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실 인식은 로봇 수확을 위해 우선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는 필수 기술이며, 수확 대상체에 대한 위치, 자세 등 작업기 접근을 위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 이를 위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47667
2022
-
500
학술저널
388-388(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과실 인식은 로봇 수확을 위해 우선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는 필수 기술이며, 수확 대상체에 대한 위치, 자세 등 작업기 접근을 위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 이를 위해 ...
과실 인식은 로봇 수확을 위해 우선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는 필수 기술이며, 수확 대상체에 대한 위치, 자세 등 작업기 접근을 위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 이를 위해 다양한 영상을 이용한 과실 검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정밀한 수준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 인식도 가능하였다. 하지만 수확을 위한 절단은 과실에 연결된 화방 등 줄기에서 수행되며 이를 위해서는 과실 뿐만 아니라 절단되어야 하는 줄기도 동시에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대표적 시설채소인 토마토의 로봇 수확을 위해 진행되었으며, 토마토 인식에 필요한 자세를 정의하고 이를 통해 과실 및 연결된 줄기의 2차원 정보를 평가하였다. 제안된 접근 방식은 사람의 자세 인식을 위한 딥러닝 모델을 기반으로 토마토 자세 인식에 적합하게 수정 및 학습을 수행하였으며, 학습 결과 주요 부위 검출 성능이 평균 0.93으로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딥러닝 기반의 토마토 자세 인식이 가능하였으며, 이를 이용하면 절단 위치 선택과 같은 수확 메커니즘뿐만 아니라 로봇 수확 시 접근성 평가를 기반으로 수확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mart Agriculture in NARO, Japan
Plant Phenomic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Status and direction of smart agriculture in Korea
지능형 전기구동 트랙터의 레벨3 자율작업 및 통합제어 알고리즘 개발
교수자의 선행학습 영상을 학습한 다음 교수자의 영상발표자료를 토대로 학습자가 30분 스피치 영상으로 녹화하여 업로드 하는 미남교수의 거꾸로 교수법
신한대학교 신종우미남교수의 선행학습 영상을 토대로 30분 녹화영상으로 스피치 하는 학습자 중심의 참여형 교수법
신한대학교 신종우교수자의 발표 자료를 토대로 학습자들이 영상으로 발표하는 학습법
신한대학교 신종우{강의계획서} 학습자들이 영상으로 미리보는 2018년 2학기 총의치기공학 실습 계획서
신한대학교 신종우선행학습을 토대로 질문을 집단지성의 토론으로 진행하고 수업 종료시점에 학습자들이 스마트폰 영상으로 발표하는 미남교수의 플립드러닝
신한대학교 신종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