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아시아는 물론 전세계에 막대한 영향력을 투사할 수 있는 지위로 올라가 종국에는 미국의 독보적 위치까지 위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상하는 중국에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68942
STEVEN KULL (메릴랜드주립대학교)
2007
English
340.5
KCI등재
학술저널
27-41(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은 아시아는 물론 전세계에 막대한 영향력을 투사할 수 있는 지위로 올라가 종국에는 미국의 독보적 위치까지 위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상하는 중국에 대...
중국은 아시아는 물론 전세계에 막대한 영향력을 투사할 수 있는 지위로 올라가 종국에는 미국의 독보적 위치까지 위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상하는 중국에 대한 아시아 여론의 반응을 검토하고, 이것이 미국과 일본에 대한 시각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본다. 먼저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여론조사에 근거한 일반적인 아시아 여론에 대해 다룰 것이다. 나아가 중국의 근접국이자 장차 우위를 빼앗길 수도 있는 위협에 처한 역내의 강대국 사례연구로서 한국을 깊이 있게 다룬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놀라운 점은 2004 년 말, 아시아 및 세계 각국의 여론은 급격히 팽창하는 강대국은 위협적으로 간주될 것이라는 전통적 가정을 부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중국의 급성장하는 경제력이 군사력으로 전환될 가능성에 대한 심각한 우려는 있었다. 그러나 중국의 경제력 상승 그 자체에 대해서는 중국과 경제적 경쟁관계에 놓여있는 국가들에서 조차 위협적으로 인식되고 있지 않았다. 이는 세계 여론이 영합적 군사력 중심모델에서 내생적으로 비영합적인 경제력 중심 모델에 더욱 가까워지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a will likely ascend to a position of tremendous influence in Asia and the world with the potential for challenging the dominant position of the US. This paper will explore how Asian public opinion is responding to China’s rising power and how t...
China will likely ascend to a position of tremendous influence in Asia and the world with the potential for challenging the dominant position of the US. This paper will explore how Asian public opinion is responding to China’s rising power and how this is related to views of the US and Japan.. It will begin with an overview of opinion in Asia drawing on a variety of publicly available polls. It will then focus in depth on the South Korea: a close neighbor of China and a case study of the response of a significant regional power that faces the potential of future domination. The most striking finding of this analysis is that in late 2004 public opinion in Asia and around the word was largely defying the traditional assumption that a rising major power will be seen as a threat. There was substantial concern about the possibility of China translating its economic power into military power. But the growth of China’s economic power per se was not generally seen as threatening even in countries for which China poses significant economic competition. This may suggest that world public opinion has become oriented to an economic model of power that is not intrinsically a zero-sum game, rather than military power which is inherently more likely to be a zero-sum game.
목차 (Table of Contents)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 Korean and Mexican Views on the United States
[DATA BASE 소개] 동북아시아 공동체를 위한 동북아시아 국가 시민들의 정향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