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점규제법상 위임규정의 적정성 = A Research on Legitimacy of the Delegated Provision of Fair Trade 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588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rliament makes laws by enacting primary legislation, however, it is not always appropriate or possible for Parliament to deal with all of the detailed underlying systems and structures that give effect to an Act. In these cases Parliament often includes in an Act a provision that authorises another body, usually part of the executive, to exercise some of its law-making functions to deal with those detailed underlying systems.
      The current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hereinafter ‘MRFTA’) has particularly lots of delegated provisions which are supposed to be enforced by the korean fair trade commission.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legitimacy and propriety of delegated provisions under the MRFTA and investigate some problems with constitution and jurisprudence angles. It suggests some idea for legislative enhancement instead of the conclusion.
      번역하기

      Parliament makes laws by enacting primary legislation, however, it is not always appropriate or possible for Parliament to deal with all of the detailed underlying systems and structures that give effect to an Act. In these cases Parliament often incl...

      Parliament makes laws by enacting primary legislation, however, it is not always appropriate or possible for Parliament to deal with all of the detailed underlying systems and structures that give effect to an Act. In these cases Parliament often includes in an Act a provision that authorises another body, usually part of the executive, to exercise some of its law-making functions to deal with those detailed underlying systems.
      The current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hereinafter ‘MRFTA’) has particularly lots of delegated provisions which are supposed to be enforced by the korean fair trade commission.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legitimacy and propriety of delegated provisions under the MRFTA and investigate some problems with constitution and jurisprudence angles. It suggests some idea for legislative enhancement instead of the conclu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법률상 불확정 개념들은 집행자의 임의적 법해석과 수범자의 예측가능성 저하에 관한 우려를 유발할 수 있지만, 가변성이 큰 현실을 규율대상으로 삼는 규범의 경우, 그 속성상 추상적, 불확정적인 개념과 기준의 사용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독점규제법의 경우가 그러한데, 이 법에는 추상적 표현들이 유독 많고 그에 따라 구체적 내용과 기준을 동법 시행령(대통령령)이나 공정거래위원회 고시로 위임하고 있는 규정(약 90여개)들이 쉽게 발견된다. 실무상으론 법률 규정보다 시행령과 고시가 오히려 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와 같은 위임규정들은 독점규제법에 대한 해석의 어려움을 키우고 집행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저하시키는 한편, 수범자의 법적 안정성 및 권리 침해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위임의 합목적성과 적정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현행 규정에 대한 면밀한 검토 및 개선의 모색이 필요하다.
      이 글은 독점규제법을 위시한 경제규범에 있어서 위임의 기능과 효과, 실태와 문제점 등 현황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는 한편, 이를 토대로 입법기술 측면에서 독점규제법 규율 대상가운데 법률사항과 하위규범사항에 대한 준별기준을 도출함으로써, 독점규제법의 입법체계상 완결성을 도모하고 경제현실과 규범적 원리의 정합성을 높이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법률상 불확정 개념들은 집행자의 임의적 법해석과 수범자의 예측가능성 저하에 관한 우려를 유발할 수 있지만, 가변성이 큰 현실을 규율대상으로 삼는 규범의 경우, 그 속성상 추상적, 불...

      법률상 불확정 개념들은 집행자의 임의적 법해석과 수범자의 예측가능성 저하에 관한 우려를 유발할 수 있지만, 가변성이 큰 현실을 규율대상으로 삼는 규범의 경우, 그 속성상 추상적, 불확정적인 개념과 기준의 사용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독점규제법의 경우가 그러한데, 이 법에는 추상적 표현들이 유독 많고 그에 따라 구체적 내용과 기준을 동법 시행령(대통령령)이나 공정거래위원회 고시로 위임하고 있는 규정(약 90여개)들이 쉽게 발견된다. 실무상으론 법률 규정보다 시행령과 고시가 오히려 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와 같은 위임규정들은 독점규제법에 대한 해석의 어려움을 키우고 집행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저하시키는 한편, 수범자의 법적 안정성 및 권리 침해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위임의 합목적성과 적정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현행 규정에 대한 면밀한 검토 및 개선의 모색이 필요하다.
      이 글은 독점규제법을 위시한 경제규범에 있어서 위임의 기능과 효과, 실태와 문제점 등 현황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는 한편, 이를 토대로 입법기술 측면에서 독점규제법 규율 대상가운데 법률사항과 하위규범사항에 대한 준별기준을 도출함으로써, 독점규제법의 입법체계상 완결성을 도모하고 경제현실과 규범적 원리의 정합성을 높이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극원, "헌법재판에서의 포괄적 위임입법금지 원칙의 적용" 한국헌법학회 15 (15): 466-, 2009

      2 김성수, "일반행정법" 법문사 2014

      3 이명웅, "위임입법의 위헌심사기준 및 위헌결정사례분석" (96) :

      4 가상준, "위임 입법의 정치적 원인 그리고 이에 따른 정치적 결과: 한미 의원활동 비교" 한국시민윤리학회 22 (22): 67-91, 2009

      5 박영도, "부령의 법적 성격에 대한 헌법적 검토" 65-, 1998

      6 국회사무처 법제실, "법제 이론과 실무" 국회 2005

      7 임성호, "민주주의와 관료제: 관료제의 비대화 및 병폐의 정치적 원인" 14 (14): 28-,

      8 김종회, "미연방대법원의 판례상 위임입법의 한계" 12 :

      9 송종원, "미국 행정법상 규칙제정의 통제에 관한 연구 : 비교법적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10 김종두, "국회의 행정입법 통제제도" (12) :

      1 정극원, "헌법재판에서의 포괄적 위임입법금지 원칙의 적용" 한국헌법학회 15 (15): 466-, 2009

      2 김성수, "일반행정법" 법문사 2014

      3 이명웅, "위임입법의 위헌심사기준 및 위헌결정사례분석" (96) :

      4 가상준, "위임 입법의 정치적 원인 그리고 이에 따른 정치적 결과: 한미 의원활동 비교" 한국시민윤리학회 22 (22): 67-91, 2009

      5 박영도, "부령의 법적 성격에 대한 헌법적 검토" 65-, 1998

      6 국회사무처 법제실, "법제 이론과 실무" 국회 2005

      7 임성호, "민주주의와 관료제: 관료제의 비대화 및 병폐의 정치적 원인" 14 (14): 28-,

      8 김종회, "미연방대법원의 판례상 위임입법의 한계" 12 :

      9 송종원, "미국 행정법상 규칙제정의 통제에 관한 연구 : 비교법적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10 김종두, "국회의 행정입법 통제제도" (12) :

      11 김유환, "公正去來規制의 執行體制" 한국공법학회 33 (33): 545-575, 2005

      12 Marshall J. Breger, "Established by Practices: the Theory and Operation of Independent Federal Agencies" 52 : 2000

      13 Fiorina, Morris P, "Congress: Keynote of the Washington Establishment" Yale University Press 1989

      14 Pierce, Richard J, "Administrative Law and Process 46" Foundation Press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5 0.69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