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좋은 독일어 수업을 찾아서 - ‘행위지향’과 ‘과제기반’을 중심으로 = Auf der Suche nach einem guten Deutschunterricht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711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e neueste Fremdsprachendidaktik wird von dem Paradigmenwechsel vom ‘Was’ zum ‘Wie’ des Spracherwerbs geleitet. Daher sollte ein guter Fremdsprachenunterricht darauf basieren, wie man Sprachen lernt. Die heutige Zweitsprachenerwerbsforschung besagt, dass beim Sprachenerwerb die Interaktion für die Bedeutungsaushandlung die wichtigste Rolle spielt. Diesem Paradigmenwechsel folgend wurde 2001 der Gemeinsame Europäische Referenzrahmen eingeführt, dem ein handlungsorientierter Ansatz zugrunde liegt. Der handlungsorientierte Ansatz betont, dass die Lerner als 'sozial Handelnde' nicht nur die Fremdsprache üben, sondern sie auch benutzen und dabei interaktiv handeln. In diesem Zusammenhang werden Aufgaben (Tasks) im Fremdsprachenunterricht viel stärker als bisher eingesetzt.
      Im aufgabenbasierten Fremdsprachenunterricht führen die Lerner im Klassenzimmer verschiedene Aktivitäten durch, um die Fremdsprache zu verstehen, zu verarbeiten und zu produzieren. Bei deren Durchführung konzentrieren sie sich in erster Linie auf die Bedeutungsaushandlung und so wird Interaktion unter den Lernern stärker als bisher aktiviert. Ein guter kommunikativer Fremdsprachenunterricht hängt also im Wesentlichen von der Art und Weise ab, wie Aufgaben (Tasks) gestaltet werden. Im vorliegenden Artikel werden die Möglichkeiten der Handlungsorientierung im Fremdsprachenunterricht theoretisch reflektiert und anhand von zwei Unterrichtsenwürfen konkretisiert.
      번역하기

      Die neueste Fremdsprachendidaktik wird von dem Paradigmenwechsel vom ‘Was’ zum ‘Wie’ des Spracherwerbs geleitet. Daher sollte ein guter Fremdsprachenunterricht darauf basieren, wie man Sprachen lernt. Die heutige Zweitsprachenerwerbsforschung ...

      Die neueste Fremdsprachendidaktik wird von dem Paradigmenwechsel vom ‘Was’ zum ‘Wie’ des Spracherwerbs geleitet. Daher sollte ein guter Fremdsprachenunterricht darauf basieren, wie man Sprachen lernt. Die heutige Zweitsprachenerwerbsforschung besagt, dass beim Sprachenerwerb die Interaktion für die Bedeutungsaushandlung die wichtigste Rolle spielt. Diesem Paradigmenwechsel folgend wurde 2001 der Gemeinsame Europäische Referenzrahmen eingeführt, dem ein handlungsorientierter Ansatz zugrunde liegt. Der handlungsorientierte Ansatz betont, dass die Lerner als 'sozial Handelnde' nicht nur die Fremdsprache üben, sondern sie auch benutzen und dabei interaktiv handeln. In diesem Zusammenhang werden Aufgaben (Tasks) im Fremdsprachenunterricht viel stärker als bisher eingesetzt.
      Im aufgabenbasierten Fremdsprachenunterricht führen die Lerner im Klassenzimmer verschiedene Aktivitäten durch, um die Fremdsprache zu verstehen, zu verarbeiten und zu produzieren. Bei deren Durchführung konzentrieren sie sich in erster Linie auf die Bedeutungsaushandlung und so wird Interaktion unter den Lernern stärker als bisher aktiviert. Ein guter kommunikativer Fremdsprachenunterricht hängt also im Wesentlichen von der Art und Weise ab, wie Aufgaben (Tasks) gestaltet werden. Im vorliegenden Artikel werden die Möglichkeiten der Handlungsorientierung im Fremdsprachenunterricht theoretisch reflektiert und anhand von zwei Unterrichtsenwürfen konkretisie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외국어 수업의 질을 평가하는 데에 무엇이 중요한가? 본 논문에서는 언어 습득은 상호행위 및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고 촉진된다는 가설을 지지하며 외국어 수업의 상호행위를 중심 주제로 다루었다. 일상 의사소통에서와는 달리 외국어 수업에서는 제시용 질문, 경직된 상호작용 구조, 수업 참여자 사이의 상호행위의 비활성화, 교사의 독점적 발화량, 교사의 독점적 발화권 및 발화 지명권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후기 의사소통 접근법은 일상 의사소통에서 우리가 언어를 가지고 행하는 활동과 이때 행하는 활동 방식에 주목하며 외국어 수업에서의 ‘상호행위’와 ‘행위지향성’을 강조한다. 외국어 수업은 실제 일상적인 언어 사용과는 태생적으로 다르다. 외국어 수업의 장점을 살려 언어습득이 발생하고 촉진될 수 있는 ‘상호행위’를 활성화시키고 ‘행위지향성’을 강화시켜 주는 교수법적 기획이 필요하다. ‘과제기반 교수법’은 일상 의사소통에서 실제로 언어를 가지고 수행하는 일들을 ‘과제’로 명명하고 과제의 실제성과 과제 수행 방식의 실제성을 되도록 많이 반영할 수 있는 언어 사용 활동을 부각시킨다. 이러한 과제 활동은 학습자의 수업 참여를 높여 주며 상호행위를 활성화시킨다. 특히 학습자의 관심을 잡아끌고 학습자와 직접 관련된 흥미로운 주제로 과제를 개발하고 수업을 설계하면 학습자의 수업 활동 몰입도를 고양시키고 상호행위를 더욱 더 활성화시킬 수 있다.
      번역하기

