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현재 초등 도덕과 교과에서의 자율성, 관계성, 시민성의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3학년에서 6학년까지 도덕과 교과서의 각 단원에서 학습목표, 학습내용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75523
2020
-
자율성 ; 관계성 ; 시민성 ; 도덕 교과서 ; 내용분석 ; autonomy ; relationships ; citizenship ; moral textbooks ; content analysis
373
KCI등재
학술저널
213-243(3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현재 초등 도덕과 교과에서의 자율성, 관계성, 시민성의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3학년에서 6학년까지 도덕과 교과서의 각 단원에서 학습목표, 학습내용을 ...
이 연구는 현재 초등 도덕과 교과에서의 자율성, 관계성, 시민성의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3학년에서 6학년까지 도덕과 교과서의 각 단원에서 학습목표, 학습내용을 내용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자율성 관련 단원에서는 자기통제를 다루는 단원이 대부분이었고, 자기결정을 다루는 단원은 하나에 불과했다. 또한 자율성 단원에서 다루어지는 가치들은 지나치게 성취 중심적이고, 공동체적이었다. 둘째, 관계성 관련 단원에서 가족관계나 친구관계 그리고 봉사관계에서는 배려의 가치가 강조되었고,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예절관계에서는 존중의 가치가 강조되었고, 갈등관계에서는 공감적 대화가 강조되었다. 셋째, 시민성 관련 단원에서 비지배 자유의 조건으로 존중, 공정성, 인권 등이 다루어지고 있었고, 시민적 덕성으로 공공장소 예절, 통일의지, 인류애 등이 다루어지고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도덕 교과서에서의 자율성, 관계성, 시민성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utonomy, relationships, and citizenship in moral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examined the learning goals and contents in each units of the textbooks using cont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utonomy, relationships, and citizenship in moral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examined the learning goals and contents in each units of the textbooks using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units related to autonomy, it appeared that most units deal with self-control and only one deal with self-determination. In addition, it appeared that the values in the units related to autonomy are too achievement-oriented and community-oriented. Second, in units related to relationships, it appeared that the value of care is emphasized in family, friends, and volunteer, and the value of respect is emphasized in etiquette for unspecified majority. It appeared that empathic dialogue is emphasized in the conflict. Third, in units related citizenship, it appeared that virtues such as respect, fairness, and human rights are treated as a condition of non-dominant freedom. And etiquette in public places, will of unification, and humanity are treated as a civil virtue. Finally, we presented the tasks of autonomy, relationship, and citizenship in moral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영, "현대사회에 존재하는 공동체의 여러 형식" 한국이론사회학회 (27) : 181-218, 2015
2 김종훈, "한국판 자기통제 및 자기관리 도구(K-SCMS)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243-259, 2018
3 이상화, "페미니즘과 차이의 정치학" 38 : 181-196, 1998
4 김덕수, "칸트의 관계적 자율성 - 『도덕형이상학』의 「덕론』을 중심으로 -" 새한철학회 70 (70): 197-227, 2012
5 김은주, "초등학생의 감정관리 능력 함양을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587-610, 2019
6 유승환, "초등학교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아버지상과 어머니상 분석: 제1차∼2009 개정 4∼6학년 교과서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9 (49): 89-122, 2017
7 김정숙, "초등학교 3-4학년군의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 내용 분석" 11 : 61-76, 2018
8 김정효, "초등도덕교과교육의 도덕적 정체성관련 요소 탐색 - 3, 4학년 ‘도덕적 주체로서의 나’ 영역의 자기반성적 성찰을 중심으로 -" 교과교육연구소 18 (18): 1323-1346, 2014
9 김신희, "초등 사회·도덕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북한 및 통일 관련 내용 분석 - 2009개정 교육과정과 3·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7 (7): 31-52, 2014
10 조석환, "초등 도덕과 교과서 구성 체제 변화와 향후 발전 방안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0) : 237-267, 2015
1 김미영, "현대사회에 존재하는 공동체의 여러 형식" 한국이론사회학회 (27) : 181-218, 2015
2 김종훈, "한국판 자기통제 및 자기관리 도구(K-SCMS)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243-259, 2018
3 이상화, "페미니즘과 차이의 정치학" 38 : 181-196, 1998
4 김덕수, "칸트의 관계적 자율성 - 『도덕형이상학』의 「덕론』을 중심으로 -" 새한철학회 70 (70): 197-227, 2012
