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 예산 관련 법제의 정립에 관한 고찰 = Historical Review on Modern Budget-Related Legis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02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the changes in the budget-related legislation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 history. Since the budget system was the basis of national governance in both pre-modern and modern times, there were many changes around the budget system and such changes were reflected in the budget-related legislation of each perio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budget-related legislation of each period, there have been power conflicts without exception.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d the changes in the budget-related legislation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 history. Since the budget system was the basis of national governance in both pre-mode...

      This paper examined the changes in the budget-related legislation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 history. Since the budget system was the basis of national governance in both pre-modern and modern times, there were many changes around the budget system and such changes were reflected in the budget-related legislation of each perio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budget-related legislation of each period, there have been power conflicts without excep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조선후기부터 헌법제정 이전까지의 예산 관련 법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예산제도는 근대와 전근대를 불문하고, 국가 통치의 근간이 되는 제도였다. 따라서 각 시기마다 권력구조의 형태에 따라 예산을 둘러싼 다툼과 변화가 있어 왔고, 그러한 변화는 각 시기의 예산 관련 법제 속에 반영되어 왔다. 조선후기에는 대전회통(大典會通) 호전(戶典) 경비(經費)조에서, 갑오개혁기에는 홍범(洪範) 14조에서, 구한말에는 회계법(會計法)에서,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특별회계의 건(朝鮮総督府特別会計ニ関スル件)과 조선총독부 특별회계규칙(朝鮮総督府特別会計規則)에서 예산 관련 규정을 찾아볼 수 있었다. 각 시기 예산 법제의 정립을 둘러싼 권력의 대립을 보면, 우선 조선시대에는 양입위출(量入爲出)을 기본으로 하여 예산을 편성하고 대전(大典)에 공안(貢案)과 횡간(橫看)이라는 양식을 규정하였지만, 거기에는 왕권과 신권의 대립이 있었다. 갑오개혁의 홍범 14조에서 확인되는 조목들은 근대적 개혁을 지향하면서도 궁부일체의 유교적 관념을 함께 실현하고자 한 것이었기 때문에 그 출발에서부터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구한말 회계법은 메이지 회계법을 모델로 한 것으로 재무행정이라는 측면에서는 근대적 예산제도를 규정하고 있었지만, 근대적 예산제도라면 갖추었어야 할 의회의 예산 협찬권을 알지 못하였고, 왕권 강화를 위해서 예산에 대한 대군주의 재가권을 규정하였던 한계를 지닌 예산 법제였다고 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 들어서서는 예산에 조선의 의사가 반영될 여지는 없었고, 조선의 예산은 조선총독부의 특별회계로 다루어졌을 뿐이었다. 그리고 거기에는 일제의 의회세력과 번벌세력의 권력투쟁이 자리잡고 있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조선후기부터 헌법제정 이전까지의 예산 관련 법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예산제도는 근대와 전근대를 불문하고, 국가 통치의 근간이 되는 제도였다. 따라서 각 시기마다 권...

      본 논문에서는 조선후기부터 헌법제정 이전까지의 예산 관련 법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예산제도는 근대와 전근대를 불문하고, 국가 통치의 근간이 되는 제도였다. 따라서 각 시기마다 권력구조의 형태에 따라 예산을 둘러싼 다툼과 변화가 있어 왔고, 그러한 변화는 각 시기의 예산 관련 법제 속에 반영되어 왔다. 조선후기에는 대전회통(大典會通) 호전(戶典) 경비(經費)조에서, 갑오개혁기에는 홍범(洪範) 14조에서, 구한말에는 회계법(會計法)에서,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특별회계의 건(朝鮮総督府特別会計ニ関スル件)과 조선총독부 특별회계규칙(朝鮮総督府特別会計規則)에서 예산 관련 규정을 찾아볼 수 있었다. 각 시기 예산 법제의 정립을 둘러싼 권력의 대립을 보면, 우선 조선시대에는 양입위출(量入爲出)을 기본으로 하여 예산을 편성하고 대전(大典)에 공안(貢案)과 횡간(橫看)이라는 양식을 규정하였지만, 거기에는 왕권과 신권의 대립이 있었다. 갑오개혁의 홍범 14조에서 확인되는 조목들은 근대적 개혁을 지향하면서도 궁부일체의 유교적 관념을 함께 실현하고자 한 것이었기 때문에 그 출발에서부터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구한말 회계법은 메이지 회계법을 모델로 한 것으로 재무행정이라는 측면에서는 근대적 예산제도를 규정하고 있었지만, 근대적 예산제도라면 갖추었어야 할 의회의 예산 협찬권을 알지 못하였고, 왕권 강화를 위해서 예산에 대한 대군주의 재가권을 규정하였던 한계를 지닌 예산 법제였다고 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 들어서서는 예산에 조선의 의사가 반영될 여지는 없었고, 조선의 예산은 조선총독부의 특별회계로 다루어졌을 뿐이었다. 그리고 거기에는 일제의 의회세력과 번벌세력의 권력투쟁이 자리잡고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조선시대 법령자료"

