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을숲 유형에 따른 수종분포와 관리현황 -경산시 마을숲을 대상으로- = Tree Species Distribution Based on Village Forest Types and Management Status -A Case Study of Village Forests in Gyeongsan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070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경산시에 있는 32개의 마을숲을 전수조사 하여 입지에 따른 마을숲의 유형을 분류한 바, 동구숲 8개소(25.0%), 동산숲 6개소(18.8%), 하천숲 7개소(21.9%) 및 마을주변숲 11개소(34.4%)를 확인하였다 ...

      경산시에 있는 32개의 마을숲을 전수조사 하여 입지에 따른 마을숲의 유형을 분류한 바, 동구숲 8개소(25.0%), 동산숲 6개소(18.8%), 하천숲 7개소(21.9%) 및 마을주변숲 11개소(34.4%)를 확인하였다 동구숲에 출현하는 주요 수종은 느티나무가 34.3%, 은행나무가 11.2% 및 아까시나무가 10.5% 등을 확인하였으며, 동산숲의 경우 소나무가 56.8%, 상수리나무가 26.4% 및 느티나무가 4.3% 등을 확인하였다. 하천숲의 경우 느티나무가 40.4%, 왕버들이 27.1% 및 말채나무가 5.5% 등을 확인하였으며, 마을주변숲의 경우 느티나무가 21.7%, 상수리나무가 10.8% 및 말채나무가 8.9% 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마을숲의 대부분(71.9%)은 도로 때문에 분획화되어 서식처의 기능이 축소되었다. 마을숲의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마을숲 복원을 위한 후대목의 육성 그리고 교육 및 홍보를 통한 마을숲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등 관리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types of village forest in Gyeongsan City,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a total of 32 village forest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 indicated that village forests in Gyeongsan City can be classified as 8 villa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types of village forest in Gyeongsan City,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a total of 32 village forest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 indicated that village forests in Gyeongsan City can be classified as 8 village enterance forests(25.0%), 6 hillside forests(18.8%), 7 streamside forests(21.9%), and 11 village peripheral forests(34.4%). The major tree species in the village enterance forests are as follows: Zelkova serrata(34.3%), Ginkgo biloba(11.2%) and Robinia pseudoacacia(10.5%). The major tree species in hillside forests are: Pinus densiflora(56.8%), Quercus acutissima(26.4%) and Zelkova serrata(4.3%). The major tree species in the streamside forests are: Zelkova serrata(40.4%), Salix chaenomeloides var. chaenomeloides(27.1%) and Cornus wateri(5.5%). The major tree species in the village peripheral forests are: Zelkova serrata(21.7%), Quercus acutissima(10.8%) and Cornus walteri(8.9%). The habitat fragmentation due to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he function of habitats for village forests has deteriorated. In order to improve it, the management plan should be implemented and the seedlings of village forest tree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and propagated. Furthermore, the public should be educated about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and developing those village fores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재웅, "한밤마을과 괴란마을의 사례 분석을 통한당산숲?마을숲 복원 자료 구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21-30, 2007

      2 정성관,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경산시의 경관구조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5 (5): 9-18, 2002

      3 강현경,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마을숲의 관리방안-경상도와 강원도의 주요 마을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22 (22): 63-74, 2004

      4 김학범, "마을숲" 한국전통조경학회 23 (23): 145-149, 2005

      5 최재웅, "농촌 문화경관으로서 강릉시 구정리 마을숲의 경관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171-181, 2003

      6 Daegu Weather Station, "http://daeg u.kma.go.kr/main"

      7 Korea Forest Service, "Korean Plant Names Index. Korea"

      8 Kim, H.B, "Korean Forest Village" Yeolhwadang 1994

      9 Korean Forest Research Institute, "Ecological value of City Forest"

      10 Lee, T.B., "Coloured Flora of Korea(I, II)" Hyangmunsa 910-914, 2003

      1 최재웅, "한밤마을과 괴란마을의 사례 분석을 통한당산숲?마을숲 복원 자료 구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21-30, 2007

      2 정성관,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경산시의 경관구조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5 (5): 9-18, 2002

      3 강현경,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마을숲의 관리방안-경상도와 강원도의 주요 마을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22 (22): 63-74, 2004

      4 김학범, "마을숲" 한국전통조경학회 23 (23): 145-149, 2005

      5 최재웅, "농촌 문화경관으로서 강릉시 구정리 마을숲의 경관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171-181, 2003

      6 Daegu Weather Station, "http://daeg u.kma.go.kr/main"

      7 Korea Forest Service, "Korean Plant Names Index. Korea"

      8 Kim, H.B, "Korean Forest Village" Yeolhwadang 1994

      9 Korean Forest Research Institute, "Ecological value of City Forest"

      10 Lee, T.B., "Coloured Flora of Korea(I, II)" Hyangmunsa 910-914, 2003

      11 Kwon, S.K., "An Analysis of Functi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Traditional Village Grove -Mainly on Gyeongsangbuk-do Region-" Univ. of Andong National 2007

      12 Nam, Y.H, "A study on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Village woods -the key subject on Wonju area-" 17 (17): 17-27, 1999

      13 Park,J.C, "A Study on the Village Groves in Chinan-Gun Region, Korea" 5 (5): 56-65, 1999

      14 Kim, H.B., "A Study on the Korean village gorve" Univ. of Korea, Seoul 1991

      15 Lee,K.R, "A Study on the Functional Analysis and Management Plan of Village Groves - Focused on Pohang Area -" Univ. of Dongguk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