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루소 이래 아동중심교육학이 근대 모성이데올로기 성립에 미친 영향 = Critical discussion on the modern motherhood ide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66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루소의 아동기 발견 이후 성립된 아동중심교육학이 근대 모성이데올로기 성립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여성이 어떻게 호명되고 위치지워지는가를 비판적으로 논의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아동중심교육학의 숨은 전제나 메시지를 드러냄으로써 그 성격을 밝히는데 있다. 근대 이후 여성은 '아동기'의 배타적인 자녀양육자이자 책임자로 규정되었으며, 동시에 가정이 아동기 양육의 '배타적'장소로 설정되었다. '애착', '유대', '모성결핍'은 아동기에 있어 모성의 절대성을 입증하기 위해 특정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또는 통제된 상황에서 구성된 개념들이다. 여성을 모성으로 환원하는 아동중심교육학은 여성을 가정의 영역으로 제한하는 근대 서구 시민계급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결국, 오늘날의 모성이란 개념은 근대라는 특정 시대에, 시민계급이라는 특정 계급의 이데올로기를 위한 근대의 발명품이다. 따라서 여성의 활발한 사회참여와 이로 인한 자녀양육의 사회화가 당연시되고 있는 오늘날, 모성의 재개념화 작업이야말로 우리가 풀어야 할 시대적 과제라 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루소의 아동기 발견 이후 성립된 아동중심교육학이 근대 모성이데올로기 성립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여성이 어떻게 호명되고 위치지워지는가를 ...

      본 연구는 루소의 아동기 발견 이후 성립된 아동중심교육학이 근대 모성이데올로기 성립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여성이 어떻게 호명되고 위치지워지는가를 비판적으로 논의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아동중심교육학의 숨은 전제나 메시지를 드러냄으로써 그 성격을 밝히는데 있다. 근대 이후 여성은 '아동기'의 배타적인 자녀양육자이자 책임자로 규정되었으며, 동시에 가정이 아동기 양육의 '배타적'장소로 설정되었다. '애착', '유대', '모성결핍'은 아동기에 있어 모성의 절대성을 입증하기 위해 특정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또는 통제된 상황에서 구성된 개념들이다. 여성을 모성으로 환원하는 아동중심교육학은 여성을 가정의 영역으로 제한하는 근대 서구 시민계급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결국, 오늘날의 모성이란 개념은 근대라는 특정 시대에, 시민계급이라는 특정 계급의 이데올로기를 위한 근대의 발명품이다. 따라서 여성의 활발한 사회참여와 이로 인한 자녀양육의 사회화가 당연시되고 있는 오늘날, 모성의 재개념화 작업이야말로 우리가 풀어야 할 시대적 과제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 of the modern motherhood ideology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ritically argues the woman's role as a mother, furthermore exposes the hidden messages and premises of that theory. Since the development of Rousseau's theory, a mother has been defined as a main person of ‘exclusive’ child edu-care, and has been undertook the responsibility for child edu-care, at the same time a home is 'exclusive' place for child edu-care. The concepts such as 'attachment’, ‘bonding’, ‘motherhood deficiency’ are made out for demonstrating the absolution of the motherhood under cultural contexts and controls.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reduce woman to mother implicates the ideology of the modern western civil class. Consequently now motherhood concept in our consciousness is a kind of invention for ideology of specific period, specific class. Present time, women vigorously take part in the working or social activities, as a result it is regarded the child edu-care as public obligation. Therefore the reconceptualization of motherhood remain to be studied.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 of the modern motherhood ideology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ritically argues the woman's role as a mother, furthermore exposes the hidden messages and premises of that theory. Since the development of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 of the modern motherhood ideology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ritically argues the woman's role as a mother, furthermore exposes the hidden messages and premises of that theory. Since the development of Rousseau's theory, a mother has been defined as a main person of ‘exclusive’ child edu-care, and has been undertook the responsibility for child edu-care, at the same time a home is 'exclusive' place for child edu-care. The concepts such as 'attachment’, ‘bonding’, ‘motherhood deficiency’ are made out for demonstrating the absolution of the motherhood under cultural contexts and controls.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reduce woman to mother implicates the ideology of the modern western civil class. Consequently now motherhood concept in our consciousness is a kind of invention for ideology of specific period, specific class. Present time, women vigorously take part in the working or social activities, as a result it is regarded the child edu-care as public obligation. Therefore the reconceptualization of motherhood remain to be studi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사회의 성,사랑,에로티시즘," 새물결 2001

      2 "페스탈로찌의 교육철학"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5

      3 "페스탈로찌의 교육사상"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5

      4 "페스탈로찌의 生涯와 思想" 박영사 1990

      5 "페스탈로찌가 어머니에게 보내는 편지" 1989

      6 "페스탈로찌." 한길사 1997

      7 "유아교육이론해체하기: 비판적 접근" 창지사 1997

      8 "유아교육사상사" 양서원 2001

      9 "유아교육과정의 재개념화: 그 대화의 시작" 창지사 2000

      10 "어머니의 양육과 타인의 양육" 서원 1999

      1 "현대사회의 성,사랑,에로티시즘," 새물결 2001

      2 "페스탈로찌의 교육철학"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5

      3 "페스탈로찌의 교육사상"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5

      4 "페스탈로찌의 生涯와 思想" 박영사 1990

      5 "페스탈로찌가 어머니에게 보내는 편지" 1989

      6 "페스탈로찌." 한길사 1997

      7 "유아교육이론해체하기: 비판적 접근" 창지사 1997

      8 "유아교육사상사" 양서원 2001

      9 "유아교육과정의 재개념화: 그 대화의 시작" 창지사 2000

      10 "어머니의 양육과 타인의 양육" 서원 1999

      11 "어머니의 신화" 19941996

      12 "아동의 탄생" 19732003

      13 "솔로몬왕의 반지" 문장 1998

      14 "서양교육사." 문음사 2002

      15 "모성의 담론과 현실" 나남출판 2000

      16 "루소의 자연교육사상"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2

      17 "루소의 교육사상"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2

      18 "루소의 교육론" 양서원 1990

      19 "루소: 어린이를 발견한 최초의 근대적 교육사상가." (8) : 171-202, 2002

      20 "내 모든 사랑을 아이에게?." 새물결 2000

      21 "근대교육의 종말" 내일을 여는 책. 2002

      22 "가족이데올로기와 교육문제" (11) : 96-110, 2003

      23 "가족은 없다" 일신사 1997

      24 "Domesticity and the Victorian Definiiton of Womanhood in Charlotte Bronte's Jane Eyr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of Arts 2003

      25 "Critical theories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Plenum Press 177-210, 1987

      26 "Child care and the psychology of development" Routledge 1992

      27 "'어머니'라는 이데올로기." 한울아카데미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2-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5 1.65 1.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1 1.85 2.063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