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해양레저스포츠의 관광상품화 개발을 위한 대학과 지방자치단체간의 커뮤니케이션 모형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290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odel to develop marine leisure sports into tourism products. In order to obtain objective material, the study utilized precedent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arine leisure sports and statistics of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and chose related literature study and empirical and descriptive analysis as its primary method of analysis. In order to draw an inductive reasoning to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 the study chose the method of case study as the secondary method of analysis through the field survey in the advanced countries of tourism. The tertiary analysis, based on the material from the primary and secondary research, attempted to develop a model of a marine leisure tourism product for Busa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ustainable and organized policy and system through "periodic public hearings" in which local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cooperate.
      2. An index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should be developed by research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ies.
      3. In order to construct a competitive theme park or the waterfront, which would require considerable time, technology and financial resources, the central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should seek foreign investment or make policies for tax cut.
      4. The central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should be willing to publicize investment opportunities to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and to sign an MOU with them.
      5.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marine-leisure tourism should be divided into tourism product development and tourism attraction development.
      6. "An academy to train leaders in marine-leisure tourism" should be established by the joint supervision of Metropolitan City of Busan and universities.
      7.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Korea Marine-Leisure Sports Society" should be founded.
      8. Problems caused by an incompatible marine tourism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resolved.
      9. In order to actively confront the environmental change and establish an efficient marine tourism information system, a new program consisting of 3Cs of commerce, contents, and community should be developed.
      10. Marine-leisure sports should take root in the social system and be standardized.
      11. In order to expand the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tourism products, unnecessary regulations should be lightened and countermeasures for improvement should be devised.
      12. A gradual and systematic policy should be made by the local government in order to develop marine-leisure sports into lucrative regional business.
      13. A large-sized excursion boat should be operated so that people can eat, entertain, and see the sights on board.
      14. The regulations regarding entry and departure of ships in the inner harbor of Busan should be lightened to activate the operation of excursion boats at night.
      15. Coastal cruise courses should be developed.
      16. Maritime Museum should display artifacts of maritime history of Busan and provide diverse opportunities including historic sightseeing.
      17. Difficulties related to the off-season should be resolved by diversifying tourism products of marine-leisure sports and promoting river and marine resort industry.
      18. Gwangan Bridge should be developed as a tourist attraction of Busan: An observatory, a seawater pool, marine leisure sports facilities should be constructed around the bridge, and a plaza for marine leisure sports, an outdoor stage or bungee jumping facilities should be developed on the main towers and the upper story of the bridg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odel to develop marine leisure sports into tourism products. In order to obtain objective material, the study utilized precedent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arine leisure sports and statistics of local governments and ...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odel to develop marine leisure sports into tourism products. In order to obtain objective material, the study utilized precedent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arine leisure sports and statistics of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and chose related literature study and empirical and descriptive analysis as its primary method of analysis. In order to draw an inductive reasoning to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 the study chose the method of case study as the secondary method of analysis through the field survey in the advanced countries of tourism. The tertiary analysis, based on the material from the primary and secondary research, attempted to develop a model of a marine leisure tourism product for Busa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ustainable and organized policy and system through "periodic public hearings" in which local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cooperate.
      2. An index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should be developed by research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ies.
      3. In order to construct a competitive theme park or the waterfront, which would require considerable time, technology and financial resources, the central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should seek foreign investment or make policies for tax cut.
      4. The central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should be willing to publicize investment opportunities to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and to sign an MOU with them.
      5.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marine-leisure tourism should be divided into tourism product development and tourism attraction development.
      6. "An academy to train leaders in marine-leisure tourism" should be established by the joint supervision of Metropolitan City of Busan and universities.
      7.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Korea Marine-Leisure Sports Society" should be founded.
      8. Problems caused by an incompatible marine tourism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resolved.
      9. In order to actively confront the environmental change and establish an efficient marine tourism information system, a new program consisting of 3Cs of commerce, contents, and community should be developed.
