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성숙, "한국전쟁에 대한 젠더별 기억과 망각" 한국여성사학회 (7) : 123-164, 2007
2 함한희, "한국전쟁과 여성-경계에 선 여성들" 역사문제연구소 (91) : 22-52, 2010
3 신동흔, "한국전쟁 체험담을 통해 본 역사 속의 남성과 여성- 우리 안의 분단을 넘어서기 위하여" 국문학회 (26) : 277-312, 2012
4 조은, "한국문화·문학과 구술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5 이나영, "한국문화·문학과 구술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6 윤택림, "한국문화·문학과 구술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7 한정훈, "한 여성 빨치산의 구술생애담을 통해서 본 정체성의 서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5 (15): 359-388, 2011
8 박현숙, "좌익가문 여성의 삶을 통해 본 통합서사 –수동댁 전쟁체험담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64 : 51-85, 2015
9 이영미, "족장설화의 모계전통과 여성" 대한기독교서회 (399) : 1992
10 조옥라, "젠더, 경험, 역사" 서강대학교출판부 2004
1 이성숙, "한국전쟁에 대한 젠더별 기억과 망각" 한국여성사학회 (7) : 123-164, 2007
2 함한희, "한국전쟁과 여성-경계에 선 여성들" 역사문제연구소 (91) : 22-52, 2010
3 신동흔, "한국전쟁 체험담을 통해 본 역사 속의 남성과 여성- 우리 안의 분단을 넘어서기 위하여" 국문학회 (26) : 277-312, 2012
4 조은, "한국문화·문학과 구술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5 이나영, "한국문화·문학과 구술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6 윤택림, "한국문화·문학과 구술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7 한정훈, "한 여성 빨치산의 구술생애담을 통해서 본 정체성의 서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5 (15): 359-388, 2011
8 박현숙, "좌익가문 여성의 삶을 통해 본 통합서사 –수동댁 전쟁체험담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64 : 51-85, 2015
9 이영미, "족장설화의 모계전통과 여성" 대한기독교서회 (399) : 1992
10 조옥라, "젠더, 경험, 역사" 서강대학교출판부 2004
11 린다 맥도웰, "젠더 정체성 장소-페미니스트 지리학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10
12 박정석, "전쟁과 '빨갱이'에 대한 집단기억 읽기 ―``해남의 한 마을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59) : 336-362, 2002
13 역사문제연구소, "전봉준과 그의 동지들" 역사비평사 1997
14 염미경, "여성의 전쟁경험과 기억: 좌익관련 여성유족의 구술생애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8 (28): 137-164, 2005
15 박현숙, "여성 전쟁체험담의 역사적 트라우마 양상과 대응방식" 인문학연구원 57 : 91-124, 2014
16 염미경, "양반가문의 한국전쟁 경험 : 전남 강진지역의 근대적 지배층의 변화를 중심으로" 29 : 2001
17 이재승, "묘지의 정치" 인문학연구원 68 : 257-296, 2016
18 이용기, "마을에서의 한국전쟁 경험과 그 기억" 역사문제연구소 (6) : 2001
19 박상란, "동학농민혁명담의 전승과 젠더" 동학학회 (42) : 187-226, 2017
20 박상란, "동학군 아내의 문학적 재현 양상과 의의" 동학학회 (36) : 7-43, 2015
21 윤택림, "대안적 역사쓰기의 이론적 배경 : 역사인류학적 접근" 역사비평사 2003
22 동학농민유족회, "다시 피는 녹두꽃(동학농민혁명 유족들이 전하는 고통과 자부심의 영상증언록)"
23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다시 피는 녹두꽃(동학농민혁명 구전자료 영상증언록) 1~3"
24 역사문제연구소, "다시 피는 녹두꽃" 역사비평사 1994
25 김경섭, "‘전쟁의 기억’과 ‘기억의 전쟁’- 특별한 피난체험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57 : 63-90,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