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당률과 명률의 형벌체계와 형벌론 = Penal System and Theory of Punishment of the Dang Dynasty’s Code and the Ming Dynasty’s Co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02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a had developed the high standards of criminal laws from old times. The Dang Code with Commentaries(唐律疏議) complied in the mid-seventh century and the Great Ming Code(大明律) complied in the late fourteenth century clearly show such development of the criminal law system. These two codes representing a standard of Chinese legal system consist of the general provisions(總則) and particulars(各則), and both place the Law on Punishments and General Principles(名例律) as a general provision at the beginning of law. On the other hand, whereas the Dang Code with Commentaries consist of 12 parts in succession to the tradition of Northern Dynasty(北朝)’s criminal jurisprudence, the Great Ming Code has System of Six laws(六典體制) categorized as Li(吏)·Ho(戶)·Ye(禮)·Byung(兵)·Hyung(刑)·Gong(工) influenced by the Institutes of the Yuan Dynasty (元典章).
      Though a penal system of the Dang Dynasty’s Code and the Ming Dynasty’s Code both have the Five Punishments(五刑) in comm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detailed contents. The Ming Dynasty’s Code is differentiated from the Dang Dynasty’s Code as follows; (1) it imposes the punishments of beating with the heavy stick(杖刑) in addition to the penal servitude(徒刑) and the punishments of life exile(流刑) which are the type of punishment of restricting physical freedom; (2) there is a tattooing (刺字) as a punishment of harming a body not included in the Five Punishments; (3) it contains the banishment(遷徙) and settling in remote regions(安置) in between the penal servitude and the punishments of life exile; (4) it imposes penalty of serving in the military(充軍) which is in between the punishments of life exile(流刑) and the death penalty(死罪); and (5) it stipulates the sentence to death by slicing(陵遲處死) as a type of the death penalty(死罪) not included in the Five Punishments.
      Further, the Ming Dynasty’s Code and the Dang Dynasty’s Code are different in terms of the criminal jurisprudence. In regards to the limit of ana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law, while the Dang Dynasty’s Code allows to cite the Code and decide the case by analogy(引律比附) to adjust the sentence quantitatively, the Ming Dynasty’s Code further allows to qualitatively cite the Code and decide the case by analogy. With respect to the criteria of application of the codes, the Dang Dynasty’s Code applies the law based on the timing of committing a crime(行爲時法主義), but the Mingg Dynasty’s Code applies the law based on the timing of judging a matter(裁判時法主義). Also, regarding the foreign criminals, while the Dang Dynasty’s Code takes the principle of personal jurisdiction(屬人法主義), the Ming Dynasty’s Code is based on the territorial principle(屬地法主義).
      번역하기

      China had developed the high standards of criminal laws from old times. The Dang Code with Commentaries(唐律疏議) complied in the mid-seventh century and the Great Ming Code(大明律) complied in the late fourteenth century clearly show such deve...

