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시의 공간구축술’이라는 포괄적 주제와의 연관관계 속에서, 20세기 중후반의 프랑스 시인 앙드레 뒤부쉐(André du Bouchet, 1924-2001)의 시에서 읽어낼 수 있는 시적 경험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1478
-
2017년
Korean
앙드레 뒤부쉐 ; 시의 공간구축술 ; André du Bouchet ; travail d’espacement de la poésie ; expérience poétique ; sujet ; autre ; altérité ; langue ; monde-expérience ; blanc ; invisibilité ; écriture fragmentaire ; instant ; marche ; 시적 경험 ; 주체 ; 타자 ; 이타성 ; 언어 ; 세계-경험 ; 걷기 ; 여백 ; 틈 ; 단편적 글쓰기 ; 순간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시의 공간구축술’이라는 포괄적 주제와의 연관관계 속에서, 20세기 중후반의 프랑스 시인 앙드레 뒤부쉐(André du Bouchet, 1924-2001)의 시에서 읽어낼 수 있는 시적 경험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의 공간구축술’이라는 포괄적 주제와의 연관관계 속에서, 20세기 중후반의 프랑스 시인 앙드레 뒤부쉐(André du Bouchet, 1924-2001)의 시에서 읽어낼 수 있는 시적 경험의 특수성을 검토해 보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시의 공간구축술’이라 함은, 주체와 세계의 자기동일성에 균열을 일으키는 타자의 근본적 이타성을 포착해 내고자 하는 시인의 욕망과 관련하여 ‘언어의 근본적인 무능력이 텍스트 속에 기입되는 방식, 그럼으로써 역설적으로 시적인 의미 공간이 생성되는 특수한 방식’을 가리킨다.
1. 뒤부쉐의 시적 글쓰기는 어휘, 구문, 문장에 이르기까지 프랑스어의 보편적 통사구조, 그리고 그 통사구조가 담보하는 의미작용을 좌절시키는 글쓰기에 가깝다. 그리고 그 가장 일차적인 효과는 텍스트를 구성하는 모든 언어 요소들이 구문의 속박에서 벗어나 자체의 독립적인 무게를 획득하게 되지만 동시에 언어 혹은 텍스트의 바깥으로 이어지는 모든 지향점들을 상실함으로써 일종의 ‘자폐적 언어 공간’을 이루게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시 텍스트의 그런 성격에 일반적으로 붙여지는 이름이 바로 ‘시의 난해성’이다.
2. 본 연구의 출발점에는 시의 그러한 난해성이 시인이 추구하는 ‘시적 경험의 특수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생각이 놓여 있다. 다시 말해서 언어가 통상적인 의사소통의 도구이기를 멈추는 순간은 또한 우리의 의식 앞에 ‘또 다른 지시대상’의 현존이 하나의 지향(또는 지평)의 형식으로 열리는 순간이기도 하다. 뒤부쉐의 경우에도 시의 ‘난해성’은 관념적·형이상학적 사유에서 비롯된 것이기보다는 세계를 그 본질적 건강함 속에 드러내고자 하는 욕망, 또는 시적인 세계 인식의 특수성과 관련되어 있다. 요컨대 세계에 대한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감각의 경험에 충실하면서도 사물들을 끊임없이 그 자체의 근본적 이타성 속에 자유롭게 풀어놓으려는 지향에서 뒤부쉐 시의 중요한 언어적 특징들이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뒤부쉐에게 있어서 시 쓰기란 일차적으로 ‘나’와 세계의 근본적 이타성을 향해 나아가는 힘겨운 여정이고, 그 여정에 기본 동력으로 작용하는 것은 관습적 언어 사용에 의해 고착화된 ‘주체/세계’의 관계에 균열을 야기하면서 주체와 세계를 낯선 미지의 시공간 속으로 떠밀어 넣고자 하는 ‘나’의 욕망이다. 뒤부쉐에게서 흔히 글쓰기와 ‘걷기-이행’이 동일시되는 까닭이 바로 거기 있다.
3. 뒤부쉐의 시에서 흔히 ‘시인-보행자’의 지평에 걸려 있는 것은 ‘햇빛’이다. 장-피에르 리샤르의 지적대로, 뒤부쉐의 시에서 햇빛은 ‘존재하는 모든 사물들을 초과하면서 그것들에 근거를 제공해 주는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niqueness of poetic experience that can be read in the poetry of the French poet André du Bouchet (1924-2001) in relation to the comprehensive theme of ‘poetic construction of meaning space’. 1. Du Bo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niqueness of poetic experience that can be read in the poetry of the French poet André du Bouchet (1924-2001) in relation to the comprehensive theme of ‘poetic construction of meaning space’.
1. Du Bouchet’s poetic writing is close to a writing that frustrates the universal syntactic structure of the French, from vocabulary to phrases and sentences, so that the semantic function of each element secured by syntactic structure is disturbed. The primary effect of such writing is that all the language elements that make up the text get their own independent weight out of the constraints of syntactic structure. But they become also a kind of ‘autistic language space’ by losing all orientations that go beyond the language or text. Buy the way, the name commonly attached to such a character of poetry is ‘difficulty of poetry’.
2.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lies in the idea that such a difficulty of poetry is closely related to the ‘peculiarity of poetic experience’ pursued by the poet. In other words, the moment when language ceases to be a tool of normal communication, it is also the moment when the presence of ‘another referent’ rises in our consciousness in the form of a horizon. For du Bouchet too, poetry is primarily a difficult j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