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학농민혁명백주년기념사업회, "황토현에 부치는 노래" 창작과비평사 1993
2 지현배, "현대시 작품을 통해 본 동학의 코드" 동학학회 (39) : 263-301, 2016
3 김성현,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인성교육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탐색" 교육연구소 18 (18): 143-164, 2012
4 최인수, "창의성의 발견" 쌤앤파커스 2011
5 신동엽, "증보판 신동엽 전집" 창작과 비평사 1980
6 송현주, "자기성찰 글쓰기와 인성교육" 동양사회사상학회 18 (18): 425-448, 2015
7 유종호, "일탈의 시학" 민음사 1995
8 김세곤, "유아 존중 교육사상의 근간으로서의 동학" 동학학회 (40) : 151-174, 2016
9 이영섭, "신동엽의 서사시 <금강> 연구 : <금강>의 역사의식과 탈역사성" 한국문학연구학회 (5) : 1995
10 박수연, "신동엽의 문학과 민족 형이상학" 어문연구학회 38 : 2002
1 동학농민혁명백주년기념사업회, "황토현에 부치는 노래" 창작과비평사 1993
2 지현배, "현대시 작품을 통해 본 동학의 코드" 동학학회 (39) : 263-301, 2016
3 김성현,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인성교육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탐색" 교육연구소 18 (18): 143-164, 2012
4 최인수, "창의성의 발견" 쌤앤파커스 2011
5 신동엽, "증보판 신동엽 전집" 창작과 비평사 1980
6 송현주, "자기성찰 글쓰기와 인성교육" 동양사회사상학회 18 (18): 425-448, 2015
7 유종호, "일탈의 시학" 민음사 1995
8 김세곤, "유아 존중 교육사상의 근간으로서의 동학" 동학학회 (40) : 151-174, 2016
9 이영섭, "신동엽의 서사시 <금강> 연구 : <금강>의 역사의식과 탈역사성" 한국문학연구학회 (5) : 1995
10 박수연, "신동엽의 문학과 민족 형이상학" 어문연구학회 38 : 2002
11 지현배, "신동엽 시에 나타난 동학사상과 글쓰기 방식-『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大地』를 중심으로" 동학학회 (27) : 311-337, 2013
12 김지선, "신동엽 <금강>의 화자 분석을 통한 작가‒서술자 이념 연구" 국제어문학회 (56) : 195-227, 2012
13 성민엽, "신동엽" 문학세계사 1992
14 김용환, "상생의 관점에서 바라본 동귀일체의 동학정신" 동학학회 (26) : 7-36, 2012
15 이상섭, "문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451) : 1992
16 김지하, "동학이야기" 솔 1994
17 정용수, "동학의 인간중심 사상" 동학학회 (38) : 151-174, 2016
18 임상욱, "동학사상의 관점에서 바라본 ‘올바름’의 정당성 검토" 동학학회 (37) : 298-326, 2015
19 박홍규, "동학과 자유-자치-자연 ; 유교적 유토피아 사상과 운동으로서의 동학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동학학회 (35) : 139-170, 2015
20 조극훈, "동학 문화 콘텐츠와 글로컬라이제이션" 동학학회 (35) : 203-236, 2015
21 손승남, "대학 인성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11-41, 2014
22 신동엽, "금강" 창작과 비평사 1989
23 김홍진, "『금강』의 서사양식 수용과 서술기법" 한국문예창작학회 8 (8): 5-30,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