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송전선로에 대한 침해규정과 보상에 관한 법적 고찰 = A Study on the Regulation of Infringement and Compensation for Power Transmission Fac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761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민의 권리의식의 강화는 필연적으로 재산권보상을 넘어 생활보상이나 간접보상 등으로 확대를 가져왔다. 최근에는 선하지보상의 공중선로 뿐만이 아니라 지하보상에 대해서도 많은 논란이 되고 있다. 헌법 제23조 제3항에서는 국민의 재산권 침해에 대해서는 법률에 의한 보상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정당한 보상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보상의 범위와 관련하여 논란이 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명확한 구분기준이 없다. 즉 공익사업의 침해에 따른 보상은 당연하나 재산권보상, 생활보상, 간접보상 등의 기준이 불명확하다. 물론 지원법제를 통한 생활보상이나 간접보상이 점차 입법화 되고 있는 실정이나 실제적으로 이에 대한 구별기준은 명확한 기준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익사업의 유형별, 지역별, 주체별 등으로 보상범위를 달리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공익사업은 공익의 실현의 차원에서 정당성이 인정되지만 사익 침해의 범위와 관련하여 재산권보상이나 생활보상, 간접보상의 범주를 어디까지로 할지에 대한 기준이 제시될 필요성이 있다. 공중선로 중 선하지는 많은 논란이 되어 오고 있다. 즉 공중선로와 관련하여 직접적인 제한은 내부처리지침에 의한 보상이 이루어지고 간접적인 제한은 법령에 의해 보장된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공익사업을 위해 개별법에서 재산권보상과 생활보상, 간접보상이 명시하고 있지만 모든 공익사업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각 개별사업에 적용될 수 있는 생활보상이나 간접보상에 관한 범위에 대해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기준의 필요성이 있다. 공중선로와 관련하여 유사한 법령의 경우에는 통합의 필요성도 제기된다.
      번역하기

      국민의 권리의식의 강화는 필연적으로 재산권보상을 넘어 생활보상이나 간접보상 등으로 확대를 가져왔다. 최근에는 선하지보상의 공중선로 뿐만이 아니라 지하보상에 대해서도 많은 논란...

      국민의 권리의식의 강화는 필연적으로 재산권보상을 넘어 생활보상이나 간접보상 등으로 확대를 가져왔다. 최근에는 선하지보상의 공중선로 뿐만이 아니라 지하보상에 대해서도 많은 논란이 되고 있다. 헌법 제23조 제3항에서는 국민의 재산권 침해에 대해서는 법률에 의한 보상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정당한 보상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보상의 범위와 관련하여 논란이 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명확한 구분기준이 없다. 즉 공익사업의 침해에 따른 보상은 당연하나 재산권보상, 생활보상, 간접보상 등의 기준이 불명확하다. 물론 지원법제를 통한 생활보상이나 간접보상이 점차 입법화 되고 있는 실정이나 실제적으로 이에 대한 구별기준은 명확한 기준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익사업의 유형별, 지역별, 주체별 등으로 보상범위를 달리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공익사업은 공익의 실현의 차원에서 정당성이 인정되지만 사익 침해의 범위와 관련하여 재산권보상이나 생활보상, 간접보상의 범주를 어디까지로 할지에 대한 기준이 제시될 필요성이 있다. 공중선로 중 선하지는 많은 논란이 되어 오고 있다. 즉 공중선로와 관련하여 직접적인 제한은 내부처리지침에 의한 보상이 이루어지고 간접적인 제한은 법령에 의해 보장된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공익사업을 위해 개별법에서 재산권보상과 생활보상, 간접보상이 명시하고 있지만 모든 공익사업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각 개별사업에 적용될 수 있는 생활보상이나 간접보상에 관한 범위에 대해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기준의 필요성이 있다. 공중선로와 관련하여 유사한 법령의 경우에는 통합의 필요성도 제기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rengthening of the public s sense of right inevitably led to more than the compensation of property rights, but also to more compensation for life and other indirect rewards. Recently, there has been a lot of controversy over the compensation, as well as the public track on the cargo ship. Article 23 (3)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at people should pay compensation for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s by law. In order to meet a fair compensation, there is still no clear separation criteria, although there is a controversy regarding the scope of compensation. Compensation due to infringement of public utilities is natural, but the criteria for property rights compensation, living compensation, and indirect compensation are unclear. Of course, living compensation or indirect compensation through supporting legisl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legal, but a clear standard has not been provided yet. It is necessary to apply different compensation ranges by type of public utility, region and subject. In addition, utilities are justified in terms of the realization of the public good, but standards need to be presented on how far they will go in terms of the scope of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s, living compensation and indirect compensation. Good luck on the air tracks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In other words, direct limitations with respect to air tracks are compensated by internal treatment guidelines and indirect restrictions are guaranteed by statute. Also, the individual laws specify property rights, living compensation and indirect compensation, but they do not apply to all utilit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direct and specific criteria for the scope of life compensation or indirect compensation that can be applied to each individual project. The need for integration is also raised in the case of similar legislation in relation to air tracks.
      번역하기

      The strengthening of the public s sense of right inevitably led to more than the compensation of property rights, but also to more compensation for life and other indirect rewards. Recently, there has been a lot of controversy over the compensation, a...

