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응급구조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토론을 바탕으로 한 팀기반학습의 만족도 = The satisfaction of team-based learning on discussion in the training course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271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eam-based learning is known for its effective and satisfying education methods in the study of various medical schools. This study was prepared to confirm the satisfaction of applying this team-based learning to the training course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Methods: A total of 165 new members of the course of second grade National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t 2019 were finally enroll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team-based learning method was organized with eight students per group to conduct pre-learning and then proceed to open book to encourage active discussion among individuals.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the satisfaction of the discussion process, such as whether the knowledge gained from the discussion was appropriate, and whether collaboration between colleagues was successful during the discussion, and about the benefits of team-based learning, how well knowledge transfer compared to existing lectures, and the replacement of existing lectures. The questionnaire used a Likert 5 point scale, and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sion 22.0. Results: The overall rating of team-based learning was 7.8 ± 1.5 out of 10. Many students answered positively (88.5%) for benefits, while 87.9% responded positively to whether the knowledge transfer effect was better compared to existing lectures.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of team-based learning was generally high, with more than 90 percent of education students giving positive answers to the replacement of other lectures with team-based learning. Conclusion: The learners gave positive answers to the satisfaction, usefulness and learning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Team-based learning is a discussion-based study, so it is a good way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Since communication and teamwork are important in first aid activities, the characteristics of team-based learning could lead to improvements in first aid services, leading to high-quality emergency medical services.
      번역하기

      Background: Team-based learning is known for its effective and satisfying education methods in the study of various medical schools. This study was prepared to confirm the satisfaction of applying this team-based learning to the training course of eme...

      Background: Team-based learning is known for its effective and satisfying education methods in the study of various medical schools. This study was prepared to confirm the satisfaction of applying this team-based learning to the training course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Methods: A total of 165 new members of the course of second grade National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t 2019 were finally enroll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team-based learning method was organized with eight students per group to conduct pre-learning and then proceed to open book to encourage active discussion among individuals.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the satisfaction of the discussion process, such as whether the knowledge gained from the discussion was appropriate, and whether collaboration between colleagues was successful during the discussion, and about the benefits of team-based learning, how well knowledge transfer compared to existing lectures, and the replacement of existing lectures. The questionnaire used a Likert 5 point scale, and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sion 22.0. Results: The overall rating of team-based learning was 7.8 ± 1.5 out of 10. Many students answered positively (88.5%) for benefits, while 87.9% responded positively to whether the knowledge transfer effect was better compared to existing lectures.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of team-based learning was generally high, with more than 90 percent of education students giving positive answers to the replacement of other lectures with team-based learning. Conclusion: The learners gave positive answers to the satisfaction, usefulness and learning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Team-based learning is a discussion-based study, so it is a good way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Since communication and teamwork are important in first aid activities, the characteristics of team-based learning could lead to improvements in first aid services, leading to high-quality emergency medical servi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Back ground: 팀기반학습은 여러 의과대학의 연구에서 효과적이고 만족도가 높은 교육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토론 위주의 팀기반학습을 응급구조사 양성과정에 적용하였을 때의 그 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해 이 연구는 계획되었다. Methods: 이 연구는 2019년 신규 임용된 소방공무원의 2급 구조사 교육과정에 있는 교육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업 시작 전에 연구 목적을 설명하였고, 자발적인 서면 동의를 받았으며 수업 종료 후 설문조사지를 배부하였고 충분한 응답을 한 165명의 교육생 설문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팀기반학습 방법은 그룹당 8명의 교육생이 편성되어 사전학습을 시행한 후 개인 간의 활발한 토론을 유도할 수 있게 오픈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은 토론을 통해 얻게 된 지식이 적절했는지, 토론 도중 동료 간의 협동은 잘 이루어졌는지 등의 토론과정의 만족도를 묻는 질문과 팀기반학습의 유익성, 기존 강의와 비교했을 때 지식전달이 잘 되는지, 기존 강의를 대체하는 것에 대한 질문 등 팀기반학습의 만족도를 묻는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 측정도구는 Likert 5점 척도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2.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Result: 팀기반학습의 전체적인 평점은 10점 만점에 7.8±1.5점이었다. 유익성에 대해서는 88.5%가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고, 기존 강의와 비교했을 때 지식전달 효과에 대한 응답에서는 87.9%가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다른 강의를 팀기반학습으로 대체하는 것에 대해서도 90% 이상의 교육생이 긍정적인 답변을 하는 등 대체적으로 팀기반학습의 만족도가 높았다. Conclusion: 교육생들은 팀기반학습에 대해 만족도, 유용성, 교육 효과등의 부문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팀기반학습은 토론을 기반으로 한 학습이므로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교육방법이다. 구급활동에서 의사소통과 팀워크가 중요하기 때문에 팀기반학습의 특징은 응급구조서비스의 향상으로 이어져 고품질의 응급의료 서비스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Back ground: 팀기반학습은 여러 의과대학의 연구에서 효과적이고 만족도가 높은 교육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토론 위주의 팀기반학습을 응급구조사 양성과정에 적용하였을 때의 그 만...

