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연구보고서, 2001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Introduction)
      • 1.1 서론
      • 1.2 과업의 목적
      • 1.3 과업의 범위
      • II. 매개변수 검정의 개선을 통한 계절형 Tank 모형의 개발(An Improved Tank Model Considering Seasonal Variation Using Harmony Search)
      • I. 서론(Introduction)
      • 1.1 서론
      • 1.2 과업의 목적
      • 1.3 과업의 범위
      • II. 매개변수 검정의 개선을 통한 계절형 Tank 모형의 개발(An Improved Tank Model Considering Seasonal Variation Using Harmony Search)
      • 2.1 서론
      • 2.1.1 연구배경 및 목적
      • 2.1.2 기대효과
      • 2.2 본론(Tank모형과 관련된 대표적인 최적화기법)
      • 2.2.1 Tank 모형
      • 2.2.2 POWELL Method
      • 2.2.3 Genetic Algorithm
      • 2.2.4 Harmony Search
      • 2.3 적용대상 유역의 선정 및 자료의 수집
      • 2.3.1 적용대상의 선정
      • 2.3.2 대상유역 관련 자료 항목의 수집
      • 2.4 대상유역에 적용
      • 2.4.1 최적화기법의 최적화관련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
      • 2.4.2 최적 매개면수의 검정을 통한 최적화기법들의 비교평가
      • 2.5 계절형 Tank 모형의 개발
      • 2.5.1 계절형 Tank 모형
      • 2.5.2 비계절형 Tank 모형
      • 2.5.3 계절형 Tank 모형과 일반형 Tank 모형의 비교
      • 2.6 결론
      • 참고문헌
      • III. 댐 하류 하천의 하상변동과 자연적 서식처 조성 현상의 조사·연구(Investigation of Bed Elevation Change and Natural Habitat Formation in the Downstream River after Dam Construction)
      • 3.1 서론
      • 3.1.1 연구배경
      • 3.1.2 연구목적
      • 3.1.3 연구방법 및 기대효과
      • 3.2 댐 하류 하천의 하상변동 조사
      • 3.2.1 서론
      • 3.2.2 대상구간 현황
      • 3.2.3 하상변동조사
      • 3.3 댐 하류 하천 사주에서의 식생 활착과 침식 현상의 기초적 조사·연구
      • 3.3.1 서론
      • 3.3.2 조사·연구의 내용과 방법
      • 3.3.3 문헌 조사
      • 3.3.4 댐건설 전후 황강 하도의 비교
      • 3.3.5 황강의 유황/위황 분석
      • 3.3.6 결론 및 논의
      • 3.4 댐 하류 하천에서 하중도 및 사주 식생의 특성
      • 3.4.1 서론
      • 3.4.2 조사지 개황
      • 3.4.3 연구 방법
      • 3.4.4 결과 및 논의
      • 3.5 하중도의 수리학적 영향 분석
      • 3.5.1 서론
      • 3.5.2 2차원 수치모의
      • 3.5.3 수치모형의 적용
      • 3.5.4 결론 및 논의
      • 3.6 댐 하류 하천 자연제방(bank)의 사면경사 특성
      • 3.7 결론
      • 참고문헌
      • IV. 유역수자원 관리를 위한 수문기법 개선연구-홍수예측을 중심으로-(A Study of Hydrologic Scheme Improvement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On Flood Forecasting-)
      • 4.1 서론
      • 4.1.1 연구 배경 및 목적
      • 4.1.2 연구 범위
      • 4.1.3 연구 동향
      • 4.2 공간 상관성 분석에 의한 면적강우량
      • 4.2.1 면적평균 강우량
      • 4.2.2 Random field이론
      • 4.2.3 면적평균 강우량 추정모형
      • 4.3 유출함수모형
      • 4.3.1 Nash 순간단위도
      • 4.3.2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 4.3.3 응답함수의 구성
      • 4.4 적용사례
      • 4.4.1 대상 유역
      • 4.4.2 면적 평균강우 추정
      • 4.4.3 유출함수 모형의 수립 및 적용 결과
      • 4.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V. 도시하천 내 유지용수 증대방안 연구(A Study for Retention of Instream Flow in Urban Stream)
      • 5.1 서론
      • 5.1.1 연구배경
      • 5.1.2 연구목적
      • 5.2 하천 내 유지유량의 개념
      • 5.2.1 하천유지유량의 정의
      • 5.2.2 하천유지유량의 용어와 개념
      • 5.2.3 외국의 하천유지유량
      • 5.3 하천 유지유량 확보방안
      • 5.3.1 유지유량 확보를 위한 방향 설정
      • 5.3.2 유지유량 확보를 위한 방안 검토
      • 5.4 결론
      • 참고문헌
      • VI. 수리학적 하도추적 결과를 이용한 고리 모양 수위-유량 관계 연구(A Study on Loop Rating Using the Results from Hydraulic Channel Routing)
