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 부모의 특성과 유치원 교육 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 =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in kindergarten education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rom perspectiv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275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kindergarten education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rom perspectiv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ix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ir class were interviewed and talked about their experience with the multi-cultural families of the children. The study found followings. Fist, the children's mothers who came form other countries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with others through the Korean and were shy and diffident with people. However, they presented in kindergarten activities in which teachers asked the parents to participated. Second, the fathers of the young children were old age or had inappropriate drinking habit or use violence in home. Therefore it is hard to say that their homes were caring environments for young children. Third, the teachers had difficulties to interact with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deliver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needs efficient relationship with the families. Forth, the teachers suggested to support economical assistance for the multi-cultual families and educational assistance for the mothers from other countries so that they could provide appropriate caring environments for their children.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kindergarten education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rom perspectiv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ix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young childr...

      This study explored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kindergarten education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rom perspectiv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ix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ir class were interviewed and talked about their experience with the multi-cultural families of the children. The study found followings. Fist, the children's mothers who came form other countries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with others through the Korean and were shy and diffident with people. However, they presented in kindergarten activities in which teachers asked the parents to participated. Second, the fathers of the young children were old age or had inappropriate drinking habit or use violence in home. Therefore it is hard to say that their homes were caring environments for young children. Third, the teachers had difficulties to interact with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deliver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needs efficient relationship with the families. Forth, the teachers suggested to support economical assistance for the multi-cultual families and educational assistance for the mothers from other countries so that they could provide appropriate caring environments for their childr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유아들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의 관점을 통해 다문화 가정유아들의 부모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문화 가정과 유치원 교육 간의 연계 형태와 정도는 어떠한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6명의 교사를 면담하였으며 면담내용에는 10명의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가족에 대한 이야기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의 경우 대부분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에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어머니들의 생활이 소극적이고 폐쇄적인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자녀의 정기적 유치원 활동에는 참여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다문화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 아버지의 연령과 생활습관, 어머니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한계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여 다문화 유아의 가정과 연계하여 교육활동을 하는데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었다. 셋째, 농촌지역이나 도시지역의 저소득층 다문화 가정 유아를 가르치고 있는 대부분의 교사들은 다문화 가정 유아가 최적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가정에 대해 경제적 지원과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유아들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의 관점을 통해 다문화 가정유아들의 부모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문화 가정과 유치원 교육 간의 연계 형태와 정도는 어떠...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유아들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의 관점을 통해 다문화 가정유아들의 부모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문화 가정과 유치원 교육 간의 연계 형태와 정도는 어떠한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6명의 교사를 면담하였으며 면담내용에는 10명의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가족에 대한 이야기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의 경우 대부분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에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어머니들의 생활이 소극적이고 폐쇄적인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자녀의 정기적 유치원 활동에는 참여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다문화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 아버지의 연령과 생활습관, 어머니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한계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여 다문화 유아의 가정과 연계하여 교육활동을 하는데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었다. 셋째, 농촌지역이나 도시지역의 저소득층 다문화 가정 유아를 가르치고 있는 대부분의 교사들은 다문화 가정 유아가 최적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가정에 대해 경제적 지원과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경,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회 28 (28): 73-106, 2005

      2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3 김희태,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다문화의 의미" 7 : 1-18, 2001

      4 윤갑정,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의 한국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147-168, 2006

      5 한석실, "다문화시대 유아교사교육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29-53, 2007

      6 조영달,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교육부 2006

      7 인터넷 경남신문, "다문화 가정 자녀 지원 대책 있어야"

      8 정은희,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과 언어 환경" 한국언어치료학회 13 (13): 33-52, 2004

      9 한건수, "농촌 지역 결혼 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회 39 (39): 195-243, 2006

      10 설동훈, "국제결혼이주여성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2005

      1 이혜경,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회 28 (28): 73-106, 2005

      2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3 김희태,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다문화의 의미" 7 : 1-18, 2001

      4 윤갑정,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의 한국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147-168, 2006

      5 한석실, "다문화시대 유아교사교육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29-53, 2007

      6 조영달,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교육부 2006

      7 인터넷 경남신문, "다문화 가정 자녀 지원 대책 있어야"

      8 정은희,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과 언어 환경" 한국언어치료학회 13 (13): 33-52, 2004

      9 한건수, "농촌 지역 결혼 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회 39 (39): 195-243, 2006

      10 설동훈, "국제결혼이주여성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2005

      11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12 박미경, "결혼이민자 가정의 유아를 담당하는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5-29, 2007

      13 교육인적자원부, "‘다문화가정 지원대책’ 보도자료"

      14 Noonan, M. J.,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atural environments: Methods & Procedures" Brooks 2006

      15 McWilliam, R. A., "Therapy services in early intervention : Current status, barriers, and recommendations" 16 : 348-374, 1996

      16 Ramsey, P. G.,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 Issues and advocacy in early childhood" Teachers College Press 1982

      17 Lynch, E. A., "Changing demographics : Implications for training in early intervention" 6 (6): 50-55, 2004

      18 Derman-sparks, L., "Anti-bias curriculum 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National Associational for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