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 Study on Current Issues and Practices Concerning Service Learning = 봉사학습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359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우리사회는 청소년지도가 매우 어려운 환경에 처해있다. 청소년지도는 무엇보다도 더불어 사는 지혜와 이타주의적 봉사정신을 함양하고 실천하는데 우선 순위를 두어야 한다. 교육개혁의 구체적 목표 중 하나는 "체험중심의 인성교육의 내실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하고 구현하기 위해서는 봉사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봉사학습의 제도화는 최근에 미국을 비롯한 선진제국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봉사학습은 대안적 학습스타일과 전략을 수용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융통성 있는 대안이라 할 수 있다. 봉사학습은 교육활동을 제공해 줌과 동시에 지역사회에 필요한 봉사활동을 제공해 준다.
      봉사학습이란 체험교육의 한 형태로서 지역공동체 속에서 야기되는 각종 사회문제에 개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자아발견의 장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한 봉사학습에는 반성적 사고와 상호작용 작용이 필히 포함되어야 한다. 경험적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봉사학습은 경험 그 자체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학습과 자기개발을 위해서 치밀하게 계획되어진 성찰의 결과로 볼 수 있으며 봉사학습에서의 학습은 사고와 행동, 성찰과 실행, 이론과 실천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간주된다.
      프로그램으로서의 봉사학습은 인적, 지역사회자원의 필요를 충족시키키 위한 과업의 성취를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의식적 성찰과 비판적 분석을 의도적 학습목표와 결부시키고 있다. 철학으로서의 봉사학습은 인간의 성장과 목적, 사회적 비젼, 지역사회에의 접근, 그리고 지식축적의 수단에 바탕을 두고 있다.
      봉사학습은 날로 다양해 가는 사회의 교육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역할을 갱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간주되어지며 새로운 천년을 맞이하여 지속적인 논의의 토대가 마련될 것으로 생각한다. 봉사학습 연구자들은 봉사학습이 미래의 교육환경변화를 어떻게 주도해 나갈 것인가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앞으로 봉사학습은 봉사와 학습의 강력한 연결 고리로 인하여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봉사학습프로그램의 사회적 요청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어진다.
      번역하기

      오늘날 우리사회는 청소년지도가 매우 어려운 환경에 처해있다. 청소년지도는 무엇보다도 더불어 사는 지혜와 이타주의적 봉사정신을 함양하고 실천하는데 우선 순위를 두어야 한다. 교육...

      오늘날 우리사회는 청소년지도가 매우 어려운 환경에 처해있다. 청소년지도는 무엇보다도 더불어 사는 지혜와 이타주의적 봉사정신을 함양하고 실천하는데 우선 순위를 두어야 한다. 교육개혁의 구체적 목표 중 하나는 "체험중심의 인성교육의 내실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하고 구현하기 위해서는 봉사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봉사학습의 제도화는 최근에 미국을 비롯한 선진제국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봉사학습은 대안적 학습스타일과 전략을 수용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융통성 있는 대안이라 할 수 있다. 봉사학습은 교육활동을 제공해 줌과 동시에 지역사회에 필요한 봉사활동을 제공해 준다.
      봉사학습이란 체험교육의 한 형태로서 지역공동체 속에서 야기되는 각종 사회문제에 개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자아발견의 장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한 봉사학습에는 반성적 사고와 상호작용 작용이 필히 포함되어야 한다. 경험적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봉사학습은 경험 그 자체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학습과 자기개발을 위해서 치밀하게 계획되어진 성찰의 결과로 볼 수 있으며 봉사학습에서의 학습은 사고와 행동, 성찰과 실행, 이론과 실천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간주된다.
      프로그램으로서의 봉사학습은 인적, 지역사회자원의 필요를 충족시키키 위한 과업의 성취를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의식적 성찰과 비판적 분석을 의도적 학습목표와 결부시키고 있다. 철학으로서의 봉사학습은 인간의 성장과 목적, 사회적 비젼, 지역사회에의 접근, 그리고 지식축적의 수단에 바탕을 두고 있다.
      봉사학습은 날로 다양해 가는 사회의 교육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역할을 갱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간주되어지며 새로운 천년을 맞이하여 지속적인 논의의 토대가 마련될 것으로 생각한다. 봉사학습 연구자들은 봉사학습이 미래의 교육환경변화를 어떻게 주도해 나갈 것인가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앞으로 봉사학습은 봉사와 학습의 강력한 연결 고리로 인하여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봉사학습프로그램의 사회적 요청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어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current issues and practices concerning service learning, summarize research findings on the impact of service learning and outline some critical issues confronting educational practitioners.
      The service learning can be defined as a program and philosophy that seeks to promote student learning through experiences associated with community service. It stresses working cooperatively with others in a morally meaningful way.
      Service learning constitutes a concrete means for achieving what so many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promise. It will have to become an integral part of the school curriculum rather than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Service learning can contribute substantially to improving the problems our schools and our society face. It will prosper because the powerful combination of service and learning will always inspire educators, sutdents, and community leaders to come together in the spirit of collaboration and concern for the common goo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current issues and practices concerning service learning, summarize research findings on the impact of service learning and outline some critical issues confronting educational practitioners. The service learni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current issues and practices concerning service learning, summarize research findings on the impact of service learning and outline some critical issues confronting educational practitioners.
      The service learning can be defined as a program and philosophy that seeks to promote student learning through experiences associated with community service. It stresses working cooperatively with others in a morally meaningful way.
      Service learning constitutes a concrete means for achieving what so many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promise. It will have to become an integral part of the school curriculum rather than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Service learning can contribute substantially to improving the problems our schools and our society face. It will prosper because the powerful combination of service and learning will always inspire educators, sutdents, and community leaders to come together in the spirit of collaboration and concern for the common go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 Ⅱ. Service learning: Program vs. Philosophy
      • Ⅲ. Service learning: Mandatory vs. Voluntary
      • Ⅳ. Impact of service learning
      • Ⅴ. Conclusion
      • Ⅰ. Introduction
      • Ⅱ. Service learning: Program vs. Philosophy
      • Ⅲ. Service learning: Mandatory vs. Voluntary
      • Ⅳ. Impact of service learning
      • Ⅴ. Conclusion
      • Reference
      • Appendix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