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은 모든 인간이 생활하는 터전이며 인간의 의식은 필연적으로 공간에 근거한다. 공간은 시간과 더불어 모든 현상이 드러나는 장이므로 여러 가지 학문적 이론은 불가피하게 공간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76134
2018
-
360
KCI등재
학술저널
55-83(2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공간은 모든 인간이 생활하는 터전이며 인간의 의식은 필연적으로 공간에 근거한다. 공간은 시간과 더불어 모든 현상이 드러나는 장이므로 여러 가지 학문적 이론은 불가피하게 공간에서 ...
공간은 모든 인간이 생활하는 터전이며 인간의 의식은 필연적으로 공간에 근거한다. 공간은 시간과 더불어 모든 현상이 드러나는 장이므로 여러 가지 학문적 이론은 불가피하게 공간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공간이 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인간에게 공간은 삶의 기본적 터전이다. 이러한 삶의 기본 터전에 대한 관심은 공간에 대한 새로운 정보의 요구로 이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즉 미세먼지, 오존층 파괴 등 대기, 토양, 수질 등 환경오염의 증가와 각종 재난・재해, 식량과 자원의 부족 등 인류의 생존과 국가 안전을 위협하는 많은 요인들 앞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간의 객관적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한 의사결정이 요구된다. 또한 정보와 함께 인문・경제・사회현상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와 결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등 공간정보의 새로운 영역이 부상하고 있다. 공간정보란 지상・지하・수상・수중 등 공간상에 존재하는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객체에 대한 위치정보 및 이와 관련된 공간적 인지 및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말한다(국가공간 정보기본법 제2조 제1호). 이에 따라 정부는 국가공간정보체계의 효율적인 구축과 종합적 활용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토 및 자원을 합리적으로 이용하여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국가공간정보기본법 제1조)으로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을 제정함은 물론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에 관리등에 관한 법률”, “공간정보산업진흥법”을 제정하여 국가공간정보의 환경변화에 대한 대비를 하였다. 하지만 위의 공간 관련 3개의 법의 상호관계의 모호함으로 인한 중복이라든가, 공간정보의 유통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호 문제 등의 보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pace is the base of living for everyone and a person’s sense is based on the space inevitably. Since the space is the place where all phenomena are revealed along with time, various academic theories start from the space inevitably. Whether the s...
A space is the base of living for everyone and a person’s sense is based on the space inevitably. Since the space is the place where all phenomena are revealed along with time, various academic theories start from the space inevitably. Whether the space is natural or artificial, it is the fundamental base of living for people. The interest in this fundamental base of living is leading to the demand for new information about the space. In other words, the space is faced with various factors that threaten humanity’s survival and national security such as increasing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the air, soil, and water including fine dust and the destruction of ozone layer in addition to various disasters and calamities and the insufficiency of food and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make accurate decisions based on the objective data of the space in order to resolve such problems. Also, a new area involving spatial data such as the creation of new added values in combination with various data on humanities, economics, and social phenomena along with such data is emerging.
Spatial data refers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natural or artificial object that exist on the ground, under the ground, on the water, or under the water and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spatial recognition and decision making related with the object (Article 2.1 of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ct).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Management, Etc. of Spatial Data”, and the “Spatial Data Industry Promotion Act” in order to stipulate matters relating to the efficient development and comprehensive use and management of a national spatial data system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national economy through the rational use of national land and resources (Article 1 of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ct) in preparation for environmental changes in national spatial data.
However, the redundancy caused by the planned systems of the said three space related laws and the ambiguity in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m as well as the issue of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in relation to the distribution of spatial data shall be resolv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 "해양지적제도 도입"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4) : 1-11, 2014
2 대한지적공사 지적연구원, "해양지적(해양경계등록부) 도입에 따른 기반 연구" 지적연구원 2010
3 사공호상, "초연결 시대에 대응한 공간정보 정책방향 연구" 국토연구원 2016
4 김윤정, "첨단 공간정보 인프라 구축 및 활용 법제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6
5 "조선일보"
6 최종권, "우리나라 공간정보 법제의 체계와 문제점" 한국법제연구원 11-25, 2016
7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8 국토해양부, "보도자료"
9 국토해양부, "보도자료"
10 박영도, "기본법의 입법모델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6
1 김진, "해양지적제도 도입"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4) : 1-11, 2014
2 대한지적공사 지적연구원, "해양지적(해양경계등록부) 도입에 따른 기반 연구" 지적연구원 2010
3 사공호상, "초연결 시대에 대응한 공간정보 정책방향 연구" 국토연구원 2016
4 김윤정, "첨단 공간정보 인프라 구축 및 활용 법제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6
5 "조선일보"
6 최종권, "우리나라 공간정보 법제의 체계와 문제점" 한국법제연구원 11-25, 2016
7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8 국토해양부, "보도자료"
9 국토해양부, "보도자료"
10 박영도, "기본법의 입법모델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6
11 김태진, "국토공간정보 정책의 패러다임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153-157, 2011
12 김현희, "국토공간의 이용현황 조사 및 정보구축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4
13 임은선, "국민이 체감하는 국토공간정보 정책방향" 국토연구원 43-51, 2017
14 주현종, "국가공간정보정책의 기본방향과 추진전략" 국토연구원 14-22, 2010
15 최병남, "국가공간정보 계획체계의 구조적 문제 고찰과 개선방안" 대한공간정보학회 25 (25): 53-61, 2017
16 한국공간정보학회, "공간정보학" 푸른길 2016
17 최현상, "공간정보의 새로운 기회, 공간정보 신시장" 국토연구원 13-22, 2018
18 국토교통부, "공간정보기반 융복합산업 발전 전략 마련 및 법제도 개선방안" 국토교통부 2017
19 김인현, "공간정보 이야기" 책미래 2017
20 신국미, "공간정보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 18 (18): 89-102, 2016
21 허대원, "공간정보 관련 법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13) : 211-245, 2016
22 미야자키 마사카스, "공간의 세계사" 다산초당 2016
23 심우민,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에 관한 입법정책적 대응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17
24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 법제동향」 제125권"
25 "http://www.nsdi.go.kr/lxportal/?menuno=2770"
26 "http://www.codil.or.kr/Codil/cor/viewer/detailView.jsp?org=DBPIA&type=ORI&code=OTKCEC130197"
27 김영모, "3차원 지적정보관리체계의 적용과 효과" 한국지역개발학회 16 (16): 63-82, 2004
28 국토교통부, "2015년도 국가공간정보정책에 관한 연차보고서" 국토교통부 2015
민간투자법제에서 국가의 보장책임을 실현하기 위한 비교법적 연구 - 일본 민간투자법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불로소득 환수를 통한 토지거래허가제도의 실효성 강화방안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7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69 | 0.687 | 0.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