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국 근린재생정책의 변화과정과 그 배경에 대한 연구 : 대처정부~신노동당정부의 재생정책을 중심으로 = A Review on the Changes in the UK’s Neighbourhood Regeneration Policy and Its Background : From the Thatcher Administration to New Labour Administr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urban regeneration in 2013, urban regeneration policy of South Korea has begun in earnest. Furthermore, it was designated as one of the government’s major projects in the Moon administration and is expected t...

      With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urban regeneration in 2013, urban regeneration policy of South Korea has begun in earnest. Furthermore, it was designated as one of the government’s major projects in the Moon administration and is expected to be promoted extendedly. Over the course of institutionalisation, Korean urban regeneration was highly influenced by the UK’s urban regeneration policy, which resulted in large degree of similarities. Yet,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urban regeneration policy of the UK was strongly focused on regeneration techniques(e.g.
      case studies of specific cities, funding methods, and principal agent of regeneration). The political, social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which gave birth to the current urban regeneration of the UK has been rarely studied.
      Given this, this study aimed for an in-depth study of the UK urban regeneration policy’s development and its background, especially the political philosophy of the administrations. Neighborhood regeneration policy of 1979-2010 was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n particular, urban regeneration policy of the Major administration, which put much weight on partnership, integrative approach, community, participation, cooperative governance, etc., and the Blair administration, which generally accepted the Major administration’s approach and added extra emphasis on the community restoration and participation, were the main concern of this study. This study enabled thorough reflection on UK’s urban regeneration policy, including what circumstances and from which rationale the Thatcher administration facilitated urban regeneration centered on private real estate development; why partnership and integrative approach was emphasized in the Major administration; and why the Blair administration stressed the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ies and their rights and responsibilities during urban regeneration proces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도시재생 정책은 2013년 「도시재생특별법」 이 제정된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문재인정부의 주요 국정과제로 채택되어 확대・추진될 예정이다. 도시재생정책의 제도화 과...

      한국의 도시재생 정책은 2013년 「도시재생특별법」 이 제정된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문재인정부의 주요 국정과제로 채택되어 확대・추진될 예정이다. 도시재생정책의 제도화 과정에서 한국의 도시재생은 영국의 정책을 많이 참조하였고, 따라서 많은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진행된 영국재생정책에 관한 연구는 특정 도시의 사례연구나 자금지원방식, 재생주체 등 재생기법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영국의 재생방식이 형성된 정치적・사회적・철학적 배경에 대해 깊이 있게 고찰한 연구는부족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영국 도시재생정책의 변화과정과 그 배경, 특히 국정철학에 대해서 심도 있게고찰해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1979~2010년 사이의근린재생정책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 기간 중에서도 파트너십, 통합적 접근, 공동체, 참여, 협력적거버넌스 등이 본격적으로 중시되기 시작했던 보수당의 메이저 총리 시기의 도시재생정책과, 이러한 접근방법을 대체로 수용하면서도 공동체 재건과 참여의 중요성을 특히 강조했던 노동당 블레어 총리 시기의 재생정책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대처정부 시기에 어떤 배경에서 민간자본의 부동산 개발 중심의 도시재생이 추진되었는지, 메이저정부 시기 도시재생에서는 왜 파트너십과 통합적 접근을 통한 도시재생이 강조되었는지, 블레어정부 시기에는 어떤 배경에서 공동체의 참여와 재생과정에 그들의 권한과 책임이 강조되었는지 등 영국재생정책 변화과정과 그 배경에 대해서 심도 있게 규명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수정, "지속가능한 개발과 뉴어바니즘 이론의 적용에 의한 영국 버밍험시 도시재생의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25-144, 2007

      2 최막중, "영국의 통합재생예산(SRB)에 의한 도시재생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39-56, 2009

      3 박근철, "영국의 도시재생 전략체계와 실행전략에 관한 연구 - 영국 도시재생회사(Urban Regeneration Company)들의 사업전략 분석을 중심으로 -" 국토지리학회 45 (45): 11-26, 2011

      4 이영아, "영국 도시재생정책의 현황 및 평가" 국토연구원 2009

      5 김예성, "영국 도시재생의 국가정책 의제화 과정과 요인 - 1960~80년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295-306, 2013

      6 양재섭, "도시재생정책의 국제비교 연구: 영국과 일본을중심으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6

      7 김광중, "도시재생에 대한 단상"

      8 이상민,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및 운영 사례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3

      9 국토교통부, "근린재생형 도시재생 사업시행 가이드라인"

      10 이태희, "공동체 참여형 도시재생의 의미와 정책 내 반영실태에 관한 고찰: 영국의 New Deal for Communities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86 : 139-159, 2015

      1 서수정, "지속가능한 개발과 뉴어바니즘 이론의 적용에 의한 영국 버밍험시 도시재생의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25-144, 2007

      2 최막중, "영국의 통합재생예산(SRB)에 의한 도시재생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39-56, 2009

      3 박근철, "영국의 도시재생 전략체계와 실행전략에 관한 연구 - 영국 도시재생회사(Urban Regeneration Company)들의 사업전략 분석을 중심으로 -" 국토지리학회 45 (45): 11-26, 2011

      4 이영아, "영국 도시재생정책의 현황 및 평가" 국토연구원 2009

      5 김예성, "영국 도시재생의 국가정책 의제화 과정과 요인 - 1960~80년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295-306, 2013

