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혁명의 현상학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본 글은 후설 현상학에 함의 되어 있는 ?혁명적 계기?를 드러내어, 그의 현상학이 단순한 이론적 관조가 아닌 실천철학임을 해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상학을 실천철학으로 해명하려는 시도는 맑시즘과의 연결고리를 확인하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이를 위해 후설을 맑시즘과 연결시키는 대표적인 두 사람, 엔조 파치와 두란 덕 타오를 중심으로 현상학과 맑시즘의 관계를 우선 살필 것이다. 파치는 후설 현상학, 특히 후기 발생적 현상학의 ?본능의 지향성?에서 맑시즘과의 연속성을 읽는다. 반면 타오는 후설의 현상학이 함의하고 있는 실친지향적 의미를 소극적으로 해석하고, 현상학의 내적 모순은 변증법적 유물론을 통해서만 해소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글은 현상학이 함의하는 혁명적 실천성을 현상학 자체 속에서 확인하기 위해, 파치와 타오의 입장을 넘어 설 것이다. 파치는 현상학을 성급하게 맑시즘과 연결시키려는 반면, 타오는 현상학을 이론적 관조의 학으로 읽는다. 이러한 상반된 입장은 현상학 자체는 이미 이론과 실천의 종합으로서 이미 변증법적 중재의 계기를 함의하고 있다는 사실을 간관한 것이다.
      번역하기

      본 글은 후설 현상학에 함의 되어 있는 ?혁명적 계기?를 드러내어, 그의 현상&...

      본 글은 후설 현상학에 함의 되어 있는 ?혁명적 계기?를 드러내어, 그의 현상학이 단순한 이론적 관조가 아닌 실천철학임을 해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상학을 실천철학으로 해명하려는 시도는 맑시즘과의 연결고리를 확인하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이를 위해 후설을 맑시즘과 연결시키는 대표적인 두 사람, 엔조 파치와 두란 덕 타오를 중심으로 현상학과 맑시즘의 관계를 우선 살필 것이다. 파치는 후설 현상학, 특히 후기 발생적 현상학의 ?본능의 지향성?에서 맑시즘과의 연속성을 읽는다. 반면 타오는 후설의 현상학이 함의하고 있는 실친지향적 의미를 소극적으로 해석하고, 현상학의 내적 모순은 변증법적 유물론을 통해서만 해소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글은 현상학이 함의하는 혁명적 실천성을 현상학 자체 속에서 확인하기 위해, 파치와 타오의 입장을 넘어 설 것이다. 파치는 현상학을 성급하게 맑시즘과 연결시키려는 반면, 타오는 현상학을 이론적 관조의 학으로 읽는다. 이러한 상반된 입장은 현상학 자체는 이미 이론과 실천의 종합으로서 이미 변증법적 중재의 계기를 함의하고 있다는 사실을 간관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aims to identify the phenomenology of E. Husserl not as theological contemplation but as practical philosophy by disclosing ?revolutionary moment? of his philosophy. My intention to explain phenomenology as practical philosophy begins with connecting to Marxism.
      Above all, this essay will explain the relations of phenomenology and Marxism in E. Paci and Tr?n Duc Thao. Paci reads the continuityof phenomenology,-- especially ?intentionality of instinct? of late phenomenology-- and Marxism. But Thao reads ?practice- oriented implications? of E. Husserl' phenomenology negatively and he thinks the inner contradictions of phenomenology can be removed only by dialectical materialism.
      In order to identify the revolutionary practice of E. Husserl' phenomenology, this essay will transcend the positions of Paci and Thao. On the one hand Paci connect phenomenology with marxism hastely, on the other hand Thao reads phenomenology as theoretical contemplation. This essay aims reads ?ego of life-world? as dialectical mediating field of transcendentality/concreteness, theory/practice and meaning/reality.
      번역하기

      This essay aims to identify the phenomenology of E. Husserl not as theological contemplation but as practical philosophy by disclosing ?revolutionary moment? of his philosophy. My intention to explain phenomenology as practical philosophy begins w...

      This essay aims to identify the phenomenology of E. Husserl not as theological contemplation but as practical philosophy by disclosing ?revolutionary moment? of his philosophy. My intention to explain phenomenology as practical philosophy begins with connecting to Marxism.
      Above all, this essay will explain the relations of phenomenology and Marxism in E. Paci and Tr?n Duc Thao. Paci reads the continuityof phenomenology,-- especially ?intentionality of instinct? of late phenomenology-- and Marxism. But Thao reads ?practice- oriented implications? of E. Husserl' phenomenology negatively and he thinks the inner contradictions of phenomenology can be removed only by dialectical materialism.
      In order to identify the revolutionary practice of E. Husserl' phenomenology, this essay will transcend the positions of Paci and Thao. On the one hand Paci connect phenomenology with marxism hastely, on the other hand Thao reads phenomenology as theoretical contemplation. This essay aims reads ?ego of life-world? as dialectical mediating field of transcendentality/concreteness, theory/practice and meaning/realit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