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만삭아에서 발생한 신생아 경련의 임상 양상과 위험인자 = Clinical Characteristics with Risk Factors for Term Neonatal Seiz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450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신생아 경련은 신생아의 신경학적 문제를 초래하고 신생아 유병률 및 사망률과 중요한 연관성을 가진다. 그 중 만삭아 경련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만...

      목적:신생아 경련은 신생아의 신경학적 문제를 초래하고 신생아 유병률 및 사망률과 중요한 연관성을 가진다. 그 중 만삭아 경련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만삭아 경련 발생의 위험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 임상적 특징에 관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환자-대조군 빈도 짝짓기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후향적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만삭아 경련에 대한 위험인자로 신생아와 모성 측면의 인자를 포함하였고 만삭아 경련의 발생 시기, 발생형태, 뇌파 및 영상학적 소견, 치료 반응 등을 분류하였다.
      결 과:만삭 신생아의 경련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로서 신생아 가사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모성 측면의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뤄져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는 관찰되지 않았다. 경련의 발생 시기는 전반적으로 고른 분포를 나타냈으나, 신생아 가사에 의한 경련은 9명 중 8명(88.9%)이 48시간 내 발생하면서 조기에 유발되었다. 경련 형태는 다양하였지만 신생아 가사를 보인 만삭 경련아의 9명 중 5명(55.5%)이 비전형적 경련 형태를 보이면서 신생아 가사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경련 형태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전신 강직성 경련은 경련이 조절되지 않은 환아 6명 중 3명(50%)에서 관찰되었고 예후가 가장 좋지 못하였다. 뇌파는 검사를 시행한 34명의 환아 중 29명(85.3%)이 이상 뇌파 소견을 나타내어 진단적 도움이 되었다. 뇌영상학적 검사로 MRI, CT, 초음파를 44명에게 시행하였으나 진단적 특이 소견은 없었다. 만삭아 경련아에게 항경련제의 사용은 투여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투여한 경우가 경련 조절에 효과적이었다. 1차 항경련제로 phenobarbital을 사용하였고 2차 항경련제로 phenytoin을 투여하였으며, 경련아 48명 중 23명(48.0%)은 1차 phenobarbital 투여만으로도 경련이 조절되었다. 대사성 장애에 의한 경련은 항경련제 도움 없이 대사 이상의 교정만으로도 경련이 조절되기도 하였으나, 항경련제를 동시에 투여하기도 하여 감별이 어려웠다. 그러나 신생아 경련은 급성 발작 형태로 나타나며 신경학적 장애를 더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경련이 발생하면 우선적으로 항경련제를 투여하는 방향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결론:만삭아에서 발생한 경련의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신생아 가사는 만삭아 경련을 유발하는 가장 흔하고 중요한 인자였다. 그 외에 보고된 여러 위험인자들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발견하지 못하였으며, 앞으로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신생아 가사에 의한 만삭아 경련은 조기에 발생하고 항경련제에 대한 저항성이 크며 사망 혹은 심각한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 따라서, 신생아 가사에 의한 만삭아 경련을 규명하고 관련 위험인자에 대한 더 많은 연구를 통하여 경련의 발생을 예측하고 미리 관리하는 것이 도전 과제로 남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Neonatal seizures reflect neurologic disorders, affecting neo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Nevertheless, risk factors for seizures in term infants have been less well defined. We studied risk factor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associated wit...

      Purpose:Neonatal seizures reflect neurologic disorders, affecting neo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Nevertheless, risk factors for seizures in term infants have been less well defined. We studied risk factor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associated with term neonatal seizures.
      Methods:We used retrospective case-control frequency matching study. We not only identified risk factors for term neonatal seizures, but also analyzed day of seizure onset, seizure types, findings of EEG and neuroimagings, and response to treatment.
      Results:Our data showed that asphyxia i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for neonatal seizures in term infants. We could not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risk factors and the risk of term neonatal seizures. Days of seizure onset were diverse. The seizures caused by asphyxia occurred earlier, of which 90% did within the first 48 hours. Various types of seizures were observed of which subtle seizures were the most common type in neonatal asphyxia. EEG was diagnostically available. However, it did not provide critical evidence to predict prognosis of their seizures. Neuroimaging studies were not helpful for the clinical diagnosis. Term infants with seizures who used antiepileptic drugs showed effective responses in managing seizures. There were no sustained seizures in 48 % of all cases who used phenobarbital only.
      Conclusion:We confirmed neonatal asphyxia i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for term neonatal seizures. Other risk factors are required to be further evaluated. We should identify and establish etiologic risk factors for term neonatal seizures particularly following neonatal asphyxia, and challenge to predict seizure onset and manage presumed seizures in adv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References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References
      • 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Ronen GM., "The epidemiology of clinical neonatal seizures in Newfoundland: A population-based study" 134 : 71-75, 1999

      2 Tekgul H., "The current etiologic profile and neurodevelopmental outcome of seizures in term newborn infants" 117 : 1270-1280, 2006

      3 Jeon JH., "The clinical study on the epileptiform discharges and imaging study in newborn with seizures" 7 : 89-95, 1999

      4 Lien JM., "Term early-onset neonatal seizures: Obstetric characteristics, etiologic classifications, and perinatal care" 85 : 163-169, 1995

