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고귀한 거짓말'을 ‘선의 이데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과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1) 플라톤의 '고귀한 거짓말'은 통치자의 지배 이데올로기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8107
201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플라톤의 '고귀한 거짓말'을 ‘선의 이데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과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1) 플라톤의 '고귀한 거짓말'은 통치자의 지배 이데올로기인...
플라톤의 '고귀한 거짓말'을 ‘선의 이데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과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1) 플라톤의 '고귀한 거짓말'은 통치자의 지배 이데올로기인가?
플라톤은 훌륭한 거짓말은 피지배자를 편익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지 지배 이데올로기로 사용하지 않는다. 플라톤에 따르면 통치자는 자신의 편익이 되는 것을 생각하지 않고, 통솔을 받는 쪽의 이익을 생각한다(342e). ”참된 뜻에서 통치를 하는 이들은 다스림을 받는 이들에 대해서 마음을 쓴다"(343b)
2) ‘고귀한 거짓말’의 의미와 그것의 대상 연구
국가 376e-378e와 415a-416e의 고귀한 거짓말은 현대 정치철학자들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엘리트 정치가가 어리석은 대중을 위한 교묘히 사용하는 장치가 아니라, 지혜를 사랑하며 격정적인 훌륭하고 훌륭한(kalos kagathos) 수호자의 양육을 위한 교육과정이다. 수호자가 될 아이들은 어릴 적에 배운 생각들을 좀처럼 바꾸기 어렵기 때문에, 아이들이 처음 듣게 되는 이야기들은 덕(aret)을 가르치기 위해서 가장 훌륭한 허구이어야 한다. 이런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고귀한 거짓말’이다.
3) ‘고귀한 거짓말’과 선의 이데아와의 관계 연구
플라톤은 거짓말을 본질적인 측면에서 두 가지로 구분한다. ‘진짜 거짓’(s althos pseudos)과 ‘말을 통한 거짓’(h tou epseusmenou)을 구분한다(382b). 전자는 사실(ta onta)관해서 혼을 속여서 신들과 인간들 모두에게 비난을 받는 것인 반면, 후자는 신들에게 무익하나 인간들에게는 때때로 유익한 것이다. 어리석음으로 인해서 나쁜 일을 저지르려 들 때, 그것을 막기 위해서 거짓말이 약처럼 사용되는 경우이다(382b). 플라톤에 따르면 정의라는 것이 그 자체로도 선이고, 그 결과로도 선이다. 그런데 고귀한 거짓말은 결과적인 선에 불과한 것이 아닌가? 이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느가
이상의 논의를 진척시키기 위해서 현대철학자들 중에서 포퍼의 열린 사회의 그 적들 6장과 10장의 내용을 심도 깊게 고찰하고, 국가 2권의 ‘고귀한 거짓말’의 내용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국가2권의 ‘고귀한 거짓말’과 6, 7권의 선의 이데아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선의 이데아에 대한 빌란트(Wolfgang Wieland)와 안나스(Julia Annas) 관점을 적용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