5 김은주, "초등학생의 감정관리 능력 함양을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587-610, 2019
6 유승환, "초등학교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아버지상과 어머니상 분석: 제1차∼2009 개정 4∼6학년 교과서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9 (49): 89-122, 2017
7 김정숙, "초등학교 3-4학년군의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 내용 분석" 11 : 61-76, 2018
8 김정효, "초등도덕교과교육의 도덕적 정체성관련 요소 탐색 - 3, 4학년 ‘도덕적 주체로서의 나’ 영역의 자기반성적 성찰을 중심으로 -" 교과교육연구소 18 (18): 1323-1346, 2014
9 김신희, "초등 사회·도덕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북한 및 통일 관련 내용 분석 - 2009개정 교육과정과 3·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7 (7): 31-52, 2014
10 조석환, "초등 도덕과 교과서 구성 체제 변화와 향후 발전 방안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0) : 237-267, 2015
11 장수빈, "초등 도덕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국가 공동체성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1 (51): 175-206, 2019
12 한상연, "철학실천과 공감: 몰입과 거리두기" 한국해석학회 (33) : 106-147, 2013
13 최성호, "질적 내용 분석의 개념과 절차" 한국질적탐구학회 2 (2): 127-155, 2016
14 조승래, "지금 왜 공화주의인가?" 한국미국사학회 34 : 1-28, 2011
15 신득렬, "존중의 개념" 한국교육철학회 (24) : 2003
16 강윤경, "정의 윤리와 배려 윤리에 비추어 본 초등학교 도덕교과서 분석" 47 (47): 155-182, 2008
17 김석수, "자율성의 운명과 우리의 현실 - 서구 자율성 이론과 연계하여 -"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19) : 101-128, 2010
18 이미식, "자기 타인 공동체 존중의 도덕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15 : 269-299, 2002
19 임미원, "윤리적 개념으로서의 자율성 - 칸트의 자율성 개념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3 (33): 1-21, 2016
20 정재현, "우상과 신앙" 한울아카데미 2019
21 박미랑, "여성주의적 배려윤리의 도덕교육적 의미와 가능성" 한국교육철학학회 35 (35): 51-75, 2013
22 곽준혁, "시민적 책임성: 고전적 공화주의와 시민성(Citizenship)" 대한정치학회 16 (16): 127-149, 2008
23 김민호, "상호문화교육 관점에서 초등학교 『도덕 4』교과서의 다문화 단원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31 (31): 1-25, 2018
24 조일수, "사이버공간에서의 시민성: 시민적 자율성 대 시민적 덕성" 한국윤리학회 49 (49): 5-100, 2002
25 고미숙, "배려와 도덕교육" 교육과학사 2018
26 허라금, "도시의 삶과 유비된 지구적/다문화 사회의 윤리적 덕목들" 한국여성철학회 17 : 5-34, 2012
27 김국현, "도덕적 성찰의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교육연구원 29 (29): 205-226, 2013
28 교육부, "도덕 6 교사지도서" 지학사 2018
29 교육부, "도덕 5 교사지도서" 지학사 2018
30 교육부, "도덕 4 교사지도서" 지학사 2018
31 교육부, "도덕 3 교사지도서" 지학사 2018
32 Buber, M, "나와 너" 문예출판사 2001
33 정정훈, "교육과정 탐구주제로서의 자기배려(self - care): 쿠레레(currere)를 통한 자기이해(self - understanding)" 교육연구소 21 (21): 257-281, 2015
34 허라금, "관계적 자율성에 대한 철학적 연구 - 절차적 자율성과 실질적 자율성 논쟁을 중심으로 -" 한국철학회 (120) : 103-129, 2014
35 최문기, "‘효’ 관련 교과서의 내용 분석 : 초.중.고 [도덕], [윤리]" 한국효학회 (11) : 49-92, 2010
36 이재호, "‘인권의 정치’를 위한 공화주의" 한국학중앙연구원 42 (42): 191-225, 2019
37 곽영근,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의 의미와 실제 연구: 2015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3∼4학년 내용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19-138, 2018
38 조현정, "‘다름의 관계성’의 사회과교육적 의미 - 근본생태론의 ‘관계’와 에코페미니즘의 ‘다름’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7 (17): 77-90, 2010
39 Deci, E. L., "Promoting self‐determined education" 38 (38): 3-14, 1994
40 최미영, "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구성과 특징" 한국윤리학회 1 (1): 363-387, 2017
41 박영주,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도덕함’의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 적용 방안- 3-4학년군 도덕과 수업의 구현을 중심으로 -" 한국윤리교육학회 (48) : 59-83, 2018
초기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 주의집중문제, 학습활동의 구조적 관계 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
착한강의 에세이 글쓰기 컨설팅 사례 연구 : 한남대학교를 중심으로
세 번째 아이 기르기에 관한 자문화 기술지 : 진짜 엄마 되어가기
한국 실과 교육과정 ‘가정생활’분야와 일본 가정과 교육과정의 통합적 관점으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비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
Global Citizenship: Six Film Clips
Teachers TV Teachers TVGlobal Citizenship: Assessment Toolkit, Ethnic Masks, Global Links Website
Teachers TV Teachers TVSecondary Citizenship
Teachers TV Teachers TVSecondary PSHE: Relationships
Teachers TV Teachers TVTeenage Love and Relationships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