      China had developed the high standards of criminal laws from old times. The Dang Code with Commentaries(唐律疏議) complied in the mid-seventh century and the Great Ming Code(大明律) complied in the late fourteenth century clearly show such development of the criminal law system. These two codes representing a standard of Chinese legal system consist of the general provisions(總則) and particulars(各則), and both place the Law on Punishments and General Principles(名例律) as a general provision at the beginning of law. On the other hand, whereas the Dang Code with Commentaries consist of 12 parts in succession to the tradition of Northern Dynasty(北朝)’s criminal jurisprudence, the Great Ming Code has System of Six laws(六典體制) categorized as Li(吏)·Ho(戶)·Ye(禮)·Byung(兵)·Hyung(刑)·Gong(工) influenced by the Institutes of the Yuan Dynasty (元典章).
      Though a penal system of the Dang Dynasty’s Code and the Ming Dynasty’s Code both have the Five Punishments(五刑) in comm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detailed contents. The Ming Dynasty’s Code is differentiated from the Dang Dynasty’s Code as follows; (1) it imposes the punishments of beating with the heavy stick(杖刑) in addition to the penal servitude(徒刑) and the punishments of life exile(流刑) which are the type of punishment of restricting physical freedom; (2) there is a tattooing (刺字) as a punishment of harming a body not included in the Five Punishments; (3) it contains the banishment(遷徙) and settling in remote regions(安置) in between the penal servitude and the punishments of life exile; (4) it imposes penalty of serving in the military(充軍) which is in between the punishments of life exile(流刑) and the death penalty(死罪); and (5) it stipulates the sentence to death by slicing(陵遲處死) as a type of the death penalty(死罪) not included in the Five Punishments.
      Further, the Ming Dynasty’s Code and the Dang Dynasty’s Code are different in terms of the criminal jurisprudence. In regards to the limit of ana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law, while the Dang Dynasty’s Code allows to cite the Code and decide the case by analogy(引律比附) to adjust the sentence quantitatively, the Ming Dynasty’s Code further allows to qualitatively cite the Code and decide the case by analogy. With respect to the criteria of application of the codes, the Dang Dynasty’s Code applies the law based on the timing of committing a crime(行爲時法主義), but the Mingg Dynasty’s Code applies the law based on the timing of judging a matter(裁判時法主義). Also, regarding the foreign criminals, while the Dang Dynasty’s Code takes the principle of personal jurisdiction(屬人法主義), the Ming Dynasty’s Code is based on the territorial principle(屬地法主義).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은 형법이 옛날부터 그 발전정도가 현저하였다. 이를 잘 보여주는 법전이 7세기 중엽에 편찬된 『唐律疏議』와 14세기 후반에 편찬된 『大明律』이다. 중국의 법률수준을 대표하는 양대 법전은 체제 면에서 總則과 分則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總則에 해당하는 名例律을 篇首에 배치하였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반면 당률이 北朝 율학의 전통을 계승해 12篇目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명률은 『元典章』의 영향을 받아 吏·戶·禮·兵·刑·工의 六典體制를 갖추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隋의 開皇律을 계승한 당률과 당률을 기반으로 편찬한 명률의 형벌체계는 동일한 五刑이지만 내용면에서 차이점이 있다. 당률과는 달리 명률은 (1)자유형인 徒刑과 流刑에 신체형인 杖刑을 倂科하였으며, (2)오형에 없는 肉刑인 刺字를 두었으며, (3)오형에 없는 추방형인 遷徙와 安置를 徒罪와 流罪 사이에 두었으며, (4)오형에 없는 充軍을 流罪와 死罪 사이에 두었으며, (5)오형에 없는 陵遲處死를 死罪에 두었다.
      당률과 명률은 형벌론도 차이점이 있다. 類推解釋의 허용범위를 둘러싸고, 당률은 量刑 조정을 위해 引律比附를 허용함으로써 定量的인 데 초점을 맞춘 반면, 명률은 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범죄행위에 대해 성질이 비슷한 다른 조항을 끌어다 적용하는 것까지 포함하도록 적용범위를 넓힘으로써 定性的인 引律比附까지 허용하였다. 또한 율문이 효력을 발휘하는 시간적 적용 범위를 둘러싸고, 당률은 行爲時法主義를 취한 반면 명률은 裁判時法主義를 택하였다. 외국인 범죄에 대해서도, 당률은 屬人法主義에 따라 재판하도록 하는 반면 명률은 屬地法主義를 취하였다.
      번역하기

      중국은 형법이 옛날부터 그 발전정도가 현저하였다. 이를 잘 보여주는 법전이 7세기 중엽에 편찬된 『唐律疏議』와 14세기 후반에 편찬된 『大明律』이다. 중국의 법률수준을 대표하는 양대...