      외국어 수업의 질을 평가하는 데에 무엇이 중요한가? 본 논문에서는 언어 습득은 상호행위 및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고 촉진된다는 가설을 지지하며 외국어 수업의 상호행위를 중심 주제...

      외국어 수업의 질을 평가하는 데에 무엇이 중요한가? 본 논문에서는 언어 습득은 상호행위 및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고 촉진된다는 가설을 지지하며 외국어 수업의 상호행위를 중심 주제로 다루었다. 일상 의사소통에서와는 달리 외국어 수업에서는 제시용 질문, 경직된 상호작용 구조, 수업 참여자 사이의 상호행위의 비활성화, 교사의 독점적 발화량, 교사의 독점적 발화권 및 발화 지명권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후기 의사소통 접근법은 일상 의사소통에서 우리가 언어를 가지고 행하는 활동과 이때 행하는 활동 방식에 주목하며 외국어 수업에서의 ‘상호행위’와 ‘행위지향성’을 강조한다. 외국어 수업은 실제 일상적인 언어 사용과는 태생적으로 다르다. 외국어 수업의 장점을 살려 언어습득이 발생하고 촉진될 수 있는 ‘상호행위’를 활성화시키고 ‘행위지향성’을 강화시켜 주는 교수법적 기획이 필요하다. ‘과제기반 교수법’은 일상 의사소통에서 실제로 언어를 가지고 수행하는 일들을 ‘과제’로 명명하고 과제의 실제성과 과제 수행 방식의 실제성을 되도록 많이 반영할 수 있는 언어 사용 활동을 부각시킨다. 이러한 과제 활동은 학습자의 수업 참여를 높여 주며 상호행위를 활성화시킨다. 특히 학습자의 관심을 잡아끌고 학습자와 직접 관련된 흥미로운 주제로 과제를 개발하고 수업을 설계하면 학습자의 수업 활동 몰입도를 고양시키고 상호행위를 더욱 더 활성화시킬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옥선, "그림과 비디오를 활용한 과제기반적 독일어 수업" 8 : 98-121, 2001

      2 최희재, "교수·학습 절차로서의‘과제’에 관한 고찰 -행위중심접근법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33) : 83-101, 2010

      3 현태덕, "과제중심 영어 학습지도안 모형 개발"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16 (16): 321-346, 2010

      4 이원경, "과제중심 교수학습을 위한 단편영화의 활용방안 - 독일어 수업의 예"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47 (47): 37-62, 2010

      5 김지영, "과제 중심 접근법에 기반한 한국어 교육 과정 개발 방안 연구 : 비고츠키 사회문화이론을 적용하여" 고려대학교 2012

      6 Funk, H., "sdtudio d A1" Cornelsen 2012

      7 "http://en.wikipedia.org/wiki/Display_question"

      8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 15269997"

      9 Aufderstraße, H., "Themen 1 aktuell" Hueber Verlag 2009

      10 Nunan, D., "Task-based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 김옥선, "그림과 비디오를 활용한 과제기반적 독일어 수업" 8 : 98-121, 2001

      2 최희재, "교수·학습 절차로서의‘과제’에 관한 고찰 -행위중심접근법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33) : 83-101, 2010

      3 현태덕, "과제중심 영어 학습지도안 모형 개발"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16 (16): 321-346, 2010

      4 이원경, "과제중심 교수학습을 위한 단편영화의 활용방안 - 독일어 수업의 예"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47 (47): 37-62, 2010

      5 김지영, "과제 중심 접근법에 기반한 한국어 교육 과정 개발 방안 연구 : 비고츠키 사회문화이론을 적용하여" 고려대학교 2012

      6 Funk, H., "sdtudio d A1" Cornelsen 2012

      7 "http://en.wikipedia.org/wiki/Display_question"

      8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 15269997"

      9 Aufderstraße, H., "Themen 1 aktuell" Hueber Verlag 2009

      10 Nunan, D., "Task-based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1 Ellis, R., "Task-based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2 Lightbown, P., "How Language are Learned"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3 Sheils, J., "Gemeinsamer europäischer Referenzrahmen für Sprachen: lernen, lehren, beurteilen: Lernen, lehren, beurteilen" Langenscheidt 2001

      14 Bach, G., "Englischunterricht: Grundlagen und Methoden einer handlungsorientierten Unterrichtspraxis" UTB 2009

      15 Willis, D., "Doing Task-based Teach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Deutsch als Fremdsprache in Korea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8 0.60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