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팀 기반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과정,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Team-based Simulation Education on Problem Solving Proc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271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using team-based on problem solving process, communication ability and communication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The study used a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8 nursing college students.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3 and June 21, 2019.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blem solving process 3.53, the communication ability 3.54, and communication confidence 7.64. After team-based simulation training, problem solving process is a communication ability, communicator confidenc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ability have been shown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confid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eam-based simulation training has been effective in improving problem resolu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communication confidence, so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standardized program develop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using team-based on problem solving process, communication ability and communication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The study used a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s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using team-based on problem solving process, communication ability and communication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The study used a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8 nursing college students.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3 and June 21, 2019.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blem solving process 3.53, the communication ability 3.54, and communication confidence 7.64. After team-based simulation training, problem solving process is a communication ability, communicator confidenc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ability have been shown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confid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eam-based simulation training has been effective in improving problem resolu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communication confidence, so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standardized program develop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팀 기반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과정,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단일군 사전사후설계(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유사실험설계 연구로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3학년 학생으로 총 88명으로 2019년 3월 3일부터 2019년 6월 21일까지 수집되었다. 팀 기반 시뮬레이션 교육 후 문제해결과정 은 3.53점, 의사소통능력은 3.54점, 의사소통자신감은 7.64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팀 기반 시뮬레이션 교육 후 문제해결과정은 의사소통능력과 의사소통자신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사소통능력은 의사소통자신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팀 기반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과정,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단일군 사전사후설계(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

      본 연구는 팀 기반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과정,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단일군 사전사후설계(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유사실험설계 연구로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3학년 학생으로 총 88명으로 2019년 3월 3일부터 2019년 6월 21일까지 수집되었다. 팀 기반 시뮬레이션 교육 후 문제해결과정 은 3.53점, 의사소통능력은 3.54점, 의사소통자신감은 7.64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팀 기반 시뮬레이션 교육 후 문제해결과정은 의사소통능력과 의사소통자신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사소통능력은 의사소통자신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숙정, "호흡곤란환자 간호의 실습교육평가에서 Multi-mode와 SimManⓇ 시뮬레이션 활용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 16 (16): 51-60, 2010

      2 남경아, "학제간 의사소통을 포함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자신감, 의사소통 행위, 기술적 술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3 (23): 409-418, 2017

      3 박선일, "팀 학습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이 학습자의 자아성찰, 의사소통 능력과 팀 학습 분위기에 미치는 효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769-777, 2018

      4 민은실, "팀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적극성,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1-85, 2019

      5 고유경, "임상간호사가 인지한 팀학습분위기와 집단성과" 간호행정학회 15 (15): 72-80, 2009

      6 김해란, "시뮬레이션기반 응급간호교육을 받은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5-13, 2011

      7 김해란, "시뮬레이션 실무학습 모듈 개발 및 팀역량 평가" 기본간호학회 18 (18): 392-400, 2011

      8 이외선,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93-100, 2017

      9 김연미, "시뮬레이션 기반 산후 출혈 간호 교육이 간호학생의 비판적사고 성향, 의사소통 자신감,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399-409, 2019

      10 남호희,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평가를 위한 한국형 간호학생 팀워크 측정도구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381-390, 2017

      1 이숙정, "호흡곤란환자 간호의 실습교육평가에서 Multi-mode와 SimManⓇ 시뮬레이션 활용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 16 (16): 51-60, 2010

      2 남경아, "학제간 의사소통을 포함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자신감, 의사소통 행위, 기술적 술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3 (23): 409-418, 2017

      3 박선일, "팀 학습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이 학습자의 자아성찰, 의사소통 능력과 팀 학습 분위기에 미치는 효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769-777, 2018

      4 민은실, "팀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적극성,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1-85, 2019

      5 고유경, "임상간호사가 인지한 팀학습분위기와 집단성과" 간호행정학회 15 (15): 72-80, 2009

      6 김해란, "시뮬레이션기반 응급간호교육을 받은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5-13, 2011

      7 김해란, "시뮬레이션 실무학습 모듈 개발 및 팀역량 평가" 기본간호학회 18 (18): 392-400, 2011

      8 이외선,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93-100, 2017

      9 김연미, "시뮬레이션 기반 산후 출혈 간호 교육이 간호학생의 비판적사고 성향, 의사소통 자신감,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399-409, 2019

      10 남호희,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평가를 위한 한국형 간호학생 팀워크 측정도구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381-390, 2017

      11 이선옥, "시뮬레이션 교육의 간호학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 13 (13): 90-94, 2007

      12 양희모,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한국성인간호학회 28 (28): 95-105, 2016

      13 민혜영, "발열아동 간호시뮬레이션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자신감, 간호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 7 (7): 57-68, 2019

      14 김지숙,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학습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6 (16): 203-212, 2016

      15 송영아,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과정, 임상수행자신감과 간호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0 (20): 246-254, 2014

      16 심정신,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전과 후에 따른시뮬레이션 기반 분만교육의 효과" 한국모자보건학회 18 (18): 125-133, 2014

      17 이정옥,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전과 후에 실시하는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 20 (20): 203-211, 2014

      18 임경춘, "간호대학생의 윤리의식과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가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4 (24): 140-149, 2017

      19 노영숙, "간호교육에서 팀 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의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 18 (18): 239-247, 2012

      20 양승희, "가족 중심 분만 시뮬레이션 실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3 (23): 52-61, 2017

      21 Lewis D, "The impact of a simulation lab experience for nursing students" 32 (32): 256-258, 2011

      22 Lee JS, "The effects of process behaviors on problem solving performance on various tests" University of Chicago 1978

      23 Woo OH, "The effects of PBL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students by their meta-cognitive level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139, 2000

      24 Michaelsen LK, "Team-based learning: a transformative use of small groups in college teaching" Strlus

      25 Parmelee DX, "Team-based learning : it’s here and it WORKS" 85 (85): 1658-1659, 2010

      26 Morrison G, "Team training of medical students in the 21st century: would Flexner approve" 85 (85): 254-259, 2010

      27 Michaelsen LK, "Team based learning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tylus Publishing 2007

      28 Kang HY, "Nursing students’ team capability and performance in simulation education using team based learning" 19 (19): 5-15, 2013

      29 Lee SA, "Effects of team based simulation learning depending on the level of meta cognition" 3 (3): 45-53, 2015

      30 Campbell SH, "Development of the health communication assessment tool:enhancing relationships, empowerment, and power-sharing skills" 9 (9): 543-550, 2013

      31 Dyer J, "Creating and managing a high-performance knowledge sharing network: The Toyota case" 21 : 345-367, 2000

      32 Chauhan G, "Communication is the essence of nursing care 1: breaking bad news" 9 (9): 931-938, 2000

      33 Lingard L, "Communication failures in the operating room: an observational classification recurrent types and effects" 13 (13): 330-334,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12-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Health Communication Society -> Korean Academy on Communication in Healthcar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3 0.79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