      2 정긍식, "한국근대법사고" 박영사 2002

      3 최주희, "특집2논문: 18세기 중반『탁지정례(度支定例)』류(類) 간행의 재정적 특성과 정치적 의도" 한국역사연구회 (81) : 251-288, 2011

      4 "조선총독부관보 활용시스템"

      5 오기수, "조선시대 租稅와 稅錢, 稅金 용어의 역사적 고찰" 한국세무학회 29 (29): 201-235, 2012

      6 김호범, "일제하 식민지재정의 구조와 성격 : 1910년대 및 20년대의 조세정책을 중심으로" 3 (3): 1994

      7 김창록, "일본제국주의의 헌법사상과 식민지 조선" 한국법사학회 14 : 1993

      8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컬렉션 (国立国会図書館 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9 김덕진, "영조대 정례서 편찬의 재정사적 의의" 한국학중앙연구원 (27) : 9-37, 2012

      10 장영수, "대한민국헌법의 전사(前史) - 헌법제정 이전의 헌법사 -" 법학연구원 (81) : 127-160, 2016

      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조선시대 법령자료"

      2 정긍식, "한국근대법사고" 박영사 2002

      3 최주희, "특집2논문: 18세기 중반『탁지정례(度支定例)』류(類) 간행의 재정적 특성과 정치적 의도" 한국역사연구회 (81) : 251-288, 2011

      4 "조선총독부관보 활용시스템"

      5 오기수, "조선시대 租稅와 稅錢, 稅金 용어의 역사적 고찰" 한국세무학회 29 (29): 201-235, 2012

      6 김호범, "일제하 식민지재정의 구조와 성격 : 1910년대 및 20년대의 조세정책을 중심으로" 3 (3): 1994

      7 김창록, "일본제국주의의 헌법사상과 식민지 조선" 한국법사학회 14 : 1993

      8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컬렉션 (国立国会図書館 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9 김덕진, "영조대 정례서 편찬의 재정사적 의의" 한국학중앙연구원 (27) : 9-37, 2012

      10 장영수, "대한민국헌법의 전사(前史) - 헌법제정 이전의 헌법사 -" 법학연구원 (81) : 127-160, 2016

      11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12 "국사편찬위원회 고려시대사료(史料) DATABASE"

      13 이재은, "구한말 근대적 지방재정제도 도입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세연구원 2014

      14 이윤재, "韓國政府會計의 變遷過程" 충남대학교 경상대학부설 경영경제연구소 2 (2): 1986

      15 黃夏鉉, "舊韓末(1894年~1904年)의 財政整理와 歲入歲出豫算" 한국재정학회 1 (1): 1987

      16 黃夏鉉, "舊韓末(1894~1904년)의 財政改革과 國家財政의 實態" 명지대학교경제연구소 3 (3): 1987

      17 이우권, "舊韓末 統治權力構造의 變動에 관한 硏究 : 國際政勢의 變動과 官制․財政改革의 相關性을中心으로" 12 (12): 1998

      18 송양섭, "正祖의 왕실재정 개혁과 ‘宮府一體’論" 대동문화연구원 (76) : 79-128, 2011

      19 金玉根, "朝鮮 王朝財政史 硏究(四) : 貢案․橫看-豫算制度-" 부산수산대학교 7 : 1971

      20 長山貴之, "明治22年会計法と予算制度" 香川大学経済学部 41 : 2001

      21 李潤相, "日帝에 의한 植民地財政의 形成過程 : 1894~1910년의 歲入構造와 徵稅機構를 중심으로" 14 : 1986

      22 禹明東, "日帝下의 우리나라 財政分析(其一)" 24 : 1986

      23 金大濬, "日帝下 韓國의 豫算會計制度의 硏究 : 1910年을 前後한 豫算會計制度의 變遷을 中心하여" 11 (11): 1974

      24 최영성, "『홍범연의洪範衍義』를 통해 본 존재存齋‧ 갈암葛庵의 학문" 한국국학진흥원 (35) : 9-41, 2018

      25 김종식, "1910년대 식민지 조선 관련 일본 국내 정치 논의의 한 양상 -제국의회의 식민지 조선 제령 입법 과정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38) : 301-333, 2011

      26 이정철, "17세기 조선의 공납제 개혁논의와 대동법의 성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27 金玉根, "(新稿)韓國經濟史" 新知書院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6 1.28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