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팬데믹 시대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격차에 관한 연구: 통일전담교육사와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al Gap of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Pandemic Era: Focusing on the In-depth Interviews with Exclusive Educator for Unif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40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격차 문제를 통일전담교육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팬데믹으로 인한 충격은 모두가 받았으나 코로나(COVID-19) 바이러스는 결코 평등하지 않...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격차 문제를 통일전담교육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팬데믹으로 인한 충격은 모두가 받았으나 코로나(COVID-19) 바이러스는 결코 평등하지 않았다. 팬데믹은 개인의 숙련과 돌봄, 관계의 차원에서 사회적 위험을 증가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학부모 역할의 한계, 열악한 가정 내 교육환경, 제3국 출생 자녀의 언어문제를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격차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격차 해소에 현실적 도움을 제공하는 통일전담교육사의 중요성도 확인할 수 있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gap between the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focusing on the role of exclusive educator for unification. Everyone was shocked by COVID-19, but the coronavirus was never equal.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gap between the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focusing on the role of exclusive educator for unification. Everyone was shocked by COVID-19, but the coronavirus was never equal.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gap between children from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focusing on the limitations of the role of parents,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in families, and language problems of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exclusive educator for unification who provide practical support for bridging the educational gap between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COVID-19 era.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measures to bridge the educational gap between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영, "한국거주 탈북배경청소년의 다양성에 따른 지원정책의 분석과 함의"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30 (30): 93-129, 2015

      2 김경근, "한국 사회 교육격차의 유발요인, 실태, 그리고 해소방안에 대한 통합적 고찰" 한국연구재단 8-, 2010

      3 통일부, "탈북청소년은 어디에서 공부할까?"

      4 박혜랑, "탈북청소년교육 연구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41-663, 2018

      5 김보미, "탈북 청소년 연구의 20년 동향분석: 1999년~2018년 연구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65-1289, 2019

      6 "탈북 청소년 200여명에 전담사는 고작 4명 ‘돌봄 인프라 부족’"

      7 용영숙, "탈북 아동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아동학회 39 (39): 23-37, 2018

      8 이예슬, "코로나19에 따른 학교 교육에서의 패러독스 현상" 한국교육학회 59 (59): 131-165, 2021

      9 김강남, "코로나19로 달라진 이주배경아동의 학습과 일상" 다문화평화연구소 15 (15): 118-142, 2021

      10 박미희, "코로나19 시대의 교육격차 실태와 교육의 과제: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30 (30): 113-145, 2020

      1 이기영, "한국거주 탈북배경청소년의 다양성에 따른 지원정책의 분석과 함의"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30 (30): 93-129, 2015

      2 김경근, "한국 사회 교육격차의 유발요인, 실태, 그리고 해소방안에 대한 통합적 고찰" 한국연구재단 8-, 2010

      3 통일부, "탈북청소년은 어디에서 공부할까?"

      4 박혜랑, "탈북청소년교육 연구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41-663, 2018

      5 김보미, "탈북 청소년 연구의 20년 동향분석: 1999년~2018년 연구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65-1289, 2019

      6 "탈북 청소년 200여명에 전담사는 고작 4명 ‘돌봄 인프라 부족’"

      7 용영숙, "탈북 아동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아동학회 39 (39): 23-37, 2018

      8 이예슬, "코로나19에 따른 학교 교육에서의 패러독스 현상" 한국교육학회 59 (59): 131-165, 2021

      9 김강남, "코로나19로 달라진 이주배경아동의 학습과 일상" 다문화평화연구소 15 (15): 118-142, 2021

      10 박미희, "코로나19 시대의 교육격차 실태와 교육의 과제: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30 (30): 113-145, 2020

      11 오재호, "코로나 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경기연구원 2020

      12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제40회 스승의 날 기념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 발표"

      13 관계부처 합동, "제3차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기본계획(2021-2023)" 29-, 2021

      14 정주영,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한국입국 전후 삶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8 (18): 219-250, 2016

      15 J. Mutter, "재난 불평등" 동녘 2021

      16 김혜숙, "원격수업의 질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방향 탐색 연구" 교육부 2021

      17 강명원, "비대면(Untact) 교육환경의 대응에 관한 연구 – 교육복지를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27 (27): 309-332, 2021

      18 이슬기, "분단․다문화 시대 학교의 현황과 역할: 탈북학생 재학 학교를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3 (13): 23-43, 2020

      19 이윤진,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정책, 여성과 육아에 초점 맞춰야" 육아정책연구소 2021

      20 통일부,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실무편람"

      21 이윤진, "북한이탈주민 영유아 자녀 양육지원 강화방안" 육아정책연구소 94-, 2012

      22 남북하나재단,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조사" 2020

      23 김수경, "북한이탈주민 가치적응 실태연구" 통일교육원 139-142, 2019

      24 황규성, "다중격차: 다차원적 불평등에 관한 개념화 시론" 한국사회과학연구회 (97) : 9-44, 2016

      25 이종숙, "너와 나 함께 여는 어울림 교육, 마음 속 분단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에코톤 2021

      26 윤철기, "남북한 사회통합의 현안과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남북한 상호이해교육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정보학회 19 (19): 417-454, 2016

      27 "남북하나재단 청소년 교육 및 적응 지원"

      28 "기초학력 보장, 더는 미룰 수 없다"

      29 "국가법령정보센터"

      30 양희준, "교육정보공개법의 정책 목표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195-215, 2014

      31 김희삼, "교육격차와 사회통합" 2009

      32 류방란, "교육격차: 가정 배경과 학교교육의 영향력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15-16, 2016

      33 박경호, "교육격차 실태 종합분석" 한국교육개발원 5-17, 2017

      34 마이클 샌델, "공정하다는 착각" 미래앤 2020

      35 정미라, "COVID-19 팬데믹과 학교 교육의 교육 불평등" 2021

      36 권순정, "COVID-19 이후, 교육격차와 교육정책에 대한 논의: 서울시 교육격차를 중심으로" 2-, 2020

      37 관계부처 합동, "2021년도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시행계획" 48-, 2021

      38 통계청, "2021 청소년 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3-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Center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1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2007-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초등교육연구소 -> 초등교육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7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