      5 Sankar MJ., "Seizures in the newborn" 75 : 149-155, 2008

      6 Miller SP., "Seizure-associated brain injury in term newborns with perinatal asphyxia" 58 : 542-548, 2002

      7 Saliba RM., "Risk factors for neonatal seizures: A population-based study, Harris county, Texas, 1992-1994" 154 : 14-20, 2001

      8 Brunquell PJ., "Prediction of outcome based on clinical seizure type in newborn infants" 140 : 707-712, 2002

      9 Clancy RR., "Postnatal epilepsy after EEG-confirmed neonatal seizures" 32 : 69-76, 1991

      10 Painter MJ., "Phenobarbital compared with phenytoin for the treatment of neonatal seizures" 341 : 485-489, 1999

      1 Ronen GM., "The epidemiology of clinical neonatal seizures in Newfoundland: A population-based study" 134 : 71-75, 1999

      2 Tekgul H., "The current etiologic profile and neurodevelopmental outcome of seizures in term newborn infants" 117 : 1270-1280, 2006

      3 Jeon JH., "The clinical study on the epileptiform discharges and imaging study in newborn with seizures" 7 : 89-95, 1999

      4 Lien JM., "Term early-onset neonatal seizures: Obstetric characteristics, etiologic classifications, and perinatal care" 85 : 163-169, 1995

      5 Sankar MJ., "Seizures in the newborn" 75 : 149-155, 2008

      6 Miller SP., "Seizure-associated brain injury in term newborns with perinatal asphyxia" 58 : 542-548, 2002

      7 Saliba RM., "Risk factors for neonatal seizures: A population-based study, Harris county, Texas, 1992-1994" 154 : 14-20, 2001

      8 Brunquell PJ., "Prediction of outcome based on clinical seizure type in newborn infants" 140 : 707-712, 2002

      9 Clancy RR., "Postnatal epilepsy after EEG-confirmed neonatal seizures" 32 : 69-76, 1991

      10 Painter MJ., "Phenobarbital compared with phenytoin for the treatment of neonatal seizures" 341 : 485-489, 1999

      11 Hossman KA., "Neuronal survival and revival during and after cerebral ischeamia" 1 : 191-197, 1983

      12 Volpe JJ., "Neurology of the newborn" WB Saunders Co 172-207, 1995

      13 Legido A., "Neurologic outcome after electroencephalographically proven neonatal seizures" 88 : 583-596, 1991

      14 Curtis PD., "Neonatal seizures: The Dublin collaborative study" 63 : 1065-1068, 1998

      15 Volpe JJ., "Neonatal seizures: Current concepts and revised classification" 84 : 422-428, 18989

      16 Patrizi S., "Neonatal seizures: Characteristics of EEG ictal activity in preterm and fullterm infants" 25 : 427-437, 2003

      17 Painter MJ., "Neonatal seizures" 3 : 237-248, 2001

      18 Rose AL., "Neonatal seizure state: A study of clinical, pathological and electroencephalographic features in 137 full-term babies with a long-term follow-up" 45 : 404-425, 1970

      19 Scher MS., "Neonatal seizure classification: A fetal perspective concerning childhood epilepsy" S41-S57, 2006

      20 Sarnat HB., "Neonatal encephalopathy following fetal distress" 33 : 696-705, 1976

      21 Blume HK., "Neonatal encephalopathy and socioeconomic status" 161 : 663-668, 2007

      22 Huang LT., "Long- term effects of neonatal seizures: A behavioral, electrophysiological, and histological study" 118 : 99-107, 1999

      23 Lieberman E., "Intrapartum fever and unexplained seizures in term infants" 106 : 983-988, 2000

      24 Saliba RM., "Incidence of neonatal seizures in Harris county, Texas" 150 : 763-769, 1999

      25 Hall ., "Goldenberg NA, Norris JM. Term neonatal seizures: Population-based study in Colorado, 1989-2003" 21 : 795-798, 2006

      26 Kim SK., "Factors related to the outcome of neonatal seizures" 43 : 267-273, 2000

      27 Derham RJ., "Early seizures indicated quality of perinatal care" 60 : 809-813, 1985

      28 Holanda MR., "Comparative clinical study of preterm and full-term newborn neonatal seizures" 64 : 45-50, 2006

      29 Park W., "Clinical study of neonatal seizure" 6 : 71-82, 1998

      30 Kim SH., "Clinical characteristics of neonatal seizures" 13 : 180-186, 2005

      31 Kim CW.,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neonatal seizures" 46 : 1253-1259, 2003

      32 Mizrahi EM.,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neonatal seizures" 37 : 1837-1844, 1987

      33 Evans DJ., "Anticonvulsants for preventing mortality and morbidity in full term newborns with perinatal asphyxia" 3 : 2007

      34 Patterson CA., "Antenatal and intrapartum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seizures in the term inf" 74 : 361-365, 1989

      35 Minchom P., "Antecedents and outcome of very early neonatal seizures in infants born at or after term" 94 : 431-439, 1987

      36 Lanska MJ., "A population-based study of neonatal seizures in Fayette county, Kentucky" 45 : 724-732,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9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7 0.17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4 0.384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