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사지 배수불량 논에서 배수개선 효과의 지구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943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경사지 논토양에서 밭작물 재배확대를 위한 합리적인 배수개선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배수불량”인 경사지 논토양 (경사 7-15%, 지산통)을 대상으로 배수조건에 따라 “매우불량”인 논 2개 필지, “약간불량”인 논 2개 필지의 논둑아래 기저부에 1열로 명거 (겉도랑 배수), 비닐차 단막, 암거 (속도랑 배수), 관다발 등 네 가지 종류의 배수시설을 설치하여 공간상의 위치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지구통계적 방법 (Geostatistical methods)를 이용하여 저비용의 실용적 배수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배수개선 방법에 따른 배수개선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TDR 이용하여 측정한 배수방법별 토양수분함량의 기술통계량을 분석한 결과 배수개선 방법별 평균수분함량은 명거배수 (36.17 mm), 비닐차단막 (32.87 mm), 관다발 (28.71 mm), 암거배수 (23.21 mm) 순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또한 암거배수 처리구에서의 변이계수가 13.0%로 명거배수 (23.4%), 비닐차단막 (22.2%), 관다발 (15.1%)에 비해 포장 내에서 수분함량이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수분함량의 이론적 반베리오그램을 분석한 결과 배수등급별 문턱값 (sill)은 배수가 약간불량지에 비해 매우 불량지에서 배수개선 방법별 차이가 뚜렷하였으며, 특히 배수 매우불량지의 암거배수 처리구에서 문턱값은 9.7로 명거배수 (86.2), 비닐차단막 (66.8), 관다발 (15.7)에 비해 낮아 변이가 적고 균일성이 높아 암거배수에 의한 배수개선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수불량”인 경사지 논에서는 논둑 밑 1열의 암거배수시설을 설치로 논에서 밭작물의 안정적인 생산과 농지자원의 이용전환 즉 논을 밭으로 이용해야 하는 범용농지 기반조성에 조성을 위한 저비용의 실용적인 배수개선 방법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번역하기

      경사지 논토양에서 밭작물 재배확대를 위한 합리적인 배수개선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배수불량”인 경사지 논토양 (경사 7-15%, 지산통)을 대상으로 배수조건에 따라 “매우불량”인 논 ...

      경사지 논토양에서 밭작물 재배확대를 위한 합리적인 배수개선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배수불량”인 경사지 논토양 (경사 7-15%, 지산통)을 대상으로 배수조건에 따라 “매우불량”인 논 2개 필지, “약간불량”인 논 2개 필지의 논둑아래 기저부에 1열로 명거 (겉도랑 배수), 비닐차 단막, 암거 (속도랑 배수), 관다발 등 네 가지 종류의 배수시설을 설치하여 공간상의 위치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지구통계적 방법 (Geostatistical methods)를 이용하여 저비용의 실용적 배수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배수개선 방법에 따른 배수개선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TDR 이용하여 측정한 배수방법별 토양수분함량의 기술통계량을 분석한 결과 배수개선 방법별 평균수분함량은 명거배수 (36.17 mm), 비닐차단막 (32.87 mm), 관다발 (28.71 mm), 암거배수 (23.21 mm) 순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또한 암거배수 처리구에서의 변이계수가 13.0%로 명거배수 (23.4%), 비닐차단막 (22.2%), 관다발 (15.1%)에 비해 포장 내에서 수분함량이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수분함량의 이론적 반베리오그램을 분석한 결과 배수등급별 문턱값 (sill)은 배수가 약간불량지에 비해 매우 불량지에서 배수개선 방법별 차이가 뚜렷하였으며, 특히 배수 매우불량지의 암거배수 처리구에서 문턱값은 9.7로 명거배수 (86.2), 비닐차단막 (66.8), 관다발 (15.7)에 비해 낮아 변이가 적고 균일성이 높아 암거배수에 의한 배수개선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수불량”인 경사지 논에서는 논둑 밑 1열의 암거배수시설을 설치로 논에서 밭작물의 안정적인 생산과 농지자원의 이용전환 즉 논을 밭으로 이용해야 하는 범용농지 기반조성에 조성을 위한 저비용의 실용적인 배수개선 방법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ower portion of sloping paddy fields normally contains excessive moisture and the higher water table caused by the inflow of ground water from the upper part of the field resulting in non-uniform water content distribution. Four drainage methods namely Open Ditch, Vinyl Barrier, Pipe Drainage and Tube Bundle for multiple land use were installed within 1-m position from the lower edge of the upper embankment of sloping alluvial paddy fields. Knowledge of the spatial variability of soil water properties is of primary importance for management of agricultural lan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rainage in the soil on spatial variability of soil water content using the geostatistical analysis. The soil water content was collected by a TDR (Time Domain Reflectometry) sensor after the installation of subsurface drainage on regular square grid of 80 m at 20 m paddy field located at Oesan-ri, Buk-myeon, Changwon-si in alluvial slopping paddy fields (35°22′ N, 128°35′). In order to obtain the most accurate field information, the sampling grid was divided 3 m by 3 m unit mesh by four drainage types. The results showed that spatial variance of soil water content by subsurface drainage was reduced, though yield of soybean showed the same trends. Value of “sill” of soil water content with semivariogram was 9.7 in Pipe Drainage, 86.2 in Open Ditch, and 66.8 in Vinyl Barrier and 15.7 in Tube Bundle.
      번역하기

      The lower portion of sloping paddy fields normally contains excessive moisture and the higher water table caused by the inflow of ground water from the upper part of the field resulting in non-uniform water content distribution. Four drainage methods ...