      The strengthening of the public s sense of right inevitably led to more than the compensation of property rights, but also to more compensation for life and other indirect rewards. Recently, there has been a lot of controversy over the compensation, as well as the public track on the cargo ship. Article 23 (3)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at people should pay compensation for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s by law. In order to meet a fair compensation, there is still no clear separation criteria, although there is a controversy regarding the scope of compensation. Compensation due to infringement of public utilities is natural, but the criteria for property rights compensation, living compensation, and indirect compensation are unclear. Of course, living compensation or indirect compensation through supporting legisl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legal, but a clear standard has not been provided yet. It is necessary to apply different compensation ranges by type of public utility, region and subject. In addition, utilities are justified in terms of the realization of the public good, but standards need to be presented on how far they will go in terms of the scope of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s, living compensation and indirect compensation. Good luck on the air tracks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In other words, direct limitations with respect to air tracks are compensated by internal treatment guidelines and indirect restrictions are guaranteed by statute. Also, the individual laws specify property rights, living compensation and indirect compensation, but they do not apply to all utilit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direct and specific criteria for the scope of life compensation or indirect compensation that can be applied to each individual project. The need for integration is also raised in the case of similar legislation in relation to air track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Ⅱ. 송전선로에 관한 침해 현황 및 보상
      • Ⅲ. 송전선로에 대한 법적 권리구제
      • Ⅳ. 송전선로에 대한 법적 보상
      • Ⅴ. 맺는 말
      • Ⅰ. 들어가는 말
      • Ⅱ. 송전선로에 관한 침해 현황 및 보상
      • Ⅲ. 송전선로에 대한 법적 권리구제
      • Ⅳ. 송전선로에 대한 법적 보상
      • Ⅴ. 맺는 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태주, "행정법개론" 법문사 2011

      2 류지태, "행정법 신론" 신영사 2011

      3 신봉기, "한국의 선하지 주변지역 보상 및 지원제도 - 「주변지역 보상 및 지원법안」 제안을 포함하여 -" 한국토지공법학회 55 : 127-156, 2011

      4 길준규, "특고압송전선로 설치에 따른 침해와 대책에 대한 법정책학적 고찰" 1-19,

      5 박균성, "토지보상행정법" 박영사 2014

      6 한국토지공법학회, "토지 지하 및 공중공간 등에 한 보상기준에 관한 연구" 1-237, 2012

      7 박윤흔, "최신 행정법 강의(상)" 박영사 2009

      8 한국전력공사, "알기쉬운 송주법" 한국전력공사 2014

      9 김은유, "실무토지수용보상" 파워에셋 2016

      10 석종현, "신토지공법론" 삼영사 2016

      1 장태주, "행정법개론" 법문사 2011

      2 류지태, "행정법 신론" 신영사 2011

      3 신봉기, "한국의 선하지 주변지역 보상 및 지원제도 - 「주변지역 보상 및 지원법안」 제안을 포함하여 -" 한국토지공법학회 55 : 127-156, 2011

      4 길준규, "특고압송전선로 설치에 따른 침해와 대책에 대한 법정책학적 고찰" 1-19,

      5 박균성, "토지보상행정법" 박영사 2014

      6 한국토지공법학회, "토지 지하 및 공중공간 등에 한 보상기준에 관한 연구" 1-237, 2012

      7 박윤흔, "최신 행정법 강의(상)" 박영사 2009

      8 한국전력공사, "알기쉬운 송주법" 한국전력공사 2014

      9 김은유, "실무토지수용보상" 파워에셋 2016

      10 석종현, "신토지공법론" 삼영사 2016

      11 류해웅, "신수용보상법론" 부연사 2016

      12 한국감정평가사협회, "송전선로 부지 및 주변토지의 감정평가기준 마련에 관한 연구" 한국감정평가사협회 159-199, 2016

      13 서경규, "선하지 손실보상제도의 쟁점과 개선방안" 한국감정평가학회 13 (13): 43-55, 2014

      14 한국감정평가사협회, "감정평가실무기준해설서(Ⅰ)" 한국감정평가사협회·한국감정원 3-13,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9 0.687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