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밭작물 토양물리성 지표관련 인자의 상관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943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경북지역내 밭토양 20지점을 선정하여 토양속별로 토양물리성의 주요 지표인 용적밀도와 토양경도에 대한 토양층위별 분포비율을 분석한 결과 밭토양의 표토의 용적밀도는 전체평균값인 1.2 Mg m<SUP>-3 </SUP>보다는 높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표토의 경도는 일반작물의 정상생육 범위인 20 mm 보다는 낮게 분포되어 있어, 정상생육에는 크게 지장은 없으나 토양물리성은 전반적으로 악화되어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토양물리성 특성별 회귀식에 의한 용적밀도와 경도의 결정계수는 0.325로 용적밀도와 유기물함량의 결정계수 0.093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주요 물리성 지표와 토양유기물 함량과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토양의 물리성은 작물의 생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물리성을 대표할 수 있는 인자는 용적밀도와 토양경도 등이었다. 용적밀도와 토양경도가 낮을수록 작물생육이 양호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분석결과 이들 값, 특히 토양의 유기물 함량과 상관관계가 높은것으로 나타나 밭토양의 물리성 개선을 위해서는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경북지역내 밭토양 20지점을 선정하여 토양속별로 토양물리성의 주요 지표인 용적밀도와 토양경도에 대한 토양층위별 분포비율을 분석한 결과 밭토양의 표토의 용적밀도는 전체평균값인 1....

      경북지역내 밭토양 20지점을 선정하여 토양속별로 토양물리성의 주요 지표인 용적밀도와 토양경도에 대한 토양층위별 분포비율을 분석한 결과 밭토양의 표토의 용적밀도는 전체평균값인 1.2 Mg m<SUP>-3 </SUP>보다는 높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표토의 경도는 일반작물의 정상생육 범위인 20 mm 보다는 낮게 분포되어 있어, 정상생육에는 크게 지장은 없으나 토양물리성은 전반적으로 악화되어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토양물리성 특성별 회귀식에 의한 용적밀도와 경도의 결정계수는 0.325로 용적밀도와 유기물함량의 결정계수 0.093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주요 물리성 지표와 토양유기물 함량과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토양의 물리성은 작물의 생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물리성을 대표할 수 있는 인자는 용적밀도와 토양경도 등이었다. 용적밀도와 토양경도가 낮을수록 작물생육이 양호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분석결과 이들 값, 특히 토양의 유기물 함량과 상관관계가 높은것으로 나타나 밭토양의 물리성 개선을 위해서는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by analyzi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the different soil families of textures at 20 upland fields located in the parts of Gyengsangbuk-do area.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for bulk density, hardness, porosity, moisture, pH, EC and organic mater by soil depth on the different soil families of textures. Bulk density distributions were higher than 1.2 Mg m<SUP>-3</SUP> in the optimum range. Hardness distributions were lower than 20 mm in the optimum range. Therefore, the phys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 was deteriorated. Correlation coefficient of bulk density with hardness and organic mater were higher significantly, that was positive and negative, respectively. The soil hardness had the greatest distribution degree to the crop yield and bulk density and organic matter followed. Conclusively,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 was more effective to fertilizing organic matter than other ways.
      번역하기

      The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by analyzi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the different soil families of textures at 20 upland fields located in the parts of Gyengsangbuk-do area.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by analyzi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the different soil families of textures at 20 upland fields located in the parts of Gyengsangbuk-do area.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for bulk density, hardness, porosity, moisture, pH, EC and organic mater by soil depth on the different soil families of textures. Bulk density distributions were higher than 1.2 Mg m<SUP>-3</SUP> in the optimum range. Hardness distributions were lower than 20 mm in the optimum range. Therefore, the phys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 was deteriorated. Correlation coefficient of bulk density with hardness and organic mater were higher significantly, that was positive and negative, respectively. The soil hardness had the greatest distribution degree to the crop yield and bulk density and organic matter followed. Conclusively,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 was more effective to fertilizing organic matter than other way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인용문헌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이열, "유기성 물질 시용에 따른 농경지 토양물리성 변화 연구" 한국토양비료학회 37 (37): 304-314, 2004

      2 김이열, "신설 하우스 시설재배지의 파이프 암거배수 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 36 (36): 154-162, 2003

      3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시험연구보고서" 1981

      4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시험연구보고서" 1986

      5 Hur, B.K., "The effect of annual changes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the yield of soybean on the newly-reclaimed sloped land" 34 : 25-29, 1992

      6 Taylor, H.M., "Soil strength and root penetration relations for medium to coarse-textured soil material" 102 : 18-22, 1966

      7 Park, J.M.,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nutrition composition of the fruit tree in the orchard converted from paddy field" 36 : 277-282, 1994

      8 Jo, I.S.,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 and plant growth. Annual Report of NIAST" NIAST 133-138, 1984

      9 Jo, I.S.,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d pepper fields and plant growth" 20 : 205-208, 1987

      10 Jo, I.S.,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soybean growth" 8 (8): 1991

      1 김이열, "유기성 물질 시용에 따른 농경지 토양물리성 변화 연구" 한국토양비료학회 37 (37): 304-314, 2004

      2 김이열, "신설 하우스 시설재배지의 파이프 암거배수 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 36 (36): 154-162, 2003

      3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시험연구보고서" 1981

      4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시험연구보고서" 1986

      5 Hur, B.K., "The effect of annual changes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the yield of soybean on the newly-reclaimed sloped land" 34 : 25-29, 1992

      6 Taylor, H.M., "Soil strength and root penetration relations for medium to coarse-textured soil material" 102 : 18-22, 1966

      7 Park, J.M.,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nutrition composition of the fruit tree in the orchard converted from paddy field" 36 : 277-282, 1994

      8 Jo, I.S.,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 and plant growth. Annual Report of NIAST" NIAST 133-138, 1984

      9 Jo, I.S.,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d pepper fields and plant growth" 20 : 205-208, 1987

      10 Jo, I.S.,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soybean growth" 8 (8): 1991

      11 Hallmark, W., "Root growth and morphology, nutrient uptake and nutrient status of soybean as affected by soil P and K" 76 : 209-212, 1981

      12 Hallmark, W., "Root growth and morphology, nutrient uptake and nutrient status of soybean as affected by soil K and bulk density" 73 : 779-781, 1981

      13 NIAST, "Methods of soil and plant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14 Marinari, S., "Influence of organic and mineral fertilizers on soil biologycal and physical properties" 72 : 9-17, 2000

      15 Yeon, B.Y., "Influence of long term application of compost, lime and silicate fertilizer on some properties of paddy soil" 39 : 9-15, 1997

      16 Yang, J.E., "Fertility status in northeastern alpine soils of south korea with cultivation of vegetable crops" 34 : 1-7, 2001

      17 Park, C.S., "Effects of organic matterials applica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crops in korea" 11 : 175-194, 1978

      18 Hur, B.K., "Effects of organic matter resources on the soil improvement and crop growth" 28 : 7-12, 1986

      19 Cho, J.H., "Effects of bulk density volumeric water and gravel contents on hardness in prepared sandy loam" 30 : 46-50, 1997

      20 Singh, A., "Effect of soil compaction on the growth of soybean" 41 : 422-426, 1971

      21 Jo, I.S.,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on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plant growth" 119 : 1-16, 1990

      22 Shin, W.K., "Change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rice yield in relation to clay content of surface soil" 16 : 301-304,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한국토양비료학회지(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KCI등재
      2006-06-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1 0.54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