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상 내의 신체 핵심 좌표 데이터를 활용한 머신러닝 기반 수어 인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608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영상 내의 신체 움직임을 머신러닝 기반으로 추론하여 수어를 인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움직이는 신체부위의 핵심 좌표 데이터로 구성되는 모션 벡터를 머신러닝에 활용함으로써 인공신경망 모델의 훈련 시간을 줄이고 동작 인식의 정확도를 높이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모션 벡터는 표현 시간이 상이한 다양한 낱말들에 대해 동일한 규격으로 구성되므로 추론의 신뢰도를 더욱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수어문장을 표현한 영상 중 각 낱말에 해당되는 부분 영상을 정확하게 분할해 내기 위해 점진적으로 추론 구간을 조정하면서 반복적인 신뢰도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실험을 통해 영상 자체를 학습 및 추론에 이용하는 일반적인 기존 방식과 비교했을 때 훈련 시간, 추론 속도 및 신뢰도, 부분 영상의 분할 정확도 측면에서 제안 시스템이 더욱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영상 내의 신체 움직임을 머신러닝 기반으로 추론하여 수어를 인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움직이는 신체부위의 핵심 좌표 데이터로 구성되는 모션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영상 내의 신체 움직임을 머신러닝 기반으로 추론하여 수어를 인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움직이는 신체부위의 핵심 좌표 데이터로 구성되는 모션 벡터를 머신러닝에 활용함으로써 인공신경망 모델의 훈련 시간을 줄이고 동작 인식의 정확도를 높이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모션 벡터는 표현 시간이 상이한 다양한 낱말들에 대해 동일한 규격으로 구성되므로 추론의 신뢰도를 더욱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수어문장을 표현한 영상 중 각 낱말에 해당되는 부분 영상을 정확하게 분할해 내기 위해 점진적으로 추론 구간을 조정하면서 반복적인 신뢰도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실험을 통해 영상 자체를 학습 및 추론에 이용하는 일반적인 기존 방식과 비교했을 때 훈련 시간, 추론 속도 및 신뢰도, 부분 영상의 분할 정확도 측면에서 제안 시스템이 더욱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a sign language recognition system based on machine learning, which can infer the meaning of body movement in realtime video. It has a feature that motion vectors constructed with keypoint data of moving body are used for machine learning. This enables the proposed system to reduce the training time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and to enhance the recognition accuracy. Since those motion vectors have the same size and format regardless of the different expression times of words, the confidence level of an inference could be further increased. To correctly divide a part of video corresponding to each word in a sentence, we propose an iterative evaluation method of confidence levels for inferences with the gradual length adjustment of video frag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our system outperforms a conventional method using the video itself for training and inference, in training time, inference speed, confidence level of inference and accuracy of video fragmentation.
      번역하기

      This paper proposes a sign language recognition system based on machine learning, which can infer the meaning of body movement in realtime video. It has a feature that motion vectors constructed with keypoint data of moving body are used for machine l...

      This paper proposes a sign language recognition system based on machine learning, which can infer the meaning of body movement in realtime video. It has a feature that motion vectors constructed with keypoint data of moving body are used for machine learning. This enables the proposed system to reduce the training time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and to enhance the recognition accuracy. Since those motion vectors have the same size and format regardless of the different expression times of words, the confidence level of an inference could be further increased. To correctly divide a part of video corresponding to each word in a sentence, we propose an iterative evaluation method of confidence levels for inferences with the gradual length adjustment of video frag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our system outperforms a conventional method using the video itself for training and inference, in training time, inference speed, confidence level of inference and accuracy of video fragment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관련 연구
      • Ⅲ. 제안 시스템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관련 연구
      • Ⅲ. 제안 시스템
      • Ⅳ. 실험 결과
      • Ⅴ.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