㙆, "龜窩集"
11 安鼎福, "順菴集"
12 강민구, "韓國漢文學批評 硏究의 回顧와 展望"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19) : 43-85, 2003
13 金允植, "雲養集"
14 李栽, "錦翁集"
15 강명관, "鄭道傳의 “載道論” 硏究" 檀國漢文學會 10 : 1992
16 송혁기, "道文一致 理想에 對한 論辨과 儒敎的 文學觀" 2010
17 "論語" 학민문화사 2003
18 李光庭, "訥隱集"
19 이원규, "蘇軾의 辭達論" 중국어문학연구회 1999
20 김려, "藫庭叢書" 학자원 2014
21 南九萬, "藥泉集"
22 鄭必奎, "藥圃集"
23 李恒老, "華西集"
24 李睟光, "芝峯集"
25 丁若鏞, "與猶堂全書"
26 閔鼎重, "老峯集"
27 張維, "簡易集"
28 鄭宗魯, "立齋集"
29 李庸信, "眉山集"
30 韓章錫, "眉山集"
31 柳重敎, "省齋集"
32 蔡濟恭, "甁窩集"
33 宋相琦, "玉吾齋集"
34 尹愭, "無名子集"
35 임완혁, "無名子 尹愭의 散文世界" 우리한문학회 19 : 719-745, 2008
36 洪敬謨, "灌圃集"
37 김혈조, "漢文散文 硏究의 回顧와 展望"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19) : 131-152, 2003
38 宋時烈, "沙溪遺稿"
39 洪直弼, "梅山集"
40 趙龜命, "東谿集"
41 정민, "朝鮮後期 古文論 硏究" 亞細亞文化社 1989
42 정우봉, "朝鮮 後期 散文理論의 展開와 그 性格(Ⅰ) : 16세기 말-17세기 초중반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0
43 李植, "月沙集"
44 申達道, "晩悟集"
45 崔錫鼎, "明谷集"
46 金壽恒, "文谷集"
47 오세현, "文章의 역할을 통해 본 15세기 斯文의 성격" 한국사학회 (127) : 349-396, 2017
48 鄭經世, "愚伏集"
49 許筠, "惺所覆瓿稿"
50 李書九, "惕齋集"
51 李萬敷, "息山集"
52 正祖, "弘齋全書"
53 심경호, "崔岦의 ‘文章之文’論과 古文詞" 진단학회 1988
54 金甯漢, "學圃集"
55 李象靖, "大山集"
56 姜瑋, "古歡堂收艸"
57 李沃, "博泉集"
58 이승훈, "修辭의 語源과 그 의미의 변천과정 ― 修辭立其誠과 ≪文心雕龍≫을 중심으로" 한국중국어문학회 43 : 37-52, 2005
59 李台煥, "九思堂集"
60 정우봉, "『삽교예학록』의 散文修辭學 硏究" 한국한문학회 (32) : 59-86, 2003
61 김기엽, "『杻山文稿』에 나타난 李友信의 文論 硏究" 동방한문학회 (72) : 329-362, 2017
62 송혁기, "18세기초 散文理論의 전개양상 日考 - 李宜顯·申維翰·趙龜明의 대비를 중심으로 -" 한국한문학회 (31) : 203-236, 2003
63 신승훈,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기 문학이론의 다변화 양상 : 유몽인·이수광·신흠·허균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한국고전번역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고전번역연구』 와 『민족문화』 분석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6-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민족문화추진회 -> 한국고전번역원영문명 :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 Institute Translation of Korea Classics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3 | 0.63 | 1.543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