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금기된 과거사에 대한 여성의 기억과 의미- 여계(女系)전승 동학농민혁명담을 중심으로 = Women’s Memory and its Meaning about the Past History of Taboo- Focusing Female Linge Transmitted Donghak Peasantry Movement 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74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for finding out women line transmitted Donghak Peasantry Movement Story’s narrative features centering out memory types, and illuminating women’s sight about Donghak Peasantry Movement Story, the abandoned history.
      First, women line transmitted peasantry stories’ main topic is body collection. It not only arouses the death of the head of household, but also arouses tabooed historical situation that only the spouse could collect his body. At this point, I think women had thought Donghak Peasantry Movement Story as a disaster and tabooed history of the head of household. The next main topic is escape. Economical damage for house and damage of human life, especially wandering places due to surveillance of government. These situation would make serious anxiety and consciousness of crisis to women who only had lived for house. As a result, it seems that this escape experience carved deep in their heart becoming main topics of transmission. For these reasons, we can say that women recalled Donghak Peasantry Movement Story as broke down house, difficulties at unknown places because of tabooed history.
      To sum up, situating main topics of women line Peasantry Movement Story; body collection and escape, we can find out women had thought Donghak Peasantry Movement Story a disaster of her house as tabooed history which led the head of the household to the death, broke down her house.
      번역하기

      This study is for finding out women line transmitted Donghak Peasantry Movement Story’s narrative features centering out memory types, and illuminating women’s sight about Donghak Peasantry Movement Story, the abandoned history. First, women line ...

      This study is for finding out women line transmitted Donghak Peasantry Movement Story’s narrative features centering out memory types, and illuminating women’s sight about Donghak Peasantry Movement Story, the abandoned history.
      First, women line transmitted peasantry stories’ main topic is body collection. It not only arouses the death of the head of household, but also arouses tabooed historical situation that only the spouse could collect his body. At this point, I think women had thought Donghak Peasantry Movement Story as a disaster and tabooed history of the head of household. The next main topic is escape. Economical damage for house and damage of human life, especially wandering places due to surveillance of government. These situation would make serious anxiety and consciousness of crisis to women who only had lived for house. As a result, it seems that this escape experience carved deep in their heart becoming main topics of transmission. For these reasons, we can say that women recalled Donghak Peasantry Movement Story as broke down house, difficulties at unknown places because of tabooed history.
      To sum up, situating main topics of women line Peasantry Movement Story; body collection and escape, we can find out women had thought Donghak Peasantry Movement Story a disaster of her house as tabooed history which led the head of the household to the death, broke down her hou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억 양상을 중심으로 여계전승 동학농민혁명담의 서사적 특징을 조명하고, 궁극적으로는 금기된 과거사인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여성의 시각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여계전승 혁명담의 주요 화제는 시신 수습이다. 이는 참여자인 가장의 참혹한 죽음뿐 아니라, 배우자인 여성만이 이를 수습할 수 있었던 금기된 역사적 상황을 극명하게 환기시키는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여성들은 동학농민혁명을 가장의 몸에 대한 참화 및 금기된 역사로 기억했다고 본다. 다음으로 주요 화제는 피난이다. 본거지인 집에 대한 물적 피해 및 인명 손상, 무엇보다 관의 감시로 인해 타지를 전전한 것이다. 집을 중심으로 살아온 여성들에게 이러한 상황은 극심한 불안감과 위기의식을 심어주었을 것이다. 그 결과 피난 경험은 그들 마음에 깊이 각인되어 주요 전승 화제가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에서 여성들은 동학농민혁명을 금기된 역사로 인해 풍비박산된 집, 가족들이 타지에서 겪은 고난으로 기억했다고 할 수 있다.
      요컨대 여계전승 혁명담의 주요 화제인 시신 수습과 피난을 놓고 보면, 여성들은 동학농민혁명을 금기된 역사로서 가장의 생명을 앗고 집안을 파멸로 이끈 가화(家禍)로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참여자의 배우자인 조모의 경험 및 기억에서 비롯된 이러한 혁명관은 여계 전승을 통해 강화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기억 양상을 중심으로 여계전승 동학농민혁명담의 서사적 특징을 조명하고, 궁극적으로는 금기된 과거사인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여성의 시각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여계...