      6 양재섭, "도시재생정책의 국제비교 연구: 영국과 일본을중심으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6

      7 김광중, "도시재생에 대한 단상"

      8 이상민,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및 운영 사례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3

      9 국토교통부, "근린재생형 도시재생 사업시행 가이드라인"

      10 이태희, "공동체 참여형 도시재생의 의미와 정책 내 반영실태에 관한 고찰: 영국의 New Deal for Communities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86 : 139-159, 2015

      11 Lupton, R., "What is neighbourhood renewal policy for?" 7 (7): 66-72, 2013

      12 Kearns, A., "Urban renaissance?" The Policy Press 37-60, 2003

      13 Imrie, R., "Urban Renaissance?" The Policy Press 3-36, 2003

      14 Tallen, A., "Urban Regeneration in the UK" Routledge 2013

      15 Jones, P., "Urban Regeneration in the UK" SAGE 2008

      16 ODPM, "Transformation and Sustainability: Future support,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the New Deal for Communities programme 11" ODPM 2004

      17 Lowndes, V., "Theories of Urban Politics" SAGE 160-180, 1995

      18 The Guardian, "The wealth divide in Tower Hamlets is a violation of Britons’ sense of fairness. November, 2"

      19 Blair, T., "The Third Way: New politics for the new century" Fabian Society 1998

      20 Hill, M., "The Public Policy Process" Routledge 2012

      21 DCLG, "The New Deal for Communities programme: Achieving a neighbourhood focus for regeneration" DCLG 2010

      22 Madanipour, "Social Exclusion in European Cities: Processes, Experiences, and Responses" Routledge 75-94, 1998

      23 Imrie, R., "Regenerating London: Governance, sustainability and community in a global city" Routledge 2009

      24 Campbell, H., "Planning: An idea of value" 73 (73): 271-288, 2002

      25 Blair, T., "New politics for the new centre"

      26 Wallace, A., "New neighbourhoods, new citizens? Challenging ‘community’as a framework for social and moral regeneration under New Labour in the UK" 34 (34): 805-819, 2010

      27 Temple, M., "New labour’s third way: Pragmatism and governance" 2 (2): 302-325, 2000

      28 Driver, S., "New Labour’s communitarianisms" 17 (17): 27-46, 1997

      29 DETR, "New Deal for Communities: Developing delivery plans" DETR 1999

      30 DETR., "New Deal for Communities race equality guidance"

      31 DCLG, "New Deal for Communities national evaluation phase 2" DCLG 2015

      32 Tiesdell, S., "Neighbourhood regeneration and New Labour’s third way" 19 (19): 903-926, 2001

      33 ODPM, "Neighbourhood Renewal Fund: Race equality action plan office of the deputy prime minister" ODPM 2002

      34 SEU, "National Strategy for Neighbourhood Renewal: A framework for consultation" The Cabinet Office 2000

      35 NRU, "NDC 2001~2005: An interim evaluation" The Stationery Office 2005

      36 Newman, J., "Modernizing Governance: New labour, policy and society" SAGE 2001

      37 Lawless, P., "Locating and explaining area-based urban initiatives: New Deal for communities in England" 22 (22): 383-399, 2004

      38 Driver, S., "Left, right and the third way" 28 (28): 147-161, 2000

      39 Sandel, M. J., "JUSTICE: What’s the right thing to do?" Penguin Books 2009

      40 Beebeejaun, Y., "Is the ‘New Deal for Communities’ a New Deal for equality? Getting women on board in neighbourhood governance" 48 (48): 1997-2011, 2011

      41 Harvey, D., "From managerialism to entrepreneurialism: The transformation in urban governance in late capitalism" 71 (71): 3-17, 1989

      42 Rittel, H. W., "Dilemmas in a general theory of planning" 4 (4): 155-169, 1973

      43 Atkinson, R., "Developments in British Social Policy 2" Palgrave Macmillan 160-176, 2003

      44 Atkinson, R., "Contested Communities: Experiences, struggles, policies" The Policy Press 201-221, 1997

      45 Oatley, N., "Competitive urban policy and the regeneration game" 66 (66): 1-14, 1995

      46 Atkinson, R., "Combating social exclusion in Europe: The new urban policy challenge" 37 (37): 1037-1055, 2000

      47 Davoudi, S, "City Challenge: The three way partnership" 10 : 333-344, 1995

      48 Oatley, N., "Cities, Economic Competition and Urban Policy" Paul Chapman 1998

      49 Shaw, K., "Centenary paper: UK urban regeneration policies in the early twenty-first century: Continuity or change?" 81 (81): 123-150, 2010

      50 Bentley, R., "British Politics in Focus" Causeway 2000

      51 SEU, "Bringing Britain Together: A national strategy for neighbourhood renewal 4045" The Stationery Office Books 1998

      52 Blair, T., "Bringing Britain Together"

      53 Lawless, P., "Big society and community: Lessons from the 1998-2011 New Deal for communities programme in England" 5 (5): 55-64, 2011

      54 Beatty, C., "Area-based regeneration partnerships and the role of central government: The New Deal for Communities programme in England" 38 (38): 235-251, 2010

      55 SEU, "A New Commitment to Neighbourhood Renewal: National strategy action plan" The Cabinet Office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6-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국토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5 1.24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