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운깊이 및 퇴비 시용량이 고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943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노지 고추재배시 경운 깊이에 따른 유기물 함량을 구명하여 지속적 안전생산에 활용하고자 경운 깊이는 10, 30 및 50 cm로 하고 퇴비의 양을 1, 3 및 5 톤 10a<SUP>-1</SUP>으로 처리하여 고추를 재배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시험후 토양의 pH는 모든 처리에서 시험전 토양보다 낮아졌으며 EC를 비롯한 Av. P2O5, K, Ca, Mg,Na는 시험전보다 높았다. 퇴비 시용량 별로는 퇴비 1 톤 10a<SUP>-1</SUP> 및 3 톤 10a<SUP>-1</SUP> 처리에 비해 퇴비 5 톤 10a<SUP>-1</SUP>에서 높았다.
      (2) 고추 생육은 퇴비 1 톤 10a<SUP>-1</SUP>처리에 비하여 퇴비 3톤 및 5 톤 10a<SUP>-1</SUP>에서 좋았으며, 경운깊이 10 cm 및 30 cm에 비해 경운깊이 50 cm에서 좋았다.
      (3) 고추 수량은 경운깊이 10 cm에서는 퇴비 3 톤 10a<SUP>-1</SUP>처리에서 5,880 kg ha<SUP>-1</SUP>으로 가장 좋았고, 경운 깊이 30 cm 에서는 퇴비 5 톤 10a<SUP>-1</SUP> 처리에서 5,610 kg ha<SUP>-1</SUP>으로 가장 좋았다.
      (4) 고추식물체의 T-N 함량 및 흡수량은 퇴비 3 톤 10a<SUP>-1</SUP> 및 5 톤 10a<SUP>-1 </SUP>처리에서 1 톤 10a<SUP>-1</SUP>처리에 비해 높았다.
      번역하기

      노지 고추재배시 경운 깊이에 따른 유기물 함량을 구명하여 지속적 안전생산에 활용하고자 경운 깊이는 10, 30 및 50 cm로 하고 퇴비의 양을 1, 3 및 5 톤 10a<SUP>-1</SUP>으로 처리하여 고...

      노지 고추재배시 경운 깊이에 따른 유기물 함량을 구명하여 지속적 안전생산에 활용하고자 경운 깊이는 10, 30 및 50 cm로 하고 퇴비의 양을 1, 3 및 5 톤 10a<SUP>-1</SUP>으로 처리하여 고추를 재배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시험후 토양의 pH는 모든 처리에서 시험전 토양보다 낮아졌으며 EC를 비롯한 Av. P2O5, K, Ca, Mg,Na는 시험전보다 높았다. 퇴비 시용량 별로는 퇴비 1 톤 10a<SUP>-1</SUP> 및 3 톤 10a<SUP>-1</SUP> 처리에 비해 퇴비 5 톤 10a<SUP>-1</SUP>에서 높았다.
      (2) 고추 생육은 퇴비 1 톤 10a<SUP>-1</SUP>처리에 비하여 퇴비 3톤 및 5 톤 10a<SUP>-1</SUP>에서 좋았으며, 경운깊이 10 cm 및 30 cm에 비해 경운깊이 50 cm에서 좋았다.
      (3) 고추 수량은 경운깊이 10 cm에서는 퇴비 3 톤 10a<SUP>-1</SUP>처리에서 5,880 kg ha<SUP>-1</SUP>으로 가장 좋았고, 경운 깊이 30 cm 에서는 퇴비 5 톤 10a<SUP>-1</SUP> 처리에서 5,610 kg ha<SUP>-1</SUP>으로 가장 좋았다.
      (4) 고추식물체의 T-N 함량 및 흡수량은 퇴비 3 톤 10a<SUP>-1</SUP> 및 5 톤 10a<SUP>-1 </SUP>처리에서 1 톤 10a<SUP>-1</SUP>처리에 비해 높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um amount of compost and tillage depths in pepper cultivation. Red pepper was grown in different plots with 10 cm, 30 cm, and 50 cm in tillage depth, and was applied with 1 ton, 3 ton, and 5 ton 10a<SUP>-1</SUP>, respectively. The pH value in soil showed lower level after experiment than before experiment, however, the contents of the EC, Av. P2O5, K, Ca, Mg, and Na were increased after experiment. The chemical contents in soil after experiment showed higher level in compost 5 ton 10a<SUP>-1</SUP>. The growth of red pepper in field was enhanced in the compost treatment of 3 ton, 5 ton 10a<SUP>-1</SUP>, and tillage 50 cm plot. In tillage 10 cm plot, yields of red pepper showed the highest amount as 5,880 kg ha<SUP>-1</SUP> with compost 3 ton 10a<SUP>-1</SUP>. In tillage 30 cm plot, the yields of red pepper showed the highest as 5,610 kg ha<SUP>-1</SUP> with compost 5 ton 10a<SUP>-1</SUP>. The T-N contents and uptake in the red pepper plant increased in the compost in 3 ton 10a<SUP>-1</SUP> and 5 ton 10a<SUP>-1</SUP> compared to 1 ton 10a<SUP>-1</S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amounts of compost should be applied when we cultivate crops with different tillage depth.
      번역하기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um amount of compost and tillage depths in pepper cultivation. Red pepper was grown in different plots with 10 cm, 30 cm, and 50 cm in tillage depth, and was applied with 1 ton, 3 ton, and 5 ton 10a<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um amount of compost and tillage depths in pepper cultivation. Red pepper was grown in different plots with 10 cm, 30 cm, and 50 cm in tillage depth, and was applied with 1 ton, 3 ton, and 5 ton 10a<SUP>-1</SUP>, respectively. The pH value in soil showed lower level after experiment than before experiment, however, the contents of the EC, Av. P2O5, K, Ca, Mg, and Na were increased after experiment. The chemical contents in soil after experiment showed higher level in compost 5 ton 10a<SUP>-1</SUP>. The growth of red pepper in field was enhanced in the compost treatment of 3 ton, 5 ton 10a<SUP>-1</SUP>, and tillage 50 cm plot. In tillage 10 cm plot, yields of red pepper showed the highest amount as 5,880 kg ha<SUP>-1</SUP> with compost 3 ton 10a<SUP>-1</SUP>. In tillage 30 cm plot, the yields of red pepper showed the highest as 5,610 kg ha<SUP>-1</SUP> with compost 5 ton 10a<SUP>-1</SUP>. The T-N contents and uptake in the red pepper plant increased in the compost in 3 ton 10a<SUP>-1</SUP> and 5 ton 10a<SUP>-1</SUP> compared to 1 ton 10a<SUP>-1</S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amounts of compost should be applied when we cultivate crops with different tillage dep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인용문헌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기춘, "토양 미생물 활성과 다양성에 미치는 고추 품종과 퇴비의 단기적 효과" 한국환경농학회 27 (27): 139-144, 2008

