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의 경제 문화, 인적 교류는 증가하고 있다. 그럴수록 한국, 중국 양국 국민들이 서로를 알고자 하는 지식에 대한 욕구는 증가할 것이다. 두 나라가 서로를 이해하고 현실적 필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98289
2009
-
한국 중국 출판무역 ; 출판산업 ; 출판저작권 ; 번역 ; 에이전시 ; Korea ; Chin ; a publishing-industry ; trade ; publising copyright ; translation ; agency
300
KCI등재
학술저널
73-104(32쪽)
5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과 중국의 경제 문화, 인적 교류는 증가하고 있다. 그럴수록 한국, 중국 양국 국민들이 서로를 알고자 하는 지식에 대한 욕구는 증가할 것이다. 두 나라가 서로를 이해하고 현실적 필요...
한국과 중국의 경제 문화, 인적 교류는 증가하고 있다. 그럴수록 한국, 중국 양국 국민들이 서로를 알고자 하는 지식에 대한 욕구는 증가할 것이다. 두 나라가 서로를 이해하고 현실적 필요성에 의해서 양국 간의 출판도서 교류는 무엇보다 필요하다.
중국과 한국의 도서 저작권 수출입 현황을 분석하여 교류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 이글의 목적이다.
중국과 한국은 출판무역에 있어서 역조를 보이고 있다. 그것은 한국과 중국이 경제성장 속도가 빠르고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문화적 욕구가 커졌기 때문에 도서 저작권 수입이 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이 도서를 수입하는 종류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것은 경제적 수준 따른 필요한 도서가 다르고 양국의 국민적취향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도서 저작권수출에 있어서는 한국과 중국의 수출국가는 대만, 한국, 일본, 중국등의 국가에 집중되어 있다
한국과 중국 도서수출의 대부분이 동북아시아 국가들이라는 것은 시사하는 점이 크다.동북아시아는 문화와 언어가 비슷하기 때문에 번역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서 내용을 영어나 서구 언어로 번역한 것 보다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동북아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 동북아 국가 간의 문화교류가 더 활성화 된다면 출판 무역은 지금 보다 훨씬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중국에서 한국에 대한 도서수요는 한류라는 한국 대중문화가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일대에서 유행하고 나서 한국도서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늘어났다는 것이 뒷받침하고 있다. 실증적인 통계도 그것을 증명하고 있다. 도서저작권 무역이 더 늘어나기 위해서 한국과 중국은 양국에 대하여 도서의 홍보에 주력하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한국과 중국의 출판 교류가 더 늘어나기 위해선 훌륭한 번역가가 더 양성되어야 한다. 양국의 인적 교류는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경제적 교류가 늘어남에 따라 한국에 유학하고, 중국에 유학하는 중국인과 한국인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들 중에서 훌륭한 번역가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
전문적인 에이전시에 의한 저작권 관리는 도서무역 규모가 커지고 도서의 종수가 많아 질수록 더욱더 전문화되고 대형화 된 에이전시가 필요하다. 전문에이전시를 통해서 저작권 관리를 하고 국제적 협약에 의한 양국 간의 저작권 준수가 도서무역의 활성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searches how to improve publishing trade between China and Korea. Economy of China has grown rapidly since 1980s owing to Deung Xieoping's reforming and opening policy. Korean publishing industry is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Decision ...
This Study researches how to improve publishing trade between China and Korea. Economy of China has grown rapidly since 1980s owing to Deung Xieoping's reforming and opening policy. Korean publishing industry is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Decision of Governmen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hinese publishing industry.
The establishing of publishing company is not free in China, the government of China has the right to allow publishing companies to publish books. But everyone can do that in Korea if he has mind to do.
The best selling books in Korea and in China are the books which is required for entering university. Because Korean and Chinese have great eager to get higher education.
China is importing copy right of books from foreign countries. China important books from America, England, Japan, Taiwan, Korea. Korea imports copyright of books from America, Japan, England, China. Korea and China are deficits on publishing trade. Korea and Chinese economy has grown rapidly for three decades. Two countries needs much books to meet people's desire to get new knowledge. Korea and China import books from developed countries, export them to eastern asia.
The publishing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is small comparing with whole trade. Translation is the key to increase book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Korean and Chinese student studies in each other's country, they can be good translator. Because Chinese students who studies in Korea know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very well. So does Korean sudents.
Public rel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s needed to increase publishing trade. Korea and China participate in book fairs held in two countr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중출판 학술회의 논문집" 2007
2 "한중출판 학술회의 논문집" 2006
3 "한중출판 학술회의 논문집" 2005
4 김진두, "한류를 이용한 도서의 수출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출판학회 (49) : 59-92, 2005
5 "한국출판의 수출활성화 방안 연구"
6 대한출판문화협회, "한국출판연감" 대한출판문화협회 2006
7 박정옥, "출판 저작권 수출 진흥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8 김재윤, "출판 산업 현황과 주요 정책 과제" 김재윤 의원실 2004
9 김진두, "중국 출판 산업 변화와 도서 수출 방안 연구" 한국출판학회 (53) : 33-60, 2007
10 신광웨이저, "시장논리로 보는 중국출판" 북스 힐 2006
1 "한중출판 학술회의 논문집" 2007
2 "한중출판 학술회의 논문집" 2006
3 "한중출판 학술회의 논문집" 2005
4 김진두, "한류를 이용한 도서의 수출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출판학회 (49) : 59-92, 2005
5 "한국출판의 수출활성화 방안 연구"
6 대한출판문화협회, "한국출판연감" 대한출판문화협회 2006
7 박정옥, "출판 저작권 수출 진흥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8 김재윤, "출판 산업 현황과 주요 정책 과제" 김재윤 의원실 2004
9 김진두, "중국 출판 산업 변화와 도서 수출 방안 연구" 한국출판학회 (53) : 33-60, 2007
10 신광웨이저, "시장논리로 보는 중국출판" 북스 힐 2006
11 한국문화콘텐츠 진흥원, "동북아 문화콘텐츠 산업현황" 한국문화콘텐츠 진흥원 2003
12 김진두, "도서의 중국출판시장 진출 연구" 출판문화학회 (13) : 2005
13 안준모, "국내 도서전 수출을 통한 저작권 수출증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경영학과 2005
14 김영구, "개혁개방이후의 중국출판 시스템의 발전" 한국방송대학 2001
15 김진두, "개혁 개방 이후의 중국 출판산업에 대한 연구" 한국출판학회 (51) : 95-129, 2006
16 "韓國出版의 海外進出과 出版發展"
17 "http://www.kpa21.or.kr."
18 "http://www.gapp.gov.cm/cms."
19 "http://www.etimes.net."
20 매일경제신문, "2008년.3월 17일자"
디지털시대 국민 독서증대를 위한 문학라디오 활성화 방안 연구
미디어교육에 대한 도시와 농촌 간의 실태 차이 비교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61 | 0.79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