      본 연구는 기억 양상을 중심으로 여계전승 동학농민혁명담의 서사적 특징을 조명하고, 궁극적으로는 금기된 과거사인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여성의 시각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여계전승 혁명담의 주요 화제는 시신 수습이다. 이는 참여자인 가장의 참혹한 죽음뿐 아니라, 배우자인 여성만이 이를 수습할 수 있었던 금기된 역사적 상황을 극명하게 환기시키는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여성들은 동학농민혁명을 가장의 몸에 대한 참화 및 금기된 역사로 기억했다고 본다. 다음으로 주요 화제는 피난이다. 본거지인 집에 대한 물적 피해 및 인명 손상, 무엇보다 관의 감시로 인해 타지를 전전한 것이다. 집을 중심으로 살아온 여성들에게 이러한 상황은 극심한 불안감과 위기의식을 심어주었을 것이다. 그 결과 피난 경험은 그들 마음에 깊이 각인되어 주요 전승 화제가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에서 여성들은 동학농민혁명을 금기된 역사로 인해 풍비박산된 집, 가족들이 타지에서 겪은 고난으로 기억했다고 할 수 있다.
      요컨대 여계전승 혁명담의 주요 화제인 시신 수습과 피난을 놓고 보면, 여성들은 동학농민혁명을 금기된 역사로서 가장의 생명을 앗고 집안을 파멸로 이끈 가화(家禍)로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참여자의 배우자인 조모의 경험 및 기억에서 비롯된 이러한 혁명관은 여계 전승을 통해 강화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숙, "한국전쟁에 대한 젠더별 기억과 망각" 한국여성사학회 (7) : 123-164, 2007

      2 함한희, "한국전쟁과 여성-경계에 선 여성들" 역사문제연구소 (91) : 22-52, 2010

      3 신동흔, "한국전쟁 체험담을 통해 본 역사 속의 남성과 여성- 우리 안의 분단을 넘어서기 위하여" 국문학회 (26) : 277-312, 2012

      4 조은, "한국문화·문학과 구술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5 이나영, "한국문화·문학과 구술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6 윤택림, "한국문화·문학과 구술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7 한정훈, "한 여성 빨치산의 구술생애담을 통해서 본 정체성의 서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5 (15): 359-388, 2011

      8 박현숙, "좌익가문 여성의 삶을 통해 본 통합서사 –수동댁 전쟁체험담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64 : 51-85, 2015

      9 이영미, "족장설화의 모계전통과 여성" 대한기독교서회 (399) : 1992

      10 조옥라, "젠더, 경험, 역사" 서강대학교출판부 2004

      1 이성숙, "한국전쟁에 대한 젠더별 기억과 망각" 한국여성사학회 (7) : 123-164, 2007

      2 함한희, "한국전쟁과 여성-경계에 선 여성들" 역사문제연구소 (91) : 22-52, 2010

      3 신동흔, "한국전쟁 체험담을 통해 본 역사 속의 남성과 여성- 우리 안의 분단을 넘어서기 위하여" 국문학회 (26) : 277-312, 2012

      4 조은, "한국문화·문학과 구술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5 이나영, "한국문화·문학과 구술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6 윤택림, "한국문화·문학과 구술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7 한정훈, "한 여성 빨치산의 구술생애담을 통해서 본 정체성의 서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5 (15): 359-388, 2011

      8 박현숙, "좌익가문 여성의 삶을 통해 본 통합서사 –수동댁 전쟁체험담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64 : 51-85, 2015

      9 이영미, "족장설화의 모계전통과 여성" 대한기독교서회 (399) : 1992

      10 조옥라, "젠더, 경험, 역사" 서강대학교출판부 2004

      11 린다 맥도웰, "젠더 정체성 장소-페미니스트 지리학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10

      12 박정석, "전쟁과 '빨갱이'에 대한 집단기억 읽기 ―``해남의 한 마을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59) : 336-362, 2002

      13 역사문제연구소, "전봉준과 그의 동지들" 역사비평사 1997

      14 염미경, "여성의 전쟁경험과 기억: 좌익관련 여성유족의 구술생애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8 (28): 137-164, 2005

      15 박현숙, "여성 전쟁체험담의 역사적 트라우마 양상과 대응방식" 인문학연구원 57 : 91-124, 2014

      16 염미경, "양반가문의 한국전쟁 경험 : 전남 강진지역의 근대적 지배층의 변화를 중심으로" 29 : 2001

      17 이재승, "묘지의 정치" 인문학연구원 68 : 257-296, 2016

      18 이용기, "마을에서의 한국전쟁 경험과 그 기억" 역사문제연구소 (6) : 2001

      19 박상란, "동학농민혁명담의 전승과 젠더" 동학학회 (42) : 187-226, 2017

      20 박상란, "동학군 아내의 문학적 재현 양상과 의의" 동학학회 (36) : 7-43, 2015

      21 윤택림, "대안적 역사쓰기의 이론적 배경 : 역사인류학적 접근" 역사비평사 2003

      22 동학농민유족회, "다시 피는 녹두꽃(동학농민혁명 유족들이 전하는 고통과 자부심의 영상증언록)"

      23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다시 피는 녹두꽃(동학농민혁명 구전자료 영상증언록) 1~3"

      24 역사문제연구소, "다시 피는 녹두꽃" 역사비평사 1994

      25 김경섭, "‘전쟁의 기억’과 ‘기억의 전쟁’- 특별한 피난체험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57 : 63-90,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Donghak Studies -> The Korea Journal of Donghak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0.79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