      2 김이열, "유기성 물질 시용에 따른 농경지 토양물리성 변화 연구" 한국토양비료학회 37 (37): 304-314, 2004

      3 이창호, "시판 부산물비료의 화학성 분포" 한국토양비료학회 37 (37): 1-6, 2004

      4 박철수, "부산물 퇴비를 시용한 토양에서 표면유거와 용탈에 의한 질소와 인의 유실" 한국토양비료학회 38 (38): 307-312, 2005

      5 원항연, "돈분퇴비의 시용이 토양의 미생물체량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37 (37): 109-115, 2004

      6 김수정, "강원도 고랭지 채소 재배지에 시비한 유기물이토양과 배추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15 (15): 85-91, 2007

      7 Kim, J.G., "The effect of long-term application of different organic material sources on 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 32 : 239-253, 1999

      8 NIAST, "Preparation and utilization of manure compost and liquefied manure. RDA, Suwon"

      9 NIAST, "Methods of the soil-plant analysis. RDA, Suwon"

      10 Stark, C., "Influence of organic and mineral amendments of microbial soil properties and processes" 35 : 79-93, 2007

      1 박기춘, "토양 미생물 활성과 다양성에 미치는 고추 품종과 퇴비의 단기적 효과" 한국환경농학회 27 (27): 139-144, 2008

      2 김이열, "유기성 물질 시용에 따른 농경지 토양물리성 변화 연구" 한국토양비료학회 37 (37): 304-314, 2004

      3 이창호, "시판 부산물비료의 화학성 분포" 한국토양비료학회 37 (37): 1-6, 2004

      4 박철수, "부산물 퇴비를 시용한 토양에서 표면유거와 용탈에 의한 질소와 인의 유실" 한국토양비료학회 38 (38): 307-312, 2005

      5 원항연, "돈분퇴비의 시용이 토양의 미생물체량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37 (37): 109-115, 2004

      6 김수정, "강원도 고랭지 채소 재배지에 시비한 유기물이토양과 배추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15 (15): 85-91, 2007

      7 Kim, J.G., "The effect of long-term application of different organic material sources on 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 32 : 239-253, 1999

      8 NIAST, "Preparation and utilization of manure compost and liquefied manure. RDA, Suwon"

      9 NIAST, "Methods of the soil-plant analysis. RDA, Suwon"

      10 Stark, C., "Influence of organic and mineral amendments of microbial soil properties and processes" 35 : 79-93, 2007

      11 Calbrix, R.L., "Impact of organic amendments on the dynamics of soil microbial biomass and bacterial communities in cultivated land" 35 : 511-522, 2007

      12 Ros, M., "Hydrolase activities, microbial biomass and bacterial community in a soil after long-term amendment with different composts" 38 : 3443-3452, 2006

      13 Kim, L.Y., "Effects of physical improvement practices at plastic film house soil" 34 : 92-97, 2001

      14 Yun, B.K., "Effects of compost application on soil los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lysimeters" 29 : 336-341, 1996

      15 Chang, C.Y., "Community structure and functional diversity of indigenous fluorescent Pseudomonas of long-term swine compost applied maize rhizosphere" 40 : 495-504, 2008

      16 Hwang, K.S., "Changes of electrical conductivity and nitrate nitrogen in soil applied with livestock manure" 21 : 197-201, 2002

      17 Hwang, K.S., "Aspects of nutrient transportation after animal manure application in Jeju field soil" 23 : 133-137,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한국토양비료학회지(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KCI등재
      2006-06-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1 0.54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