      Back ground: 팀기반학습은 여러 의과대학의 연구에서 효과적이고 만족도가 높은 교육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토론 위주의 팀기반학습을 응급구조사 양성과정에 적용하였을 때의 그 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해 이 연구는 계획되었다. Methods: 이 연구는 2019년 신규 임용된 소방공무원의 2급 구조사 교육과정에 있는 교육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업 시작 전에 연구 목적을 설명하였고, 자발적인 서면 동의를 받았으며 수업 종료 후 설문조사지를 배부하였고 충분한 응답을 한 165명의 교육생 설문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팀기반학습 방법은 그룹당 8명의 교육생이 편성되어 사전학습을 시행한 후 개인 간의 활발한 토론을 유도할 수 있게 오픈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은 토론을 통해 얻게 된 지식이 적절했는지, 토론 도중 동료 간의 협동은 잘 이루어졌는지 등의 토론과정의 만족도를 묻는 질문과 팀기반학습의 유익성, 기존 강의와 비교했을 때 지식전달이 잘 되는지, 기존 강의를 대체하는 것에 대한 질문 등 팀기반학습의 만족도를 묻는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 측정도구는 Likert 5점 척도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2.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Result: 팀기반학습의 전체적인 평점은 10점 만점에 7.8±1.5점이었다. 유익성에 대해서는 88.5%가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고, 기존 강의와 비교했을 때 지식전달 효과에 대한 응답에서는 87.9%가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다른 강의를 팀기반학습으로 대체하는 것에 대해서도 90% 이상의 교육생이 긍정적인 답변을 하는 등 대체적으로 팀기반학습의 만족도가 높았다. Conclusion: 교육생들은 팀기반학습에 대해 만족도, 유용성, 교육 효과등의 부문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팀기반학습은 토론을 기반으로 한 학습이므로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교육방법이다. 구급활동에서 의사소통과 팀워크가 중요하기 때문에 팀기반학습의 특징은 응급구조서비스의 향상으로 이어져 고품질의 응급의료 서비스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귀화, "일개 의과대학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팀바탕학습 인식도 조사" 한국의학교육학회 25 (25): 113-122, 2013

      2 조아라, "의학교육에서의 효과적인 팀 바탕학습 운영 방안 및 기대효과" 한국의학교육학회 22 (22): 47-55, 2010

      3 허예라, "의학교육에서의 팀 바탕학습 운영과 효과성에 대한 고찰" 한국의학교육학회 25 (25): 271-277, 2013

      4 하상필, "강의식 수업을 대체하는 토론식 수업의 한 모형" 한국사고와표현학회 8 (8): 41-72, 2015

      5 노영숙, "간호교육에서 팀 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의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 18 (18): 239-247, 2012

      6 김윤경, "‘약리학’수업의 팀기반학습 설계 및 운영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309-334, 2015

      7 Cheng YC, "What effective classroom? Towards a paradigm shift" 19 (19): 365-385, 2008

      8 Koles P G, "The impact of team-based learning on medica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85 (85): 1739-1745, 2010

      9 Mohammad HM, "The effective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 A systematic review" 44 (44): 1057-1068, 2010

      10 Fujikura T, "Team-based learning using an audience response system : a posible new strategy for interactive medical education" 80 (80): 63-69, 2013

      1 박귀화, "일개 의과대학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팀바탕학습 인식도 조사" 한국의학교육학회 25 (25): 113-122, 2013

      2 조아라, "의학교육에서의 효과적인 팀 바탕학습 운영 방안 및 기대효과" 한국의학교육학회 22 (22): 47-55, 2010

      3 허예라, "의학교육에서의 팀 바탕학습 운영과 효과성에 대한 고찰" 한국의학교육학회 25 (25): 271-277, 2013

      4 하상필, "강의식 수업을 대체하는 토론식 수업의 한 모형" 한국사고와표현학회 8 (8): 41-72, 2015

      5 노영숙, "간호교육에서 팀 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의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 18 (18): 239-247, 2012

      6 김윤경, "‘약리학’수업의 팀기반학습 설계 및 운영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309-334, 2015

      7 Cheng YC, "What effective classroom? Towards a paradigm shift" 19 (19): 365-385, 2008

      8 Koles P G, "The impact of team-based learning on medica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85 (85): 1739-1745, 2010

      9 Mohammad HM, "The effective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 A systematic review" 44 (44): 1057-1068, 2010

      10 Fujikura T, "Team-based learning using an audience response system : a posible new strategy for interactive medical education" 80 (80): 63-69, 2013

      11 Sarah E. Grady, "Team-based learning in pharmacotherapeutics" 75 (75): 1-6, 2011

      12 Wiener H, "Team-based learning in intensive course format for first-year medical students" 50 (50): 69-76, 2009

      13 Nieder GL, "Team-based learning in a medical gross anatomy and embryology course" 18 (18): 56-63, 2005

      14 Thompson BM, "Team-based learning at ten medical schools : Two years later" 41 (41): 250-257, 2007

      15 Lim KS, "Rescue and Emergency care" Kunja Press 2017

      16 Haidet P, "Perspective : guidelines for reporting team-based learning activities in the medical and health sciences education literature" 87 : 292-299, 2012

      17 Andersen EA, "Implementing team based learning in large clases : Nurse educators’ experiences" 8 (8): 1-16, 2011

      18 Huh S, "How to administer the peer evaluation in team-based learning" 24 (24): 359-361, 2012

      19 Jung HS, "Effects of elf-Directedness, Task Value, and Learning Types on Learner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Ewha Woman’s University 2005

      20 "Cyber education for new appointees of emergency services"

      21 Vasan NS, "A survey of student perceptions of team-based learning in anatomy curriculum : Favorable views unrelated to grades" 2 (2): 150-155, 2009

      22 Ko GB, "A study on how to improve education and drill system for fire fighting officials-based on the program to establish and operate the cyber fire fighting campus" KIFSE 126-135, 2005

      23 Tan NC, "A controlled study of team-based learning for undergraduate clinical neurology education" 1 : 91-99, 2011

      24 김동옥, "2급 응급구조사 병원임상실습교육 효과 비교" 한국화재소방학회 28 (28): 104-109, 2014

      25 "2018 Statistical yearbook of National Fire Agency"

      26 노상균, "119구급대의 병원 전 응급처치 실태 및 교육 현황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2117-2124,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12-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Health Communication Society -> Korean Academy on Communication in Healthcar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3 0.79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