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요산 문학에서 나타나는 고발의 서사전략과 아울러 그의 리 얼리즘론의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요산의 현실 고발은 보여주기(showing)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요산 문학에서 나타나는 고발의 서사전략과 아울러 그의 리 얼리즘론의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요산의 현실 고발은 보여주기(showing)를 ...
본고는 요산 문학에서 나타나는 고발의 서사전략과 아울러 그의 리
얼리즘론의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요산의 현실 고발은 보여주기(showing)를 그 핵심적 서사전략으
로 한다. 왜곡된 현실을 보여주기 위한 방법으로 전통적인 것, 토속적
인 것을 강조한다. 이는 작품 속에 토속어 사용 및 민요 들려주기 형
식으로 나타난다.
2.현실의 지배 이데올로기와 피지배 이데올로기를 양립할 수 없는
관계로 설정, 갈등구조를 통해 양자를 첨예화시킨다. 이는 요산의 작
품에서 갈등의 양상이 개인간의 갈등이 아닌 집단간의 갈등이라는 전
략을 통해 표출된다.
3.2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부정적 모티브와 갈등의 수단을 통해 실
현된다. 첫째, 토지는 그의 전 작품에서 갈등의 중심모티브로 작용하
고 있다. 둘째, 사찰은 부정적 모티브의 주요한 요소가 된다. 이 사찰
은 지배 이데올로기의 알레고리적 의미로 제시된다. 알레고리 전략은
현실의 우회적 대응전략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제 3자(갈등매개자)는
갈등을 더욱더 조장하는 인물로 모두 지배 이데올로기에 영합하는 인
물들이다. 이 인물들은 수탈강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4.갈등의 해결 방식은 대부분 미해결이거나 갈등이 극한 상황에 갔
을 때, 이야기는 끝이 난다. 갈등의 근본적 해결은 불가능한 것으로 제
시한다. 이것이 현실고발의 표면적 전략이라면 모순된 현실에 대한 갈
등해결은 절대 불가능함을 보이면서 이 갈등은 결국 극복해야 하며,
해결되어야 한다는 역설성이 심층적 전략이다.
5.요산은 세계사적 계급적 모순보다는 민족 현실의 모순에 관심이
있었다. 이러한 모순을 고발이라는 서사전략을 통해 보여줌으로써 독
자로 하여금 비판의식을 갖도록 하고 대항이데올로기를 유도하는 효
과를 가진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