      10. Marine-leisure sports should take root in the social system and be standardized.
      11. In order to expand the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tourism products, unnecessary regulations should be lightened and countermeasures for improvement should be devised.
      12. A gradual and systematic policy should be made by the local government in order to develop marine-leisure sports into lucrative regional business.
      13. A large-sized excursion boat should be operated so that people can eat, entertain, and see the sights on board.
      14. The regulations regarding entry and departure of ships in the inner harbor of Busan should be lightened to activate the operation of excursion boats at night.
      15. Coastal cruise courses should be developed.
      16. Maritime Museum should display artifacts of maritime history of Busan and provide diverse opportunities including historic sightseeing.
      17. Difficulties related to the off-season should be resolved by diversifying tourism products of marine-leisure sports and promoting river and marine resort industry.
      18. Gwangan Bridge should be developed as a tourist attraction of Busan: An observatory, a seawater pool, marine leisure sports facilities should be constructed around the bridge, and a plaza for marine leisure sports, an outdoor stage or bungee jumping facilities should be developed on the main towers and the upper story of the brid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해양, 레저 스포츠를 대상으로 이를 관광상품화하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컨셉에서 해양,레저 관광지 및 상품개발의 전략과 이에 따른 상품 개발의 기본 방향과 마케팅 전략, 상품 개발의 과정과 효과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으며 더불어 선진 외국의 해양,레저 스포츠 자원 개발의 성공 사례를 중심으로 해양,레저 스포츠 관광에 대한 학문적 체계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는 부산 지역의 실정에 맞는 해양, 레저스포츠 관광상품개발을 위해서 지역자치단체와 대학의 역할과 기능을 모형을 통하여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1. 해양,레저 관광 상품 개발의 전 과정을 통하여 지속가능성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지자체와 대학이 협력하는 "정기적인 공청회"를 통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및 제도의 구축이 요망된다.
      2 해양,레저 관광 개발의 지속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고 측정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같은 연구기관에서 지속 가능한 관광개발의 지표가 개발되어야 한다.
      3. 경쟁력 있는 테마파크의 조성이나 워트프론터의 조성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기술, 재원이 필요하며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 해양지역은 대부분이 공공재적인 성격이 강한 곳이기 때문에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외자도입 추진 등과 세제감면혜택부여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4. 지자체와 대학이 공동주최하는 "해양,레저 관광 투자 유치 설명회" 등을 개최하여 국,내외 기업들에게 투자의 가치성을 홍보하고 투자의향서(MOU)등을 체결할 수 있는 의지가 필요하다.
      5 . 관광지 개발을 위한 자연 환경의 훼손, 사업성 부재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양,레저 관광 개발의 방향은 관광 상품개발과 관광지 개발로 나누어 다루어져야 한다.
      6. 부산의 해양 관광전문가 양성을 위한 부산광역시와 대학이 공동 주관하는 "해양,레저 관광 지도자 아카데미"를 운영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7. 해양,레저스포츠 관광의 이론적 체계성 확립에 목적을 두는 한국 해양,레저 스포츠 학회의 발족을 제안한다.
      8. 현재 조성되고 있는 각 지역의 종합관광안내소와 자치단체의 홈페이지의 네트워킹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양관광정보제공 체계의 취약성을 해소시켜야 할 것이다.
      9. 교육기관에서는 해양관광 및 이의 정보처리 능력이 구비된 우수한 인적자원의 양성 및 배급이 그 무엇보다 우선시 되며 국가에서는 전체적인 마스트 플랜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고 세계적 해양관광의 경쟁력을 갖추어 가는데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10. 해양,레저 스포츠를 사회 제도 속에 정착시켜 규준화 한다.
      11. 해양,레저 관광 상품개발을 제대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법적 규제 완화와 과감한 개선 대책안을 수립하여 상품개발가능성을 확대시켜야 한다.
      12. 해양,레저 스포츠상품을 사업성이 부가된 지역관광사업으로 도약시키고 육성하기 위해 지역자치 단체의 체계적인 육성 지원책이 마련될 수 있어야 한다.
