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부터 국내유통시장의 개방된 이래, 국내외의 국적소속으로 국내에서 영업활동을 하는 할인점들은 치열한 시장점유율 쟁탈전을 벌이고 있다. 이처럼 할인점간의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484111
2004
-
325
KCI등재
학술저널
145-169(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97년부터 국내유통시장의 개방된 이래, 국내외의 국적소속으로 국내에서 영업활동을 하는 할인점들은 치열한 시장점유율 쟁탈전을 벌이고 있다. 이처럼 할인점간의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
1997년부터 국내유통시장의 개방된 이래, 국내외의 국적소속으로 국내에서 영업활동을 하는 할인점들은 치열한 시장점유율 쟁탈전을 벌이고 있다. 이처럼 할인점간의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유통업계의 경영진과 이 분야를 연구하는 학자는 할인점에 대한 만족도와 충성도 등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망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할인점의 점포이미지가 할인점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하였다.
부산지역 소비자 41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할인점의 점포이미지는 할인점에 대한 태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만 할인점에 재방문의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할인점에 대한 태도는 할인점에 대한 만족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고 할인점의 재방문의도에 보다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할인점에 대해 긍정적인 점포이미지를 가진 소비자일수록 할인점에 대해 만족할 가능성이 높고, 이런 만족도는 할인점의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점 그리고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full liberalization of distribution sector in 1997, both multinational and domestic discount retailer have been competing to gain more market share in Korea. Increase competition amo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tail stores forces marketing...
With the full liberalization of distribution sector in 1997, both multinational and domestic discount retailer have been competing to gain more market share in Korea. Increase competition amo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tail stores forces marketing academics and practitioners to understand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discount retail store satisfaction and loyalty. This study examines how store image of a retailer influences consumers' attitudes, satisfaction and loyalty. This study examines how store image of a retailer influences consurners' attutude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 visit that store.
The data, collected from a sample of 416 customers in Busan, Korea, indicated that store image is exerting positive influences in the formation of attitude, satisfaction. But favorable store image does not have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store. Rather the impact of store image on intention to revisit is mediated by attitudes and satisfaction. And unlike the overall store image, attitudes have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consmers' intention to revisit, not mediated by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also results in higher possibility of forming intention to revisit that same discount store.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vid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useful directions for future study.
목차 (Table of Contents)
리테일 엔터테인먼트 요소 구별: 소비자 반응에 의한 탐색적 분석
중소 전자상거래 기업의 소비자정보 최적화를 위한 효율적 마케팅 모듈 : e-CRM 연동전략을 중심으로
패션브랜드개성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정장, 캐주얼, 스포츠 브랜드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