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효소적 가수분해공정을 이용한 속성 HVP(hydrolyzed vegetable protein)의 제조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단백질분해효소원으로 Devolase/Flavourzyme의 복합효소원과 메주가루를 비교검토하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532070
2007
-
500
학술저널
1585-1585(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효소적 가수분해공정을 이용한 속성 HVP(hydrolyzed vegetable protein)의 제조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단백질분해효소원으로 Devolase/Flavourzyme의 복합효소원과 메주가루를 비교검토하였...
본 연구에서는 효소적 가수분해공정을 이용한 속성 HVP(hydrolyzed vegetable protein)의 제조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단백질분해효소원으로 Devolase/Flavourzyme의 복합효소원과 메주가루를 비교검토하였다. Candida utilis KCCM 50342를 이용한 발향공정에서 HVP의 주요향기성분인 에탄올, 4-ethylguaiacol과 α-galactosid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고형분회수율과 단백질회수율은 메주가루를 이용했을 때 가장 높았고, 분리대두단백을 이용했을 때 가장 낮았다. 에탄올은 탈지대두박을 원료로 이용했을 때 높은 생성을 보였으나, HVP의 지표성분인 4-ethylguaiacol은 생성되지 않았다. 가수분해공정과 발향공정을 결합하고 72시간 숙성 후 관능 검사한 결과, 메주가루를 이용한 HVP의 관능적 특성이 분리대두단백과 탈지대두박을 이용한 경우보다 우수하였다.
P-453 : Lovastatin production by fed-batch culture of Aspergillus terreus
P-454 : A New Enzymatic Kinetic Resolution System Coupled with a Separate Chemical Racemization
P-455 : Total biodegradable COD assessment using respirometric method for dying waste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