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토양인 논토양 위에 마사토를 적토 (積土)한 토양에 대한 토양수분 특성곡선을 작성해 보고, 이를 추정하는데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van Genuchten (VG)모형과 Brooks-Corey (BC) 모형을 비교평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94375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23-827(5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원토양인 논토양 위에 마사토를 적토 (積土)한 토양에 대한 토양수분 특성곡선을 작성해 보고, 이를 추정하는데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van Genuchten (VG)모형과 Brooks-Corey (BC) 모형을 비교평가...
원토양인 논토양 위에 마사토를 적토 (積土)한 토양에 대한 토양수분 특성곡선을 작성해 보고, 이를 추정하는데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van Genuchten (VG)모형과 Brooks-Corey (BC) 모형을 비교평가 해 그 효용성을 판단하기 위해 수행했다.
4개의 층위로 구분되는 측정 대상토양은 표토부터 30cm 까지는 양질사토, 30~70, 70~120 cm는 사토, 120 cm이상에서는 사양토로 분석된 토양이다. 토양수분 함량과 토양수분 메트릭 퍼텐셜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토양수분 특성곡선 분석에 따르면, 원토양인 120 cm 이상 깊이 토양에서의 수분보유 특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 개 층위 토양에서의 수분 보유 특성은 0~30 cm, 30~70 cm층위는 비슷하고 70~120 cm 층위는 약간 높은 경향이었다. 상대수분 포화도와 토양수분 메트릭 퍼텐셜의 관계를 표현함에 있어 멱함수 형태인 BC 모형보다는 해석학적 분석방법을 활용한 VG모형이 실측값에 근사한 추정결과를 제공했다. 포화상태의 종점이자 불포화상태의 시발점인 공기유입가 (AEV) 추정에도 측정 한계치 부근의 메트릭 퍼텐셜 값을 나타내는 BC모형보다는 9.5~40cm (4 kPa)을 보였던 VG모형이 적합했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원토양 위에 석비레 (마사토)로 적토된 토양에서의 토양수분 특성곡선 작성을 위한 추정모형에 VG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부터VG 모형을 수자원량 산정을 위한 SCS (Soil Conservation Service, USDA) CN (Curve Number) 계산 과정에서 토양단면 내의 수분 보유 인자 (retention parameter) 산출을 위한 토양수분함량을 추정하는데 활용하거나 침투모형 (Green-Ampt Mein-Larson)을 설명하기 위한 습윤전선 매트릭 퍼텐셜을 추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ropriety of models for soil water characteristics estimation in anthropogenic soil through the measurement of soil water content and soil water matric potential. Soil profile was characterized with four differ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ropriety of models for soil water characteristics estimation in anthropogenic soil through the measurement of soil water content and soil water matric potential. Soil profile was characterized with four different soil layers. Soil texture was loamy sand for the first soil layer (from soil surface to 30 cm soil depth), sand for the second (30~70 cm soil depth) and the third soil layers (70~120 cm soil depth), and sandy loam for the fourth soil layer (120 cm < soil depth). Soil water retention curve (SWRC), the relation between soil water content and soil water matric potential, took a similar trend between different layers except the layer of below 120 cm soil depth. The estimation of SWRC and air entry value was better in van Genuchten model by analytical method than in Brooks-Corey model with power function.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van Genuchten model is more desirable than Brook-Corey model for estimating soil water characteristics of anthropogenic soil accumulated with saprolite.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승오, "난지권 화산회토양의 토색별 토양수분 특성곡선 및 단일화 추정모형" 한국토양비료학회 39 (39): 329-333, 2006
2 McCuen, R.H., "Statistical analysis of the Brook- Corey and Green-Ampt parameters across soil texture" 17 : 1005-1013, 1981
3 Rawls, W.J., "Prediction of soil water properties for hydrologic modeling. in: Watershed Management in the 80's" ASCE 293-299, 1985
4 Wraith, J.M., "Nonlinear parameter estimation using spreadsheet software" 27 : 13-19, 1998
5 Mein, M.A., "Modeling infiltration during a steady rain" 9 : 384-394, 1973
6 Eom K.C., "Model equations to estimate the soil water characteristics curve using scaling factor" 28 : 227-232, 1995
7 Brooks, R.H., "Hydraulic properties of porous media" Colorado State University 1964
8 Rawls, W.J., "Estimation of soil water retention and hydraulic properties. in: Unsaturated Flow in Hydraulic Modeling Theory and Practice, NATO ASI Series c: Mathematical and Physical Science, 275" 275-300, 1989
9 Mualem, Y., "A new model for predict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porous media" 12 : 593-622, 1976
10 van Genuchten, M. Th., "A closed form equation for predict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soils" 44 : 892-898, 1980
1 허승오, "난지권 화산회토양의 토색별 토양수분 특성곡선 및 단일화 추정모형" 한국토양비료학회 39 (39): 329-333, 2006
2 McCuen, R.H., "Statistical analysis of the Brook- Corey and Green-Ampt parameters across soil texture" 17 : 1005-1013, 1981
3 Rawls, W.J., "Prediction of soil water properties for hydrologic modeling. in: Watershed Management in the 80's" ASCE 293-299, 1985
4 Wraith, J.M., "Nonlinear parameter estimation using spreadsheet software" 27 : 13-19, 1998
5 Mein, M.A., "Modeling infiltration during a steady rain" 9 : 384-394, 1973
6 Eom K.C., "Model equations to estimate the soil water characteristics curve using scaling factor" 28 : 227-232, 1995
7 Brooks, R.H., "Hydraulic properties of porous media" Colorado State University 1964
8 Rawls, W.J., "Estimation of soil water retention and hydraulic properties. in: Unsaturated Flow in Hydraulic Modeling Theory and Practice, NATO ASI Series c: Mathematical and Physical Science, 275" 275-300, 1989
9 Mualem, Y., "A new model for predict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porous media" 12 : 593-622, 1976
10 van Genuchten, M. Th., "A closed form equation for predict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soils" 44 : 892-898, 1980
콩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산정 및 전과정평가
고추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산정 및 전과정평가
1990년부터 2008년까지 우리나라 경종분야 온실가스 (메탄) 배출량 평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5-2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한국토양비료학회지(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2006-06-2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7 | 0.37 | 0.3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41 | 0.544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