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조선시대 법령자료"
2 정긍식, "한국근대법사고" 박영사 2002
3 최주희, "특집2논문: 18세기 중반『탁지정례(度支定例)』류(類) 간행의 재정적 특성과 정치적 의도" 한국역사연구회 (81) : 251-288, 2011
4 "조선총독부관보 활용시스템"
5 오기수, "조선시대 租稅와 稅錢, 稅金 용어의 역사적 고찰" 한국세무학회 29 (29): 201-235, 2012
6 김호범, "일제하 식민지재정의 구조와 성격 : 1910년대 및 20년대의 조세정책을 중심으로" 3 (3): 1994
7 김창록, "일본제국주의의 헌법사상과 식민지 조선" 한국법사학회 14 : 1993
8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컬렉션 (国立国会図書館 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9 김덕진, "영조대 정례서 편찬의 재정사적 의의" 한국학중앙연구원 (27) : 9-37, 2012
10 장영수, "대한민국헌법의 전사(前史) - 헌법제정 이전의 헌법사 -" 법학연구원 (81) : 127-160, 2016
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조선시대 법령자료"
2 정긍식, "한국근대법사고" 박영사 2002
3 최주희, "특집2논문: 18세기 중반『탁지정례(度支定例)』류(類) 간행의 재정적 특성과 정치적 의도" 한국역사연구회 (81) : 251-288, 2011
4 "조선총독부관보 활용시스템"
5 오기수, "조선시대 租稅와 稅錢, 稅金 용어의 역사적 고찰" 한국세무학회 29 (29): 201-235, 2012
6 김호범, "일제하 식민지재정의 구조와 성격 : 1910년대 및 20년대의 조세정책을 중심으로" 3 (3): 1994
7 김창록, "일본제국주의의 헌법사상과 식민지 조선" 한국법사학회 14 : 1993
8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컬렉션 (国立国会図書館 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9 김덕진, "영조대 정례서 편찬의 재정사적 의의" 한국학중앙연구원 (27) : 9-37, 2012
10 장영수, "대한민국헌법의 전사(前史) - 헌법제정 이전의 헌법사 -" 법학연구원 (81) : 127-160, 2016
11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12 "국사편찬위원회 고려시대사료(史料) DATABASE"
13 이재은, "구한말 근대적 지방재정제도 도입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세연구원 2014
14 이윤재, "韓國政府會計의 變遷過程" 충남대학교 경상대학부설 경영경제연구소 2 (2): 1986
15 黃夏鉉, "舊韓末(1894年~1904年)의 財政整理와 歲入歲出豫算" 한국재정학회 1 (1): 1987
16 黃夏鉉, "舊韓末(1894~1904년)의 財政改革과 國家財政의 實態" 명지대학교경제연구소 3 (3): 1987
17 이우권, "舊韓末 統治權力構造의 變動에 관한 硏究 : 國際政勢의 變動과 官制․財政改革의 相關性을中心으로" 12 (12): 1998
18 송양섭, "正祖의 왕실재정 개혁과 ‘宮府一體’論" 대동문화연구원 (76) : 79-128, 2011
19 金玉根, "朝鮮 王朝財政史 硏究(四) : 貢案․橫看-豫算制度-" 부산수산대학교 7 : 1971
20 長山貴之, "明治22年会計法と予算制度" 香川大学経済学部 41 : 2001
21 李潤相, "日帝에 의한 植民地財政의 形成過程 : 1894~1910년의 歲入構造와 徵稅機構를 중심으로" 14 : 1986
22 禹明東, "日帝下의 우리나라 財政分析(其一)" 24 : 1986
23 金大濬, "日帝下 韓國의 豫算會計制度의 硏究 : 1910年을 前後한 豫算會計制度의 變遷을 中心하여" 11 (11): 1974
24 최영성, "『홍범연의洪範衍義』를 통해 본 존재存齋‧ 갈암葛庵의 학문" 한국국학진흥원 (35) : 9-41, 2018
25 김종식, "1910년대 식민지 조선 관련 일본 국내 정치 논의의 한 양상 -제국의회의 식민지 조선 제령 입법 과정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38) : 301-333, 2011
26 이정철, "17세기 조선의 공납제 개혁논의와 대동법의 성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27 金玉根, "(新稿)韓國經濟史" 新知書院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