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ssify the types depending on argument structure after reviewing the syntactic, semantic characteristics of ‘NP-으로 V’ complex predicates and setting the standards of type classification. That is, as it is to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32976
김경열 (충북대학교)
2016
Korean
-euro ; complex predicate ; the syntactic ; semantic characteristic ; argument structure ; types ; 으로 ; 복합서술어 ; 통사․의미적 특성 ; 논항구조 ; 유형
KCI등재
학술저널
489-516(28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ssify the types depending on argument structure after reviewing the syntactic, semantic characteristics of ‘NP-으로 V’ complex predicates and setting the standards of type classification. That is, as it is to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ssify the types depending on argument structure after reviewing the syntactic, semantic characteristics of ‘NP-으로 V’ complex predicates and setting the standards of type classification. That is, as it is to classify the detailed types, setting the inexplainable constructions with argument structures of a lagging component as ‘NP-으로 V’ complex predicates. As the subject of study was limited to structure with ‘으로’ as obligatory argument, I identified that all the ‘NP-으로 V’ complex predicate constructions are predicate-oriented complex predicates. Thus I set the conformity of the complex predicate subject and sense subject as the classification standard. After dividing [+conformity] complex predicate subject and [-conformity] complex predicate subject, I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argument structures in detail. Consequently I identified that [+conformity] complex predicate subjects are realized into two types and [-conformity] complex predicate subject are realized into three types.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NP-으로 V’형 복합서술어 구문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살피고, 유형 분류의 기준을 설정한 후, 논항구조에 따라 유형 분류를 목적으로 하였다. 즉, ‘NP-으로 V’형 문장 중 후행 용...
본고는 ‘NP-으로 V’형 복합서술어 구문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살피고, 유형 분류의 기준을 설정한 후, 논항구조에 따라 유형 분류를 목적으로 하였다. 즉, ‘NP-으로 V’형 문장 중 후행 용언의 논항구조로 설명할 수 없는 구문을 ‘NP-으로 V’ 복합서술어로 설정하여 그 세부적인 유형 분류를 목적으로 하였다. ‘으로’가 필수 논항인 것을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NP-으로 V’ 복합서술어 구문은 모두 용언 주도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복합서술어의 주어와 선행 성분의 의미상 주어 일치 여부를 분류 기준으로, [+동일] 주어 복합서술어와 [-동일] 주어 복합서술어로 구분한 후, 논항구조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동일] 주어 복합서술어는 두 가지 유형으로 실현되고, [-동일] 주어 복합서술어는 세 가지 유형으로 실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열, "현대국어 복합서술어의 특성과 논항구조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4
2 홍재성,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두산동아 1997
3 김영희, "한국어 통사 현상의 의의" 도서출판 역락 2005
4 임홍빈, "한국어 구문 분석 방법론" 한국문화사 2003
5 박진호, "통사적 결합 관계와 논항구조" 國語硏究會 123 : 1994
6 이호승, "분리성 통사원자에 대하여" 한국어문학회 (122) : 181-208, 2013
7 이호승, "복합서술어의 특성과 범위" 어문연구학회 55 : 51-72, 2007
8 이은섭, "보충어의 판별 문제와 어휘부 처리에 대한 시론" 한국어문학회 (114) : 87-118, 2011
9 시정곤, "논항구조란 무엇인가" 월인 2000
10 박철우, "국어의 보충어와 부가어 판별 기준"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34) : 75-111, 2002
1 김경열, "현대국어 복합서술어의 특성과 논항구조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4
2 홍재성,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두산동아 1997
3 김영희, "한국어 통사 현상의 의의" 도서출판 역락 2005
4 임홍빈, "한국어 구문 분석 방법론" 한국문화사 2003
5 박진호, "통사적 결합 관계와 논항구조" 國語硏究會 123 : 1994
6 이호승, "분리성 통사원자에 대하여" 한국어문학회 (122) : 181-208, 2013
7 이호승, "복합서술어의 특성과 범위" 어문연구학회 55 : 51-72, 2007
8 이은섭, "보충어의 판별 문제와 어휘부 처리에 대한 시론" 한국어문학회 (114) : 87-118, 2011
9 시정곤, "논항구조란 무엇인가" 월인 2000
10 박철우, "국어의 보충어와 부가어 판별 기준"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34) : 75-111, 2002
11 이병규, "국어 술어명사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2 이호승, "국어 복합서술어 연구: [명사+조사+동사] 구성의 경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13 이홍식, "국어 문장의 주성분 연구" 월인 2000
14 강창석, "국어 문법의 특징과 어순" 개신어문학회 (31) : 5-32, 2010
15 이선웅, "국어 명사의 논항구조 연구" 월인 2005
16 신서인, "구문 분석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문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7 이선웅, "韓國語 名詞類語의 名詞性 檢證"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2 (42): 37-62, 2014
18 김경열, "‘명사+(조사)+시키다’ 복합서술어의 유형 - 의미와 논항구조를 중심으로 -" 중앙어문학회 62 : 31-59, 2015
19 김경열, "‘되다’ 구성의 논항구조와 유형" 국어학회 (73) : 199-228, 2015
20 김경열, "‘NP-조사 들다’ 복합서술어 구문의 유형" 청람어문교육학회 (56) : 343-365, 2015
21 이호승, "‘NP-를 NP-로 하다’ 구문의 유형과 특성" 개신어문학회 (30) : 5-40, 2009
22 유혜원, "‘N-로’를 필수 논항으로 취하는 타동사 연구" 한국어학회 (24) : 189-220, 2004
23 이윤하, "-(으)로'조사구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141 : 133-169, 2005
20세기 전반기 소설과 신문 자료에 드러나는 서술자의 역할과 관점의 차이 그리고 문체의 변화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탐색을 위한 정의적 영역 평가도구 구인 간의 관계성 분석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의 메타언어 쓰임 - 피동과 간접인용의 의미 기술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12-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 ![]() |
2013-12-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6 | 1.06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5 | 1.479 | 0.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