      중국은 형법이 옛날부터 그 발전정도가 현저하였다. 이를 잘 보여주는 법전이 7세기 중엽에 편찬된 『唐律疏議』와 14세기 후반에 편찬된 『大明律』이다. 중국의 법률수준을 대표하는 양대 법전은 체제 면에서 總則과 分則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總則에 해당하는 名例律을 篇首에 배치하였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반면 당률이 北朝 율학의 전통을 계승해 12篇目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명률은 『元典章』의 영향을 받아 吏·戶·禮·兵·刑·工의 六典體制를 갖추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隋의 開皇律을 계승한 당률과 당률을 기반으로 편찬한 명률의 형벌체계는 동일한 五刑이지만 내용면에서 차이점이 있다. 당률과는 달리 명률은 (1)자유형인 徒刑과 流刑에 신체형인 杖刑을 倂科하였으며, (2)오형에 없는 肉刑인 刺字를 두었으며, (3)오형에 없는 추방형인 遷徙와 安置를 徒罪와 流罪 사이에 두었으며, (4)오형에 없는 充軍을 流罪와 死罪 사이에 두었으며, (5)오형에 없는 陵遲處死를 死罪에 두었다.
      당률과 명률은 형벌론도 차이점이 있다. 類推解釋의 허용범위를 둘러싸고, 당률은 量刑 조정을 위해 引律比附를 허용함으로써 定量的인 데 초점을 맞춘 반면, 명률은 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범죄행위에 대해 성질이 비슷한 다른 조항을 끌어다 적용하는 것까지 포함하도록 적용범위를 넓힘으로써 定性的인 引律比附까지 허용하였다. 또한 율문이 효력을 발휘하는 시간적 적용 범위를 둘러싸고, 당률은 行爲時法主義를 취한 반면 명률은 裁判時法主義를 택하였다. 외국인 범죄에 대해서도, 당률은 屬人法主義에 따라 재판하도록 하는 반면 명률은 屬地法主義를 취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律條疏議"

      2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03

      3 仁井田 陞, "중국법제사" 암파서점 2005

      4 장진번(張晋藩), "중국법제사" 소나무 2006

      5 장국화, "중국법률사상사" 아카넷 2003

      6 仁井田 陞, "임대희․박순곤 옮김" 1959

      7 김경록, "명초 홍무제의 군사인식과 군사정책"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9) : 145-188, 2016

      8 티모시 브룩, "능지처참" 너머북스 2010

      9 정수덕(程樹德), "구조율고(九朝律考) 四" 세창출판사 2014

      10 정수덕(程樹德), "구조율고(九朝律考) 二" 세창출판사 2014

      1 "律條疏議"

      2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03

      3 仁井田 陞, "중국법제사" 암파서점 2005

      4 장진번(張晋藩), "중국법제사" 소나무 2006

      5 장국화, "중국법률사상사" 아카넷 2003

      6 仁井田 陞, "임대희․박순곤 옮김" 1959

      7 김경록, "명초 홍무제의 군사인식과 군사정책"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9) : 145-188, 2016

      8 티모시 브룩, "능지처참" 너머북스 2010

      9 정수덕(程樹德), "구조율고(九朝律考) 四" 세창출판사 2014

      10 정수덕(程樹德), "구조율고(九朝律考) 二" 세창출판사 2014

      11 정수덕(程樹德), "구조율고(九朝律考) 三" 세창출판사 2014

      12 정수덕(程樹德), "구조율고(九朝律考) 一" 세창출판사 2014

      13 律令硏究會, "譯註日本律令 5, 唐律疏議 譯註篇 1" 1979

      14 劉濤, "明大誥與明代社會管理" 산동대학 2014

      15 김경록, "明初 洪武帝의 國家統治 구상과 『大明律』" 한국법사학회 (53) : 95-126, 2016

      16 "大淸律輯註(하)"

      17 "大明律例諺解"

      18 金九鎭, "大明律의 編纂과 傳來-經國大典 編纂의 背景" 20 : 1984

      19 "大明律集說附例"

      20 "大明律附例"

      21 정긍식, "大明律直解, 서울대학교 규장각총서 법전편" 2001

      22 "大明律"

      23 한상권, "公罪와 私罪" 한국법사학회 (53) : 7-37, 2016

      24 范忠信, "中國法律文化探究-情理法과 中國人" 일조각 1996

      25 "『隋書』 권25 刑法志"

      26 "『晉書』 권30 刑法志"

      27 "『唐律疏議』 『唐六典注』 『舊唐書』 권50 「刑法志」"

      28 Jiang YongLin, "The Great Ming Code/Da Ming lu"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6 1.28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