      The lower portion of sloping paddy fields normally contains excessive moisture and the higher water table caused by the inflow of ground water from the upper part of the field resulting in non-uniform water content distribution. Four drainage methods namely Open Ditch, Vinyl Barrier, Pipe Drainage and Tube Bundle for multiple land use were installed within 1-m position from the lower edge of the upper embankment of sloping alluvial paddy fields. Knowledge of the spatial variability of soil water properties is of primary importance for management of agricultural lan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rainage in the soil on spatial variability of soil water content using the geostatistical analysis. The soil water content was collected by a TDR (Time Domain Reflectometry) sensor after the installation of subsurface drainage on regular square grid of 80 m at 20 m paddy field located at Oesan-ri, Buk-myeon, Changwon-si in alluvial slopping paddy fields (35°22′ N, 128°35′). In order to obtain the most accurate field information, the sampling grid was divided 3 m by 3 m unit mesh by four drainage types. The results showed that spatial variance of soil water content by subsurface drainage was reduced, though yield of soybean showed the same trends. Value of “sill” of soil water content with semivariogram was 9.7 in Pipe Drainage, 86.2 in Open Ditch, and 66.8 in Vinyl Barrier and 15.7 in Tube Bund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인용문헌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학기, 2004

      2 최종근, "지구통계학" 시그마프레스 2007

      3 이희정, "베리오그램 모델에 따른 크리깅 보간법의 정확성" 영남대학교 2008

      4 한국농어촌공사,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계획설계기준 (배수편)"

      5 Kevin Johnston, "Using ArcGIS Geostatistical Analyst, ESRI ArcGIS 9 tutorial manual"

      6 Mahmoud, M., "Use of a covariance variogram to investigate influence of subsurface drainage on spatial variability of soil-water properties" 37 : 1-9, 1998

      7 Abdel-Dayem, M.S., "Subsurface drainage in irrigated lands and its effect on soil and crops" 168-177, 1987

      8 Chung, S.O., "Spatial variability of yield, chlorophyll content, and soil properties in a Korean rice paddy field" 2000

      9 Wesseling, J., "Soil physical conditions in relation to drain depth. in: Drainage of Agricultural Lands" 461-504, 1957

      10 Journel, A.G., "Mining Geostatistics" Academic Press 600-, 1978

      1 손학기, 2004

      2 최종근, "지구통계학" 시그마프레스 2007

      3 이희정, "베리오그램 모델에 따른 크리깅 보간법의 정확성" 영남대학교 2008

      4 한국농어촌공사,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계획설계기준 (배수편)"

      5 Kevin Johnston, "Using ArcGIS Geostatistical Analyst, ESRI ArcGIS 9 tutorial manual"

      6 Mahmoud, M., "Use of a covariance variogram to investigate influence of subsurface drainage on spatial variability of soil-water properties" 37 : 1-9, 1998

      7 Abdel-Dayem, M.S., "Subsurface drainage in irrigated lands and its effect on soil and crops" 168-177, 1987

      8 Chung, S.O., "Spatial variability of yield, chlorophyll content, and soil properties in a Korean rice paddy field" 2000

      9 Wesseling, J., "Soil physical conditions in relation to drain depth. in: Drainage of Agricultural Lands" 461-504, 1957

      10 Journel, A.G., "Mining Geostatistics" Academic Press 600-, 1978

      11 최선영, "GIS의 통계적 공간 분석을 이용한 해수침투 분포양상 파악" 전남대학교 2004

      12 이효재, "GIS를 이용한 보성지역 지하수의 지구화학적 특성예측" 전남대학교 2009

      13 정찬덕, "GIS를 이용한 무안군 무청지구 지하수위 수질변화 연구" 전남대학교 2005

      14 Milly P.C.D., "Effects of spatial variability on annual average water balance" 23 : 2135-2143, 1987

      15 Reeve, R.C., "Drainage and timeliness of farming operations. in: Drainage for Agriculture" 55-666, 1974

      16 Bouwer, H., "Determining soil properties. in: Drainage for Agriculture" 611-666, 1974

      17 Johnston, K., "ArcGISTM Geostatistical Analyst extension User’s Guide. ETRI"

      18 Freeze, R.A., "A stochastic-comceptual analyis of raimfall-runoff prosesses on a hillslope" 16 : 391-408,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한국토양비료학회지(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KCI등재
      2006-06-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1 0.54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