      • 6.1 서론
      • 6.1.1 연구 목적 및 배경
      • 6.1.2 연구 내용 및 범위
      • 6.2 대상하도의 수리계산 자료 획득
      • 6.3 일정 수위-유량 관계곡선의 작성
      • 6.3.1 지수형 수위-유량 관계곡선의 작성
      • 6.3.2 수리학적 하도추적에 의한 계산 유량과 기존 수위-유량 관계 곡선의 비교
      • 6.3.3 고령교 지점 평상시 유량 측정
      • 6.4 복합 수위-유량 관계분석
      • 6.4.1 ΔQ/J 수위-유량 관계 적용 및 결과분석
      • 6.4.2 1/US_{c} 수위-유량 관계 적용 및 결과분석
      • 6.4.3 동수역학적 수위-유량 관계 적용 및 결과분석
      • 6.5 화원, 고령교, 현풍 지점의 고리모양 수위-유량 관계곡선 작성 및 평가
      • 6.5.1 고리모양 수위-유량 관계 유도방안 제안
      • 6.5.2 화원, 고령교, 현풍 지점의 고리모양 수위-유량 관계곡선 작성 및 검증
      • 6.5.3 일정 수위-유량 관계곡선과 고리모양 수위-유량 관계곡선의 비교
      • 6.6 결론
      • 참고문헌
      • VII. 남방진동지수(SOI)와 우리나라 강수량에 대한 Mutual Information System 알고리즘 개발(Mutual Information System between SOI and Precipitation)
      • 7.1 서론
      • 7.2 남방진동지수와 강수량 자료
      • 7.2.1 남방진동지수(Southern Oscillation Index, SOI)
      • 7.2.2 한반도 기후의 특징
      • 7.2.3 우리나라 강수량 자료 선정 및 수집
      • 7.3 분석기법 연구 및 개발
      • 7.3.1 자료의 변환
      • 7.3.2 변동성
      • 7.3.3 경향성
      • 7.3.4 상관성 분석
      • 7.3.5 Mutual Information
      • 7.4 최근 우리나라의 변동성 및 경향성 분석 결과
      • 7.4.1 분석 대상자료
      • 7.4.2 분석 결과
      • 7.5 엘니뇨와 우리나라 강수량간의 비선형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Mutual Information System 알고리즘 개발
      • 7.5.1 Mutual Information의 특성
      • 7.5.2 선형상관분석과의 비교
      • 7.6 Mutual Information을 이용한 서울강수량과 SOI 상관분석결과
      • 7.6.1 MI 분석을 위한 자료변환
      • 7.6.2 서울강수량과 SOI의 결합확률밀도 결과
      • 7.6.3 엘니뇨 사상과 강수량
      • 7.6.4 결과 분석
      • 7.7 엘니뇨에 대한 우리나라 수자원 관리 방안 분석
      • 7.7.1 수자원 부존량 변화 분석
      • 7.7.2 엘니뇨에 대한 우리나라 수자원 관리방안
      • 7.8 결론
      • 참고문헌
      • VIII. 대표유역 수문자료 수집 및 기초분석 연구(Collection and Fundamental Analysis of Hydrologic Data of the Representative Basins)
      • 8.1 강우자료 수집 및 기초분석
      • 8.1.1 강우량 연표 작성
      • 8.1.2 강우량 월표 작성
      • 8.2 수위자료 수집 및 기초분석
      • 8.2.1 수위 연표 작성
      • 8.2.2 수위 월표 작성
      • 8.3 증발량 자료수집 및 기초분석
      • 8.3.1 증발량 연표 작성
      • 8.3.2 증발량 월표 작성
      • 8.4 수위-유량관측 및 Rating Curve
      • 8.4.1 수위-유량 측정자료
      • 8.4.2 저수위 관측결과
      • 8.4.1 Rating Curve의 보완
      • 8.5 유사량 측정 분석 보완
      • 8.5.1 부유사량 측정자료의 분석
      • 8.5.2 부유사량-유량 관계분석 보완
      • 8.6 지하수위 변동 분석
      • 8.6.1 지하수위 관측자료
      • 8.6.2 지하수위 변동분석
      • 8.7 기상자료 분석 및 보완
      • 8.7.1 한강 평창강 대표유역
      • 8.7.2 금강 보청천 대표유역
      • 8.7.3 낙동강 위천 대표유역
      • 8.8 주요호우별 자료수집 및 분석
      • 8.8.1 시간우량 자료표 작성
      • 8.8.2 시간수위 자료표 작성
      • 8.8.3 유역평균 시간누가우량 자료표 작성
      • 8.8.4 유출수문곡선 작성
      • 부록
      • 부록 8.1.1 평창강 대표유역 강우량자료
      • 부록 8.1.2 보청천 대표유역 강우량자료
      • 부록 8.1.3 위천 대표유역 강우량자료
      • 부록 8.2.1 평창강 대표유역 수위자료
      • 부록 8.2.2 보청천 대표유역 수위자료
      • 부록 8.2.3 위천 대표유역 수위자료
      • 부록 8.3.1 평창강 대표유역 유량자료
      • 부록 8.3.2 보청천 대표유역 유량자료
      • 부록 8.4.1 평창강 대표유역 증발량자료
      • 부록 8.4.2 보청천 대표유역 증발량자료
      • 부록 8.4.3 위천 대표유역 증발량자료
      • 부록 8.5.1 평창강 대표유역 지하수위자료
      • 부록 8.5.2 보청천 대표유역 지하수위자료
      • 부록 8.5.3 위천 대표유역 지하수위자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