      13. 대형 유람선을 통해 선상에서 식사도하면서 공연도 보고 풍광도 느낄 수 있는 유람선이 운항되어야 한다.
      14. 크루즈선 활성화를 위해서는 부산항의 내항에서도 선박의 입출항에 대한 법적 제도를 완화하여야 한다.
      15. 연안 크루즈 코스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
      16. 해양 박물관을 통해서 부산의 해양 역사 유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해양, 레저 스포츠를 대상으로 이를 관광상품화하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컨셉에서 해양,레저 관광지 및 상품개발의 전략과 이에 따른 상품 개발의 기본...

      본 연구는 해양, 레저 스포츠를 대상으로 이를 관광상품화하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컨셉에서 해양,레저 관광지 및 상품개발의 전략과 이에 따른 상품 개발의 기본 방향과 마케팅 전략, 상품 개발의 과정과 효과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으며 더불어 선진 외국의 해양,레저 스포츠 자원 개발의 성공 사례를 중심으로 해양,레저 스포츠 관광에 대한 학문적 체계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는 부산 지역의 실정에 맞는 해양, 레저스포츠 관광상품개발을 위해서 지역자치단체와 대학의 역할과 기능을 모형을 통하여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1. 해양,레저 관광 상품 개발의 전 과정을 통하여 지속가능성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지자체와 대학이 협력하는 "정기적인 공청회"를 통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및 제도의 구축이 요망된다.
      2 해양,레저 관광 개발의 지속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고 측정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같은 연구기관에서 지속 가능한 관광개발의 지표가 개발되어야 한다.
      3. 경쟁력 있는 테마파크의 조성이나 워트프론터의 조성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기술, 재원이 필요하며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 해양지역은 대부분이 공공재적인 성격이 강한 곳이기 때문에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외자도입 추진 등과 세제감면혜택부여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4. 지자체와 대학이 공동주최하는 "해양,레저 관광 투자 유치 설명회" 등을 개최하여 국,내외 기업들에게 투자의 가치성을 홍보하고 투자의향서(MOU)등을 체결할 수 있는 의지가 필요하다.
      5 . 관광지 개발을 위한 자연 환경의 훼손, 사업성 부재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양,레저 관광 개발의 방향은 관광 상품개발과 관광지 개발로 나누어 다루어져야 한다.
      6. 부산의 해양 관광전문가 양성을 위한 부산광역시와 대학이 공동 주관하는 "해양,레저 관광 지도자 아카데미"를 운영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7. 해양,레저스포츠 관광의 이론적 체계성 확립에 목적을 두는 한국 해양,레저 스포츠 학회의 발족을 제안한다.
      8. 현재 조성되고 있는 각 지역의 종합관광안내소와 자치단체의 홈페이지의 네트워킹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양관광정보제공 체계의 취약성을 해소시켜야 할 것이다.
      9. 교육기관에서는 해양관광 및 이의 정보처리 능력이 구비된 우수한 인적자원의 양성 및 배급이 그 무엇보다 우선시 되며 국가에서는 전체적인 마스트 플랜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고 세계적 해양관광의 경쟁력을 갖추어 가는데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10. 해양,레저 스포츠를 사회 제도 속에 정착시켜 규준화 한다.
      11. 해양,레저 관광 상품개발을 제대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법적 규제 완화와 과감한 개선 대책안을 수립하여 상품개발가능성을 확대시켜야 한다.
      12. 해양,레저 스포츠상품을 사업성이 부가된 지역관광사업으로 도약시키고 육성하기 위해 지역자치 단체의 체계적인 육성 지원책이 마련될 수 있어야 한다.
      13. 대형 유람선을 통해 선상에서 식사도하면서 공연도 보고 풍광도 느낄 수 있는 유람선이 운항되어야 한다.
      14. 크루즈선 활성화를 위해서는 부산항의 내항에서도 선박의 입출항에 대한 법적 제도를 완화하여야 한다.
      15. 연안 크루즈 코스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
      16. 해양 박물관을 통해서 부산의 해양 역사 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